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y! 궁금하다! 궁금해!!
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5294

주주총회 서면투표 및 전자투표 / 위임장 병행 / 운영방법 주주총회 서면투표제 및 전자투표 / 위임장 병행 / 운영방법 1. 서면투표 상법상 서면투표제도는 정관에 규정을 둔 경우에 한해 채택할 수 있음(상법 제368조의3 제1항). 정관에 서면투표제도에 관한 근거가 있는 경우(서면투표 채택 여부를 이사회에 위임하는 형태로 규정한 회사 제외), 회사는 주주총회의 개최 시 반드시 서면투표를 실시하여야 함. 서면투표를 채택한 회사는 주주가 의결권의 행사에 필요한 안건 기타 자료를 사전에 검토할 수 있도록 주주총회의 소집통지서에 ① 주주가 서면에 의한 의결권을 행사하는데 필요한 서면과 ② 참고자료를 첨부하여야 함(상법 제368조의3 제2항). 이러한 필요서면을 첨부하지 않은 때에는 상법상 소집절차의 위반으로 결의취소의 사유가 됨. 한편, 상장회사의 경우 의결권 있는 발.. 2022. 2. 8.
투자의 신, 워런 버핏은 왜 메타(구 페이스북) 주식을 사지 않을까? 그 이유 투자의 신, 워런 버핏은 왜 메타(구 페이스북) 주식을 사지 않을까? 그 이유 워런 버핏은 페이스북(현, 메타)을 유례없는 비즈니스라고 칭찬했었다지만, 투자회사인 버크셔 해서웨이 CEO는 미래가 불투명하다는 이유로 페이스북 주식을 매수하지 않았다. 버핏의 파트너인 찰리 멍거는 페이스북의 정치적 영향력과 데이터 수집을 비난하기도 했다. 워런 버핏(Warren Buffett)은 페이스북(Facebook, 현재는 메타)을 훌륭한 비즈니스라고 거듭 칭찬하기도 하지만, 유명한 투자자이자 버크셔 해서웨이(Berkshire Hathaway)의 CEO이기도 한 그는 기본적으로 페이스북 주식을 매수하지 않았다. '꿈이 있는 비즈니스란 적은 자본으로 크게 성장하는 것임을 우리는 잘 알고 있다'고 버핏은 2021년 버크셔 .. 2022. 2. 8.
삼성 갤럭시(Galaxy) S22 시리즈는 2월 8일 발표 삼성 갤럭시(Galaxy) S22 시리즈는 2월 8일 발표 디지털 데일리는 삼성이 2월 8일에 갤럭시 Unpacked 2022를 온라인으로 개최하고 갤럭시S22 시리즈를 발표할 것이라고 보도하고 있다. 디지털 데일리에 따르면 이 행사에서는 갤럭시S22 시리즈 3가지 모델이 발표된다고. SoC는 "Snapdragon 8 Gen1" 또는 "Exynos 2200"을 탑재한다고. 예약판매는 2월 9일부터 시작되며 출시일은 2월 24일이 될 것으로 알려졌다. 3개 모델은 정확히 알려지지 않았지만, 기존의 라인업에 비추어 보면 「갤럭시(Galaxy) S22」 「갤럭시(Galaxy) S22 플러스」 「갤럭시(Galaxy) S22 Ultra」의 등장이 예상됩니다. 소문에 따르면 3개 모델 중 갤럭시S22 Ultra는 .. 2022. 2. 8.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의 이유, 만약 전쟁이 발발하면 세계가 발칵 뒤집힌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의 이유, 만약 전쟁은 발발하면 세계가 발칵 뒤집힌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가능성이 고조되면서 유럽 정세가 급박하게 돌아가고 있다. 지난 2022년 들어 이미 4차례 미·러 간 협의가 있었고, 1월 21일에는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과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간의 외무장관 회담이 열렸으나 뚜렷한 성과를 거두지는 못했다. 외무장관 회담 후에는 미국으로부터의 서면으로, 북대서양 조약기구(NATO)의 동방 확대는 하지 말아 달라는 러시아의 요청을 거부.우크라이나의 NATO 가입을 둘러싼 미-러의 입장은 완전 교착상태에 빠졌다. 미국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대비해 미군을 동유럽에 파견한다고 알려져 있다. 위기가 확대되어 러시아는 우크라이나를 침공하면 유럽지역의 전.. 2022. 2. 8.
한반도에서 전쟁 발발하면, 그땐 일본 자위대가 한반도로 진주할까? 한반도에서 전쟁 발발하면, 그땐 일본 자위대가 한반도로 진주할까? 상상하기도 싫지만 한반도에서 전쟁(한반도 유사시)이 일어나면 일본의 자위대는 한국내 거주하는 자국민의 보호를 앞세워 한반도에 발을 들일까? 북한의 미사일 발사 등으로 상황은 점점 복잡해져 가고 있다. 이 경우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하나? 2015년 10월 황교안 당시 국무총리가 국회 대정부질문에서 밝힌 내용에 따르면, '일본이 한국과 협의해 필요성이 인정되면 입국을 허용하겠다' 밝힌 부분. 황 전 총리는 기본적으로 인정하지 않겠다고 했지만 부득이한 경우 우리 입장상 동의가 있으면 할 수 있다고 한 발언은 당시 큰 논란이 됐다고 한다. 최근 일본이 북한의 미사일 발사에 대응해 적 기지 공격능력 보유를 본격 추진하겠다고 밝혀 일본 방위정책의 대.. 2022. 2. 8.
