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고(思考) 억제(제한)는 오히려 욕구를 자극하는 효과가 있다
본문 바로가기
시사, 경영

사고(思考) 억제(제한)는 오히려 욕구를 자극하는 효과가 있다

by 소식쟁이2 2023. 9. 18.

사고(思考) 억제(제한)는 오히려 욕구를 자극하는 효과가 있다

달콤한 음식이나 밥을 너무 많이 먹는 것 등을 개선해야 하는 것과 같은 습관화된 행동을 끊기 위해 먹으면 안 된다는 것이나 먹는 밥의 양을 줄이자는 식으로 생각한다. 하지만 생각하면 할수록 도저히 참을 수 없게 되고, 결국 원래의 습관을 계속하게 되는 사람도 있다. 심리학자에 따르면 「먹어서는 안 된다」 등 억제적인 사고(생각)를 가지면, 욕구를 더 높이는 것으로 연결되어, 역효과를 내는 것이 밝혀지고 있다. 

"무슨 일이 있어도 절대로 흰곰 생각은 하지 마세요"

남에게 이런 말을 들으면 거꾸로 '흰곰'을 상상하게 될 것이다. 이는 '사고 억제의 역설적 효과이론'(특정한 생각을 억제하려고 시도하면 오히려 더 떠오르는 현상, Ironic process theory)이라 하는데, 나쁜 습관을 끊기 위해 '그만두자' 등 억제적인 사고를 갖는 것은 그 일이 머리에서 떠나지 않게 되고 역효과가 난다고 한다. 

런던대학의 제임스·어스킨 등의 연구에서는, 사고 억제의 역설적 효과이론을 실증하는 실험을 하고 있다. 이 실험에서는, 약 120명의 피실험자를 「초콜릿을 생각하는 팀」 「초콜릿을 억제하도록 생각하는 팀」 「아무것도 제한을 주지 않고 좋아하는 것을 생각하는 팀」으로 나누어, 우선 각 팀에 자신들의 팀의 테마에 따른 리포트를 쓰게 하였다. 이후 각 팀 눈앞에 초콜릿을 내놓아 맛 평가를 기록하도록 요청했다고 한다. 

이 실험의 목적은 보고서의 내용이나 맛의 평가를 조사하는 것이 아니라 어느 팀이 얼마나 많은 초콜릿을 먹는지 알아보는 것이었다. 결과적으로 '초콜릿을 억제하려고 생각하는 팀'이 가장 많이 초콜릿을 먹은 것으로 나타났다는 것이다. 즉 사고를 억제함으로써 오히려 강하게 요구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파이낸셜 플래너 칼 리처즈는 자신의 친구가 사고억제를 중단하고 나쁜 습관을 끊었다는 일화를 소개했다. 

리처드의 친구는 나쁜 습관을 고치기 위해 행동하고 싶은 충동을 느낄 때마다 "참아라" "참아라" "참아라"고 자신에게 타일렀던 것 같다. 하지만 얼마가 지나도 개선될 기미가 보이지 않자 충동을 느끼면 '물 마시는 것'으로 바꿔봤다는 것이다. 그러자 서서히 충동이 사그라들어 결국 나쁜 습관을 극복할 수 있었다고 한다. 

리차즈는 나쁜 습관을 고치고 싶다면 충동에 저항하는 것이 아니라 뭔가 다른 것으로 대체하는 것을 추천한다고 말한다. 

 


Don't Think About It | Psychology Today
https://www.psychologytoday.com/us/blog/mental-mishaps/201009/dont-think-about-it

Resistance Is Futile.To Change Habits, Try Replacement Instead.- The New York Times
https://www.nytimes.com/2018/03/19/your-money/resistance-is-futile-to-change-habits-try-replacement-instead.html

 

Don't Think About It

Don't Think About It: Thought Suppression Causes Behavior Rebound

www.psychologytoday.com

 

Resistance Is Futile. To Change Habits, Try Replacement Instead. (Published 2018)

An inconvenient bit of neuroscience: The more you try not to think about a bad habit, the harder it gets to resist. So think about something else.

www.nytimes.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