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에 필요한 것은 돈이 아니다 ... 1930년대부터 계속된 하버드대 조사로 알게 된 사실
이 내용은 외신 포브스의 기사를 정리한 것이다.
사람이 어떻게 하면 행복해질 수 있는지에 대한 증거를 찾기는 어렵지만 미국에서는 행복에 대한 장기적인 조사가 1930년대부터 진행되고 있었다. 그 수십 년에 걸친 조사 결과를 정리한 책 'The Good Life(좋은 삶)'가 출간됐다.
It's hard to get proof on what makes people happy but there is a longitudinal survey that has been examining happiness since the 1930s and after decades of research, the results have been published in a new book, The Good Life.
It turns out that money does not make people happy, nor does your station or rank. It is mostly relationships and the connections you forge that leads to the most contented people. Whether these are in the form of friendships, book clubs, romantic attachments, church groups, sports partners or co-workers, the people with the strongest social bonds and connections in their 50s, were in the best shape in their 80s
하버드대 로버트 월딩거와 마크 슐츠 두 교수가 이끄는 하버드대 성인발달연구는 700여명과 그 가족을 대상으로 장기적인 추적조사를 실시했다. 삶의 질을 측정하는 수천 건의 질문을 포함한 설문조사와 함께 뇌 스캔, 혈액검사 등 신체검사도 수백 건 진행했다.
참가자는 1930년대, 하버드대학의 남학생이나, 보스턴 교외의 저소득 지역 출신의 남아 중에서 선택된 사람들로, 5년마다 의료정보를 제출하고, 2년마다 상세한 설문 조사에 응답하도록 했다. 그 사람의 아내와 자녀도 대상에 참여해 일, 결혼, 이혼, 그리고 죽음에 이르기까지 조사는 계속됐다. 25명의 참가자는 사후에 이 연구를 위해 자신의 뇌를 제공했다.
프로젝트 통산 4번째 책임자인 월딩거는,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사람들은 행복에 대해 내가 이룰 수 있는 것이라고 생각한다는 것을 알았다. 그 집을 사거나 승진하거나 체중 감량에 성공하면 행복해질 수 있다고 생각한다. 사람은, 올바른 체크 항목을 체크해 가면 행복이라고 하는 목적지에 도달할 수 있는 것처럼 행동하지만, 이것은 실수인 것이 데이터로부터 매우 명확하게 나타나고 있다. 하지만, 그것은 좋은 일이다. 행복은 손이 닿지 않는 곳에 있는 것이 아니라 어떤 사람이라도 금방 이룰 수 있는 것이기 때문이다"
사람을 행복하게 하는 것은 돈도, 신분도, 지위도 아니었다. 사람들이 큰 만족감(성취감)을 얻은 것은 주로 인간관계와 다른 사람과의 연결고리였다. 친구나 독서클럽, 연애 관계, 교회 모임, 함께 스포츠를 하는 사람, 동료 등 50대에서 사회적 유대감과 유대감이 강한 사람일수록 80대에서 행복한 삶을 사는 경향이 있었다.
저자들은 좋은 인간관계는 더 행복하고 건강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고 결론을 내리고 있다.
(forbes.com 원문 )
https://www.forbes.com/sites/alexledsom/2023/01/29/what-makes-people-happy-harvard-study-says-money-isnt-most-important-factor/?sh=1b0002b4517b
*재미있거나 도움이 되셨다면 '구독' 꾹 눌러 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늘 행복하세요.
'시사, 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손정의 회장 겸 소프트뱅크그룹 사장이 예측하는 AI의 미래 (20) | 2024.10.16 |
---|---|
소프트뱅크, OpenAI에 5억달러 투자 계획 손정의의 장대한 AI 전략 일부일 뿐 (43) | 2024.10.16 |
'가장 좋아하는 정치인'을 철저히 조사해야 하는 세 가지 이유 (47) | 2024.10.15 |
인공지능에 빼앗기는 것은 모든 일의 단 5%? 경제학상 유력 후보 MIT 교수 과열 AI 투자 못박는 이유 (28) | 2024.10.15 |
아시아계 미국인에 대한 증오가 인터넷에서 증가, 미 대선 후보 해리스 등 대두에 따라 (18) | 2024.10.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