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장회사) 상법 제542조의12(감사위원회의 구성 등) 8항의 완화된 결의요건 적용
본문 바로가기
회사법, 상법

(상장회사) 상법 제542조의12(감사위원회의 구성 등) 8항의 완화된 결의요건 적용

by 소식쟁이2 2021. 12. 16.

(상장회사) 상법 제542조의12(감사위원회의 구성 등) 8항의 완화된 결의요건 적용

■질문요지는
상법 제542조의12 8항에 따르면 전자투표를 도입한 회사의 경우, 결의요건을 완화하여 출석주주 과반수 찬성요건을 적용해 선임할 수 있음

 

그럼 '신규 사외이사 선임 & 감사위원 선임'으로 단일 안건을 상정할 경우, 상기 규정(발행주식총수 1/4 이상 지분요건 적용 배제)이 둘다 적용되는지, 아니면 신규 사외이사 선임 안건 따로, 감사위원 선임 안건 따로 해야되는지?

 

추가적으로 '신규 사외이사 선임 & 감사위원 선임' 단일 안건 상정 시, 3%룰을 둘다 적용해야 되는지, 아니면 신규 사외이사 선임 안건 따로, 감사위원 선임 안건 따로 해야되는지?

 

■이를 설명하면
상기 질의에서 「'신규 사외이사 선임 & 감사위원 선임'으로 단일 안건을 상정할 경우,」 의 의미는 ‘사외이사인 감사위원’을 분리선임하는 것으로 보임.

 

분리선임(선출)방식은 감사위원을 선임할 경우 주주총회에서 (사외)이사의 선임단계를 생략하고, 이사(사외이사) 선임의안과 분리하여 곧바로 사외이사인 감사위원(또는 사외이사 아닌 감사위원)에게 3% 의결권 제한규정을 적용하여 선임하는 방식임.

 

이러한 감사위원(또는 감사) 선임에 있어 전자투표를 실시하여 주주의 주주총회 참여를 제고한 회사는 ① 감사위원회 위원(또는 감사) 선임 안건에 한하여 ② 출석한 주주의 의결권 과반수만으로 선임 결의를 할 수 있음(상법 제409조 3항, 제542조의12 8항).

 

즉, 이러한 전자투표를 채택한 회사는 분리선임하는 감사위원의 선임에 완화된 결의요건을 적용할 수 있음.

 

이 경우에 법무부의 개정 상법 관련 질의응답의 설명자료에 따르면 회사 정관상 보통결의로서 선임할 수 있는 규정은 개정 상법 제409조 3항과 제542조의12 8항에 따라 전자투표 채택시 완화된 결의요건을 적용할 수 있는 내용으로 개정하거나 해당 보통결의로만 선임할 수 있다는 규정을 삭제해야 함.

 

따라서 개정 상법에 따라 정관이 정비되어 있는 회사가 감사위원 1인을 분리선임하는 경우, 전자투표를 채택하면 3% 의결권 제한을 적용한 상태에서 출석주주의 과반수 결의만으로 선임할 수 있음.


* 이 내용은 개인적으로 공부를 위해 정리한 것입니다. 개인적 견해가 반영되어 있으므로 관련 법규의 개정 및 판례 등 최근 자료를 반드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참고] 감사위원 선임 및 감사위원회 운영

[참고] 자산 2조원 이상의 대규모 상장회사에서 감사위원회 등 구성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