'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 (478 Page)
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5325

상법상 기준일제도 해설 상법상 기준일제도 해설 기준일은, 의결권행사기준일, 배당기준일, 결산일(결산기준일)이 있음. 구체적인 설명을 상법책자를 참고하여 기재함. 개정전 상법은 ‘결산일=배당기준일’이며 ‘일할배당’임을 근거로 하여 신주에 대한 배당기산일 관련 조항(제350조 제3항 등)을 별도로 규정하고 있었음. 그러나 개정 상법에 따라 ‘결산일=배당기준일이며 일할배당해야 한다’는 說과 ‘구주와 균등배당해야 한다’는 說을 선택적으로 적용 가능하개 되었음( ‘균등배당’이 원칙이며, 정관으로 ‘일할배당’ 또는 ‘당기 무배당’ 가능) 상법은 정기주주총회의 소집시기에 관하여 “일정한 시기”라고만 규정하는데, i) 기준일을 결산일인 12월 31일로 정하고, 주주명부를 다음 해 1월 1일부터 정기주주총회일 종료일까지 폐쇄한다면, 기준일은 .. 2022. 3. 16.
국내 신종 코로나 신규감염자 40만명 돌파 ... 방역당국 예상을 뛰어넘어 국내 신종 코로나 신규감염자 40만명 돌파 ... 방역당국 예상을 뛰어넘어 국내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신규 감염자는 3월 16일 0시 기준으로 40만741명을 기록했다. 이는 역대 최다이자 처음으로 40만 명대 돌파다. 당초 방역당국은 22일 최대 37만 명에 이를 것으로 예상했지만 1주일 앞당겨 전망치를 웃돌았다. 사실상 일상생활의 모든 곳에서 감염자가 속출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입원 중인 중증자는 1244명으로 다시 최대치를 경신했고 164명이 사망했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정부는 방역강화보다는 대폭 완화를 택할 것으로 보인다. 신형 코로나 바이러스를 1급 감염병으로부터 해제해 단계를 내리는 방향으로 논의하고 있다고 한다. 오미클론 감염자가 정점을 찍고 곧 감소세로 돌아설 것으로 예상했다.김부겸 .. 2022. 3. 16.
워런 버핏이 '인생을 좌우한다'는 4가지 조언 워런 버핏이 '인생을 좌우한다'는 4가지 조언 모든 방면에서 조언을 구하과자 하고 있는 세계 제일의 투자자, 워렌 버핏. 그의 의견에 찬성하지 않는 사람이라도, 「오마하의 현인)」이라고 알려진 버핏의 절대한 영향력은 부정할 수 없을 것이다. 지금 현세에서 최고의 투자자는, 알베르트 아인슈타인과 같은 천재는 아닐지도 모른다. 하지만 버핏은 그를 만든 멘토와 교사, 동료들에게 둘러싸여 현명하고 훌륭한 투자 판단을 내렸다. 성공에의 리더쉽, 투자, 그리고 좋은 인생을 살기 위한 버핏의 전설적이라고 말할 수 있는 조언은 매우 다방면에 걸쳐져 있다. 1. 커뮤니케이션 스킬에 투자 「당신이 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투자, 그것은 자기 자신에의 투자입니다」라고 버핏은 말한다. 그는 어릴 때부터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향.. 2022. 3. 16.
Apple의 초고성능 칩이라는 'M1 Ultra'과 Mac Studio Apple의 초고성능 칩이라는 'M1 Ultra'과 Mac Studio ◆ Mac Studio가 있기에 만들어 낼 수 있었던 M1 Ultra M1 Ultra를 채택한 Mac Studio이지만 M1 Max 구성도 선택할 수 있다. M1 Max 탑재 모델의 최소구성은, 10코어 CPU, 24코어 GPU, 16코어 Neural Engine, 32GB 유니파이드 메모리, 512 GB SSD의 사양으로 구성된다. M1 Ultra 탑재 모델의 최소구성은, 20코어 CPU, 48코어 GPU, 32코어 Neural Engine, 64GB 유니파이드 메모리, 1TB SSD의 사양으로 구성되는 것도 있다. GPU는 64코어(+11만엔), 메모리는 128GB(+8만8000엔) 구성도 선택할 수 있다. SoC 전체로 보았을 .. 2022. 3. 15.
일본의 연예계 폭로 유튜브 가시ch '잃을 것 없어' 무서울 것이 없는 상태? 일본의 연예계 폭로 유튜브 가시ch '잃을 것 없어' 무서울 것이 없는 상태? 인터넷상, 그리고 연예계에서 큰 화제가 되고 있는 YouTube 채널 [히가시타니 요시카즈(東谷義和)의 가시ch [연예계의 뒤편]. 지금까지 일본의 많은 유명 연예인들과 교류를 가져 온 히가시타니 요시카즈씨가 배우와 연예인, 아티스트들의 사생활에 관한 정보를 차례차례 폭로해, 개설 1개월 미만으로 채널 등록자수는 67만명 이상, 공개한 15편의 동영상(3월 13일 시점)의 전체 재생 횟수는 100만회 이상. 일본에서 폭로 이야기를 하는 유튜버는 수두룩하지만 히가시타니의 경우 실제 자신이 겪은 에피소드가 바탕이 되고 있다는 점에서 지금까지 없었던 희귀한 경우에 속한다고 한다. 진위 여부를 떠나, 이렇게까지 리얼리티 있는 폭로 이.. 2022. 3. 15.
