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 환자의 30%는 자각이 없다는 조사 결과, 만약 가족이 치매환자로 보인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오랜만에 만난 고령의 부모나 친척을 쉽게 잊어버리거나 멋부리기를 좋아했었는데 몸가짐을 신경 쓰지 않게 되어 있는 경우 치매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치매 환자의 3분의 1이 자신이 치매라는 것을 깨닫지 못하고 있다'는 보고를 바탕으로 가족들의 치매 문제를 어떻게 마주해야 하는지에 대해 전문가들이 정리한 내용입니다.
Around 36% of people in England with dementia are unaware they have the condition, according to a new report from the Dementia Commission.
- what to do if you suspect your partner has the condition.
영국치매위원회는 2023년 12월에 영국 치매 환자의 약 36%가 미진단이라고 보고했습니다. 이 보고서는 의료 및 간병 전문가에게 치매 초기 증상을 발견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었지만 치매는 본인의 가까운 사람들에게도 큰 고민입니다.
아일랜드 더블린시티대 임상간호학자인 케이트 어빙 교수는 "치매 증상은 사람마다 다르기 때문에 소중한 사람의 일상생활을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 항상 깔끔하게 정리정돈하던 사람이 칠칠치 못하게 되는 것은 원래부터 털털한 사람이 좀 더 털털해지는 것과는 딴판"이라고 말했습니다.
치매의 초기 증상으로는 기억의 문제가 잘 알려져 있지만 스트레스나 슬픈 사건이 기억에 영향을 줄 수 있고 나이가 들면서도 인지기능은 변화하기 때문에 건망증이 있었다고 치매가 시작된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스트레스 등 다른 원인 때문이라고 몰아붙이는 것이 치매 징후를 놓치는 원인이 될 수도 있어 전문가들은 이를 '진단의 그림자(diagnostic over-shadowing)'라고 부릅니다.
대부분의 경우 치매는 몇 달에서 몇 년이라는 기간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기억하는 데 시간이 걸리는 문제가 며칠에서 몇 주라는 짧은 시간에 일어날 경우 치매가 아니라 더 심각한 어떤 가능성이 있으므로 의사의 신속한 진찰이 필요합니다라고 어빙 교수는 말했습니다.
한편 치매는 현대 사회에서 가장 큰 공포 중 하나이며, 그 사람이 그 사람이 아니라는 두려움 때문에 치매에 관한 화제는 피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또 말하는 경우도 익숙해지거나 창피를 주는 그런, 그 사람에게 도움이 안 되는 방식이 될 수도 있고 다른 친척에게만 이야기하고 본인에게는 상담하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러한 엇갈림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신뢰관계의 손상으로 발전할 수도 있기 때문에 기억장애가 있거나 본인이 기억문제에 대한 걱정을 말한 시점에서 본인과 솔직하게 대화하는 것이 최선이라고 어빙 교수는 주장합니다.
치매나 그 의심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은 누구에게나 용기가 필요하며, 때로는 본인이 기억의 문제를 부정하거나 전혀 자각이 없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러한 부정이나 잘못된 추측은 그 자체가 치매증상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지만 어쨌든 기억 장애에 대해 누군가 우려를 표명한다면 무겁게 받아들여야 합니다.
어려운 것이 본인이 걱정할 필요가 없다고 완고하게 부정하는 경우입니다. 이런 경우에 대해 어빙은 '걱정할 필요가 없다는 것은 알지만 나는 걱정되니 나를 안심시키기 위해 병원에서 진찰을 받아 달라고 부탁하는 것'도 방법이라고 조언했습니다.
또 기억장애에는 어느 정도 가역적인 원인이 있다는 것, 즉 어느 정도 회복시킬 수도 있다는 것을 설명하고 원인을 제거하기 위해 진찰을 받으러 가도록 권유하는 것도 한 방법입니다.
본인이 진료에 긍정적인 경우 미리 경험한 기억장애의 종류와 그 때 상황, 기억장애의 영향을 1주일 정도 기록해 두면 진단 시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어빙은 가족과 치매 문제에 대해 '기억장애나 망상에는 스트레스가 따르는 경우도 많기 때문에 이것이 일상생활에 지장을 주거나 가족관계를 악화시킬 수도 있지만 최선책은 정직하고 개방적인 것입니다. 즉, 「함께 힘내자」 「힘이 되고 싶다」 「무슨 일이 일어나도 정면으로 마주하자」라고 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만약 본인이 싫어한다면 그 사람을 더 잘 도와줄 수 있는 다른 가족의 도움을 받는 것도 좋을 것입니다'라고 말했습니다.
*재미있거나 도움이 되셨다면 '구독' 꾹 눌러 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늘 행복하세요.
More than a third of people with dementia don't know they have it – what to do if you suspect your partner has the condition
https://theconversation.com/more-than-a-third-of-people-with-dementia-dont-know-they-have-it-what-to-do-if-you-suspect-your-partner-has-the-condition-219172
'시사, 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 정부계 그룹의 '사상 최대 부(富)의 이전'…트럼프 차기 행정부의 대응책은? (12) | 2025.01.03 |
---|---|
중장년층은 운동 안하면 사고력, 스트레스 내성 저하 언제·얼마나 운동해야 할까 (15) | 2025.01.03 |
한국이 TSMC에 대항하는 수탁칩 제조업체 'KSMC' 창설 검토 (20) | 2025.01.02 |
Apple이 중국에서의 AI 기능 제공을 위해 Tencent 및 ByteDance와 협상 중이라는 보도 (28) | 2025.01.02 |
인간은 왜 결정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가? 어떻게 하면 납득할 수 있는 결정을 내릴 수 있을까? (4) | 2025.01.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