상장회사가 사외이사를 선임하지 않는 예외적인 경우란? 상장회사가 사외이사를 선임하지 않는 예외적인 경우란? ■ 질문요지 상장회사로서 사외이사 선임을 하지 않는 경우를 확인해 보고 싶음. 다른 회사의 제출된 사업보고서를 보면서, 사외이사를 선임하지 않은 법인이 있음. 상법상 제542조의8(사외이사의 선임)에 따르면, 이사 총수의 4분의 1 이상을 사외이사로 하여야 한다라고 규정되어 있고, 자산 규모 등을 고려하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상장회사의 사외이사는 3명 이상으로 하고, 이사 총수의 과반수가 되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음. 그렇다면, 사외이사를 선임하지 않을 수 있는 예외규정이 별도로 존재하지 않는 한, 사외이사를 선임하여야 하는 것이 상법상 의무라고 보여지는데, 왜 사외이사를 선임하지 않는 회사가 있는 것이 의문이 있음. ■ 내용설명 상법상 상장회사는 자.. 2022. 2. 8.
상장협의회 표준정관 및 코스닥협회 표준정관에 반영된 위원회 규정의 의미 상장협의회 표준정관 및 코스닥협회 표준정관에 반영된 위원회 규정의 의미 ■ 질문요지 표준정관(상장협의회 표준정관 및 코스닥협회 표준정관)의 내용 중 아직 상장회사 정관에 반영하지 않은 사항들을 추가하는 정관변경을 하려고 함. 그 중 상장협 표준정관을 중심으로 다음의 2가지 사항에 대한 의문사항은 1) 표준정관 제39조2(위원회) ②각 위원회의 구성, 권한, 운영 등에 관한 세부사항은 이사회의 결의로 정한다 에서 감사위원회의 경우 위원회 구성은 주주총회에서 승인을 받아야 하는 사항으로 알고 있는데 표준정관 제41조의2, ④의 내용과 충돌되는 건 아닌지? 2) 당사는 현재 정관 제38조2(위원회) 에서 "기타 경영 관련 위원회"를 둘 수 있는 것으로 규정하고 있음. 이번 정기주주총회에서 정관변경 시 '보상위.. 2022. 2. 8.
오늘의 역사 (2월 8일) 오늘의 역사 (2월 8일) 1906년: 런던 트리뷴誌가 을사늑약의 부당성을 지적하는 고종의 밀서를 실었다. 1919년 : 조선인 유학생들이 도쿄 YMCA회관에 집결해 2.8독립선언 발표 1944년 : 일제가 총동원법에 따라 조선 전역에서 강제징용 개시 1946년: 북한 인민위원회(北朝鮮人民委員会) 평양에서 출범, 서기장에 김일성 1946년 : 대한독립촉성국민회 결성, 총재에 이승만 1961년 : 한미경제협정 조인 1985년: 신병치료 명목으로 미국으로 건너갔던 김대중, 2년 3개월 만에 귀국했다. 1987년 : 일본으로 망명했던 북한 김만철씨 일가족이 대만을 거쳐 서울로 들어온다. 1988년: 서울대병원 민병구 교수팀 인공심장 국내 최초 개발 1992년 : 통일국민당 탄생, 대표최고위원에 현대그룹 창업자.. 2022. 2. 8.
배당금 증액 및 전자투표 채택의 주주제안에 대한 대응 배당금 증액 및 전자투표 채택의 주주제안에 대한 대응 ■ 질문요지 정기주주총회를 앞두고 소액주주주 연대에서 회사에 대하여 주주제안을 서면으로 하였음. 소액주주의 주주제안 내용은 2가지이며, ① 배당금 증액안(주당 배당금 1500원) ② 전자투표제 도입안건 제안 이 경우 의문사항은 1. 회사는 주주제안의 ①배당금 증액안과 비교하여 회사안은 주주제안의 1500원보다는 적은 금액으로 배당계획을 수립하였음. 이사회에서 배당금액을 정해서 주주총회의 안건으로 상정할 경우에, 주주제안을 무시하고 회사측의 적은 배당을 해도 되는지? 2. 주주제안 요청 서면상 전자투표제 도입을 이사회에 촉구하며, 거부할 경우 주주총회 정식 안건으로 상정할것을 제안한다고 쓰여 있음. 전자투표제 도입을 주주총회 정식안건으로 상정할 수 있는.. 2022. 2. 7.
오늘의 역사 (2월 7일) 오늘의 역사 (2월 7일) 1946년 : 남조선국방경비대 총사령부 창설 1964년 : 케냐와 수교 1967년 : 통합야당 신민당 탄생 1972년 : 베트남 주둔 청룡부대 지휘본부와 주력부대 귀환 1999년 : 이스라엘과 투자보장협정 체결 2001년 : 삼성전자가 세계 최초로 4기가 D램 개발 이건희 삼성그룹 회장 일가 사재 8000억원 사회 환원 발표 2016년 : 북한이 위성발사라 칭하며 장거리 탄도미사일 발사 2018년 : 평창동계올림픽에서 남북한 선수들에게 성원을 보내는 북한 응원단 229명이 육로를 통해 남한에 입성 ※북한 응원단이 남한에서 열리는 국제체육대회를 위해 방문하는 것은 약 12년 반 만에 4번째 2022. 2. 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