러시아, 중국(中國)에 이례적인 군사지원 요청 ...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 미 당국자 러시아, 중국(中國)에 이례적인 군사지원 요청 ...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 미 당국자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중국에 군사지원을 요청했다. 복수의 미 당국자가 분명히 확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러한 이례적인 요청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군사작전이 예상보다 많은 장애에 직면해 있을 가능성을 시사하는 대목으로 분석하고 있다. 복수의 해외 언론에 따르면 내용이 민감하다는 이유로 익명을 조건으로 말한 미 당국자 1명은 러시아가 구체적으로 어떤 장비의 제공을 중국에 요구했는지는 밝히지 않았다. 그는 바이든 행정부가 세부사항을 어떻게 파악했는지에 대해서도 말을 아꼈으며, 다른 미 당국자에 의하면, 요청은 새로운 것이 아니며, 러시아의 2월 24일 우크라이나 침공 개시 직후에 이루어졌다고 한다. 백.. 2022. 3. 15.
세계 금융위기의 예측과 경고 - 우크라이나 위기의 본질 세계 금융위기의 예측과 경고 - 우크라이나 위기의 본질 우크라이나 위기가 세계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첫째로 에너지 시장에서 시작된다는 분석이 나왔다 미국의 서브프라임론 사태와 그에 이은 주택버블 붕괴로 촉발된 2008년 9월의 주가폭락(리먼 쇼크)을 계기로 발생한 세계 금융위기. 당시 골드만삭스의 수석 이코노미스트 얀 하치우스는 그 위험과 주가 하락 가능성을 미리 간파해 일찌감치 경종을 울린 전문가 중 한 명이다. 당연하지만, 그의 관심은 작금의 우크라이나 위기의 예측할 수 없는 상황전개에 쏠려 있다. 그에 따르면 유가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큰 것은 물론이지만 지금 하치우스의 눈에 비치는 것은 배럴당 유가가 오르는 데 그치지 않고 더 큰 변동의 조짐이라고 한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에 따른 서.. 2022. 3. 14.
자본금의 전입 대상이 되는 준비금 자본금의 전입 대상이 되는 준비금 자본금에 전입되는 준비금은 법정준비금, 즉 자본준비금과 이익준비금만을 말하며, 회사가 적립한 임의준비금은 포함되지 아니함. 이러한 준비금의 자본전입은 이사회 결의로서 이루어짐. 상법 461조는 「준비금」이라고만 규정되어 있으나, 법문상 「준비금」이란 표현은 일반적으로 법정준비금의 뜻하는 것으로 사용되고 있음. 임의준비금의 자본전입은 주식배당(상법 462조의2 1항)의 형태를 취할 수밖에 없으며, 이 경우에 임의준비금의 적립근거가 정관규정이나 총회결의이므로 먼저 정관을 변경하거나 주주총회의 결의로 배당이 가능한 형태로 전환하는 절차가 필요함. 전입의 대상은 이익준비금과 자본준비금 중 어느 것이든 될 수 있으며 어느 쪽을 먼저 전입하든 무방함. 자산재평가법에 의한 재평가적립.. 2022. 3. 14.
상법상 준비금의 자본금 전입 상법상 준비금의 자본금 전입 상법에서는 결손보전에 대한 절차나 시기에 대하여 규정을 두지 않으며, 결손보전이란 상법 및 회계기준상 명확한 정의는 없지만 개념상 재무제표상 결손금을 감소시키거나 소멸시키는 회계처리를 의미함. 따라서 결손보전을 하기 위해서는 이익잉여금(결손금)처리계산서를 작성하여 보전하여야 하므로 상법 제449조에 정하고 있는 재무제표의 승인절차에 따라 이사회 결의가 필요함. 상법상 법정준비금은 자본금의 결손을 보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하는 것이 원칙임(상법 460조). 따라서 자본금 결손인 경우 법적준비금으로 충당 가능함. 상법(461조)상 그 예외로서 법정준비금을 자본금에 전입하는 것을 허용하고 있음(상법 461조 1항). 준비금의 자본금 전입이란 자본의 부에 속하는 준비금 금액을 감소시킴.. 2022. 3. 14.
회사에 결손이 발생하거나 결손이 있을 경우 반드시 결손을 보전해야 하는지 여부 회사에 결손이 발생하거나 결손이 있을 경우 반드시 결손을 보전해야 하는지 여부 ■ 질문요지 자본금의 결손이 존재하는 경우 반드시 회사의 법정준비금으로 그 결손을 보전하여야 하는가? ■ 내용설명 자본금의 결손은 사업연도 말 현재 회사의 순자산액(자산총액에서 부채총액을 공제한 잔액)이 자본금 및 법정준비금(자본준비금과 이익준비금)의 합계액에 미달하는 것을 말하며, 결손의 보전은 장부상 결손금(전기이월미처리결손금 포함)을 잉여금(임의적립금과 법정준비금) 등과 상계하는 것을 말함. 상법상 이러한 회사의 결손보전을 강제하는 규정은 없으므로 결손보전의 절차를 밟지 않아도 무방하다고 해석하는 것이 일반적임. 회사에 결손이 존배함에도 이를 보전하지 않을 경우에는 재무제표상 이월손실과 법정준비금이 병존하게 됨. 다만 결.. 2022. 3. 1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