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15일 광복절, 각국에서 전쟁이 끝난 날은 다르다. 무슨 일?
광복절인 8월 15일은 '종전의 날'이라고 한다. 또 나라마다 매년 이날 추모행사 등이 열리지만 각국에서 전쟁이 끝난 날은 다르다. 도대체 어떻게 된 일인가.
8월 15일은 도대체 어떤 날인지 다시 한번 역사를 되돌아보고 본다.
1945년 이날 정오 일본의 쇼와 천황이 라디오를 통해 국민에게 전쟁에 졌음을 알렸다.
이 방송에서는 연합국 측이 일본에 항복을 권고하고 전후 처리방침을 밝힌 포츠담 선언을 수락하는 일도 언급됐다.
해외에서는 일본이 항복문서에 조인한 9월 2일을 전쟁 종결의 날로 하는 경우가 많다.
항복문서의 조인식은 1945년 9월 2일 도쿄만에 떠 있는 미국 전함 미주리호였다.
즉, 이 날은 당시의 많은 일본 국민이 전쟁 종결을 통보받은 날이라고 할 수 있다(일본의 식민지 하에 있던 우리나라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하지만, 해외에서는 일반적으로, 9월 2일을 전쟁 종결의 날로 규정하고 있다. 1945년 이날 일본이 항복문서에 서명했기 때문이다.
항복 문서의 조인식은 도쿄만에 떠 있는 미국의 전함 미주리호 상에서였다. 일본에서는 정부 대표인 시게미츠 아오이(重光葵)외무대신과 군 대표인 우메즈 미지로(梅津美治郎) 참모총장이 참석해, 문서에 서명했다.
미국 등 많은 나라가 이날을 '대일 전승기념일'(Victory over Japan Day=V-J Day)로 삼고 있다.
한편 중국에서는 다음 날인 9월 3일이 전승기념일이다. 2014년 2월에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가 결정되어, 매년, 이 날에 기념행사를 실시한다고 정했다.
러시아는 2010년 9월 2일을 제2차 세계대전 종결의 날로 정했다가, 2020년에야 소련 시절의 기념일로 알려져 온 9월 3일로 되돌렸다.
우리나라와 북한, 일본은 8월 15일로 정하고 있는 나라다.
영국은 이날을 대일전승기념일로 삼고 있다. 우리나라는 이날을 해방일로 삼아 '광복절'로서 공식행사를 열고 있다. 북한도 이날을 국경일로 삼고 있지만 광복절이라고 부르지 않고 단순히 '해방기념일'로 삼고 있다.
일본의 식민지였던 대만에는 한국과 마찬가지로 광복절이 있는데 날짜는 10월 25일이다. 1945년 이날 대만에서의 항복 수락식이 열렸기 때문이라고 한다.
*재미있거나 도움이 되셨다면 '구독' 꾹 눌러 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늘 행복하세요.
'시사, 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술 안마시는 사람에 해로울 수도 음주하는 사람보다 클 수도 (57) | 2024.08.22 |
---|---|
비행(flight)·숙박 포인트로 알차게 사용하는 팁은 '빌리기', 모으면 '공유하기' (59) | 2024.08.22 |
조선왕조의 국왕도 힘들어! 오래 못살은 이유가 뭘까? (62) | 2024.08.22 |
젤렌스키 대통령과 네타냐후 총리의 '위험한 도박' .. 우크라이나는 왜 러시아를 침공하고 이스라엘은 왜 이란 국내에서 암살했나? (75) | 2024.08.21 |
억만장자(millionaire) 500명 이상에게 공통되는, 그들이 결코 하지 않는 3가지 (69) | 2024.08.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