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주총회 당일 주주제안 발생시 회사의 거부권 행사 가능 여부
본문 바로가기
회사법, 상법

주주총회 당일 주주제안 발생시 회사의 거부권 행사 가능 여부

by 소식쟁이2 2023. 4. 10.


주주총회 당일 주주제안 발생시 회사의 거부권 행사 가능 여부

■ 질문요지
주주제안권은 직전연도 정기주주총회일 기준 6주전까지 제안해야 하는 것으로 알고 있음. 
그런데 만일 주주총회 당일 지분요건을 갖춘 주주가 현장에서 주주제안을 한다면, 이 기한을 근거로 회사가 거부권을 행사할 수 있는지?

혹시 당일에 주주제안을 받아들여 의안이 상정된 사례가 있는지?
■ 내용설명
상법은 주주제안의 내용이 법령․정관에 위반되는 경우 이사회가 이를 목적사항으로 하지 않을 수 있음을 규정하고 있음(상법 제363조의2제3항). 

이러한 주주제안은 일정한 요건을 충족해야 행사 할 수 있으며, 상장회사의 경우에는 상법 제363조의2 제1항이 정한 지주요건과 상법 제542조의6 제2항이 정한 지주요건 중 어느 하나를 갖추어야 함.

상법상 정한 요건을 중 6개월 이내에 해당 회사의 의결권 있는 발행주식총수의 변동(신주 발행, 자사주의 처분 등)이 있었다면 그와 같은 변동이 있었던 매 시점까지 포함하여 상법이 정한 비율 이상의 주식을 보유하고 해야 하고, 상법은 주주제안권을 행사하는 주주가 그 주주총회일(정기주주총회의 경우 직전 연도의 정기주주총회일에 해당하는 그해의 해당일)의 6주 전까지 회의의 목적사항(의제)이나 의안의 요령(의안)에 관한 제안서를 제출해야 함(상법 제363조의2 제1항 및 제2항).

이러한 주주의 주주제안에 대하여 이사회는 주주제안의 내용이 법령 또는 정관을 위반하는 경우와 상법 시행령 제12조가 열거한 제한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그 주주제안을 거부할 수 있음(상법 제363조의2 제3항).

따라서 상기 질의의 경우, 이러한 주주제안 요건을 충족할 수 없는 주주총회 당일의 지분요건만을 가지고 주주제안을 할 수는 없을 것임.

그럼에도 불구하고 회사에서 주주제안을 수용한 경우의 구체적인 사례는 회사에서 직접 확인해야 할 것임. 

* 추가 질의내용은 본 블로그나 구글을 검색해 주시기 바랍니다. 
* 자료는 개인적으로 정리한 것입니다. 반드시 법률전문가 등의 확인을 거쳐 판단하고, 관련 법규의 개정이나 판례 등 최근 자료를 반드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