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이나 위기가 탈탄소 인프라 투자를 촉진하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은 인프라 투자 비즈니스에도 영향을 미친다. 기후변화 대응으로서의 탈탄소 목표에 에너지 위기라는 절박한 동기가 더해지면서 에너지 안보가 시급한 과제가 됐기 때문이다.
전력 자급률 향상, 전원 다양화, 에너지절약 추진에 박차를 가하고 있고, 여기에다 인플레이션 우려도 투자자 심리를 흔든다. 「불가결성」과 「공공성」을 갖춘 인프라의 가치가 재검토될 것으로 보인다.
영국 정부는 2022년 4월 6일 에너지 자립을 촉진하기 위한 에너지 안전보장 강화책을 발표한 바 있다. 에너지 안보란 필요한 에너지를 안정적으로 확보하는 것과 다름없다. 새로운 계획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과 신형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 확대를 근거로 재검토한 것이다. 보도에 따르면, 2030년까지 최대 8기의 원자로를 신설하는 부분이 눈에 띄지만, 재생가능 에너지 발전의 목표도 함께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2021년 시점에서 약 12GW였던 해상풍력 발전의 발전용량을 2030년까지 최대 50GW로 한다. 이 중 10%에 해당하는 5 GW는, 수심이 깊은 해역에 띄우는 부유식 해상 풍력 발전 시설로부터의 공급을 전망한다.또한 태양광 발전은 2035년을 목표로 현재의 5배인 최대 70GW로 확대. 에너지 절약 효과가 높은 히트 펌프의 제조에도 주력한다고 한다. 이러한 대책에 의해서, 2030년까지 영국 전력의 95%가 저탄소로 대체되어, 48만명을 고용할 수 있다고 시산하고 있다.
러시아로부터의 천연가스 공급에 에너지의 상당 부분을 의존했던 독일의 사정은 더 심각하다.에너지 안전보장이 매우 중요한 과제가 되어, 2035년에 거의 모든 전력을 재에너지로 조달할 계획을 밝혔다.단, 원자력발전소에 관해서는 운전연장에 따른 효과가 제한적이고 안전기술상의 리스크도 수반된다고 판단하였다.러시아 미사일이 원전을 공격할 때 초래된 피해의 크기를 우려하는 목소리도 높다.
지금 전력자급률 향상, 전원 다양화, 에너지 절약 추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영국이나 독일을 포함한 유럽 국가들의 탈탄소 강화의 배경에는, 러시아산 자원의 공급중단에 의해, 사회기능이나 생활이 심각한 타격을 입는 절박한 사정이 있다. 특정 자원국에서 공급되는 연료에 의존한다는 리스크가 표면화 되었다.
지금까지는 기후변화 대응으로서의 탈탄소가 기축이었다. 하지만 우크라이나 위기 이후에는 에너지 안보를 위한 탈탄소로 무게중심이 옮겨가고 있다. '전력 자급률 향상', '전원 다양화', '에너지 절약 추진'의 기본 메뉴에 변경은 없지만 절박함이 커진 만큼 추진력은 강해지고 있다.
앞서 설명한 기본 메뉴의 전력 자급률 향상은 재에너지 개발 촉진, 이를 위한 새로운 규제 완화, 재에너지 전력을 낭비하지 않기 위한 축전지·송전망 정비의 가속화 형태로 진행된다. 전원 다양화는 원자력 발전이나 석탄 화력발전의 보존을 선택사항으로 할 가능성이 있다. 에너지 절약추진은 에너지 절약을 통해, 재생에너지 도입확대 시 전력의 수급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적극적인 에너지절약 마련이 요구된다. 재생 잉여전력의 유효 이용이나 수급 불균형 시의 수요억제를 촉진하는 구조가 필요하다.
'시사, 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년 신청 근로장려금 및 자녀장려금 제도란? (0) | 2022.04.29 |
---|---|
현대차그룹 탄소중립 지향 .. 국제기업연합 RE100 가입 (0) | 2022.04.28 |
엘론 머스크가 이끄는 테슬라 .. 명실상부하게 도요타를 넘어설 날이 멀지 않았다! (0) | 2022.04.28 |
엘론 머스크 박사과정 이틀만에 중퇴하고 총자산 2190억달러(약 250조원?)의 부자가 되기까지의 과정 (0) | 2022.04.28 |
"푸틴의 핵 위협으로 아마겟돈이 일어날 수 있다" (0) | 2022.04.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