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한때는 사이가 좋았어? 애당초 이스라엘과 이란은 왜 적대하고 있는가, 그 이유와 계기는?
이스라엘과 이란은 오랫동안 서로 반목하고 대립해 온 국가지만, 최근 두 국가 간 긴장이 더욱 커지면서 분쟁으로 번질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왜 이스라엘과 이란은 적대하고 있는가?
애초에 왜 이스라엘과 이란은 사이가 나쁜가 하는 것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지난해 10월 이후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가자지구를 실효 지배하는 이슬람주의 조직 하마스와의 전투가 계속되고 있지만 하마스뿐만 아니라 레바논 헤즈볼라, 예멘 후티 반군 등 친이란 시아파 무장세력 등을 지원하는 이란과 이스라엘 사이에서도 긴장이 고조되고 있습니다.
헤즈볼라와 후티 반군 등은 하마스와의 공동투쟁을 선언하며 반이스라엘 투쟁을 확대하고 있지만 이스라엘은 이들을 지원하는 이란에 대한 압박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시리아 수도 다마스쿠스에서는 4월 초 이란 대사관 건물에 이스라엘군이 발사한 미사일이 떨어져 이란 혁명수비대 사령관과 군사고문 등 13명이 사망했지만 이란은 보복으로 이스라엘에 대한 직접 공격을 감행하고 미사일과 드론 등을 발사했습니다.
또 이란 수도 테헤란에서는 7월 말 라이시 전 이란 대통령의 사고사로 새로 선출된 페제슈키안 신임 대통령의 취임식에 참석하기 위해 테헤란을 방문했던 하마스 최고지도자 이스마일 하니야가 이스라엘의 공격으로 살해되었습니다. 이란 혁명수비대에 따르면 7㎞가량의 탄약이 달린 단거리 비상물체가 하니야가 묵는 방을 향해 날아드면서 이란은 다시 이스라엘에 대한 보복조치를 검토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지난해 가을 이후 중동에서의 분쟁은 이스라엘 대 팔레스타인에서 이스라엘 대 이란처럼 확대되고 있는데, 그렇다면 왜 애초에 양국은 이렇게 적대하고 있는 것일까요.
• 1950년대~60년대는 좋은 관계
지금은 앙숙인 양국이지만 1950년대부터 60년대에는 국교가 수립되어 좋은 관계였고, 이스라엘과 이란 사이에는 직항편도 운항되어 사람들의 왕래도 활발했습니다.
당시 이란에서는 미국과 좋은 관계였던 팔레비 국왕이 실권을 가졌고 이스라엘과도 좋은 관계였습니다. 이스라엘 대외정보기관 모사드의 전직 간부도 이란에서 혁명이 일어나기 전까지 이란은 중동에서 가장 신뢰할 수 있는 나라 중 하나였다고 증언하고 있습니다.
• 이슬람 혁명이 계기가 되어
그러나 그 관계를 정반대로 만든 것이 1979년 이란에서 발생한 이슬람 혁명입니다. 이로써 친미정권이였던 팔레비 왕정이 민중의 시위에 의해 타도되고 이슬람법을 엄격하게 적용하여 종교에 의한 국가운영을 지향하는 정교일치의 정권이 생겨났습니다.
이것이 오늘날의 이란에도 이어지고 있지만, 이란의 혁명체제는 이스라엘을 이슬람교의 성지 예루살렘을 빼앗은 적으로 간주하고 그 존재도 부정하면서, 그 동안의 좋은 관계는 180도 바뀌었습니다.
그리고 이스라엘은 하마스와 헤즈볼라 등 자국 주위에 존재하는 적을 오랫동안 지원하는 이란에 대해 강한 불만과 분노를 갖고 있으며, 양국 간에는 45년여 동안 정치적 긴장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간단히 정리해 보면,
① 이스라엘과 이란은 1950~60년대는 좋은 관계를 유지했었다.
② 이란에서 일어난 이슬람혁명에 의해, 이슬람법을 엄격하게 적용해 종교에 의한 국가운영을 목표로 하는 정교일치 정권이 생겨났다.
③ 이란의 혁명체제는 이스라엘을 이슬람교의 성지 예루살렘을 빼앗은 적으로 간주하게 됐다.
④ 이스라엘 측은 이스라엘 주변의 적인 하마스와 헤즈볼라 등을 계속 지원하는 이란에 대해 강한 불만을 품고 있다.
*재미있거나 도움이 되셨다면 '구독' 꾹 눌러 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늘 행복하세요.
'시사, 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기 전에 조금만 운동하면 수면시간을 연장할 수 있다는 것이 밝혀져 (29) | 2024.09.22 |
---|---|
임신 중의 폭염은 아이들의 건강과 경제력 등에 일생에 걸친 악영향을 끼친다 (33) | 2024.09.22 |
음주로 위(胃)를 살균할 수 있을까? (21) | 2024.09.22 |
반려동물과 주인이 함께 건강하고 행복해지기 위한 '5가지'는? (37) | 2024.09.21 |
구하기 어렵다는 화웨이 「3단 접이식 스마트폰」은 380만원대 판매중, 그 사용감은? (32) | 2024.09.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