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킹 메모리(working memory)가 많은 커플은 '싸워도 파국으로 치닫기 어렵다'는 연구 결과
연애나 결혼생활에는 다툼이 따르지만 101쌍의 신혼부부가 참여한 실험을 통해 '워킹메모리(작업기억. working memory)가 많은 커플은 문제를 극복하기 쉽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1992년 조사에 따르면 90% 이상의 커플이 말다툼을 한 경험이 있다고 답했으며, 절반 이상은 한 달에 한 번 이상의 빈도로 말다툼을 했다. 이 같은 언쟁은 금전감각과 성관계 등에 대한 의견차이가 원인이 된 것으로 알려졌다.
커플이 의견 차이와 같은 공통의 과제를 극복할 수 있는지 여부와 워킹메모리(작업기억. working memory)의 관계를 찾기 위해, 노스캐롤라이나대학 그린즈버러캠퍼스의 심리학자 리버이 베이커 등의 연구 그룹은, 커플 101쌍을 대상으로 한 실험을 실시했다. 실험에 참가한 것은 결혼 후 3개월 미만의 커플로, 커플의 성적 지향 구분은 이성애자 93쌍, 레즈비언 7쌍, 게이 1쌍이었다고 한다.
또한 워킹메모리란 인지적인 과제에 대한 정보를 일시적으로 저장해 두기 위한 뇌의 기억 영역이다.
실험에서는 먼저 커플 각각의 워킹 메모리를 측정하는 테스트가 실시되었다. 다음으로 커플은 서로의 행동을 바꿈으로써 해결할 수 있는 문제에 대해 8분간 논의하고 논의 전후로 문제의 심각도를 평가했다. 마지막으로 커플은 별도의 공간으로 나뉘어 논의 내용에 대해 생각하라는 지시를 받았고, 상대방의 발언 내용에 대해 가능한 상세하게 답변했다.
연구진이 문제를 놓고 커플이 논의한 날로부터 4개월 후와 8개월 후 피실험자들에게 메일을 보내 문제의 심각도가 어떻게 됐는지를 문의한 결과 워킹 메모리가 많은 커플일수록 문제의 심각도가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또 워킹 메모리가 많은 커플은 문제에 대해서 논의를 한 후에 그 내용을 물어 보았을 때 상대방의 발언을 더 정확하게 기억하는 것도 알 수 있었다.
워킹 메모리 이외의 요인을 배제하기 위해 실험에서는 자제력, 고통에 대한 내성, 감정 통제력 등에 대한 테스트도 실시되었으나 모두 문제의 심각도 추이와 무관했다. 연구진은 추론능력 등 테스트가 이뤄지지 않은 인지능력의 영향까지는 배제되지 않았다는 점을 인정하면서도 워킹 메모리가 많아 논의 내용이 원활하게 장기 기억으로 옮겨졌고 이것이 문제 해결에 기여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결론짓고 있다.
미국 과학잡지 Scientific American 기사에서 베이커 등의 연구를 다룬 미시간주립대 심리학 교수 데이비드 험브릭은 누구나 사람의 이름을 듣고 몇 초 만에 잊어버린 경험이 있겠지만 그것은 그 사람에게 관심이 없었기 때문에 워킹 메모리의 기억을 장기기억으로 옮기지 못한 것이 원인이다. 마찬가지로 파트너의 말에 주의를 기울이지 않으면 기억에 남지 않을 수 있다. 덧붙여 나쁘게도, 상대가 실제로 말한 것을 정확하게 기억하지 않으면, 자신의 편리한 일만 떠올려 버려, 잘못된 기억이 생겨 버린다」고 말한다.
파트너와의 관계를 오래 지속시키는 방법에 대해서는 연인과 소중한 대화를 할 때는, 상대방이 한 말을 잘 듣는 것이 중요하다. 또 대화를 한다면 양측이 대화에 집중할 수 있도록 편안하고 음주상태가 아니며 정신이 깨끗한 환경이 조성돼 있을 때를 선택해야 한다고 말했다.
Romantic partners'working memory capacity facilitates relationship problem resolution through recollection of problem-relevant information.-PsycNET
https://psycnet.apa.org/record/2019-40707-001
How Research on Working Memory Can Improve Your Romantic Relationship - Scientific American
https://www.scientificamerican.com/article/how-research-on-working-memory-can-improve-your-romantic-relationship/
How Research on Working Memory Can Improve Your Romantic Relationship
A cognitive factor helps explain how well we understand each other
www.scientificamerican.com
'시사, 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고(思考) 억제(제한)는 오히려 욕구를 자극하는 효과가 있다 (1) | 2023.09.18 |
---|---|
하루 단 10분간만 해도 행복함을 높일 수 있는 방법 (1) | 2023.09.18 |
(정부)생활보호 보조금은 빈곤에 시달리는 사람에게 좋은 영향을 줄 수 있나? (0) | 2023.09.18 |
행복에 익숙해져 둔감해지는 쾌락적응을 피하기 위해 해야 할 일 (2) | 2023.09.18 |
(영국) 성관계를 거절하는 이유 상위 10위, 1위는 피곤하다는 것. (0) | 2023.09.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