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준비금의 감소와 동일한 주주총회에서 이를 재원으로 배당결의가 가능한지 여부
본문 바로가기
회사법, 상법

자본준비금의 감소와 동일한 주주총회에서 이를 재원으로 배당결의가 가능한지 여부

by 소식쟁이2 2022. 10. 2.

자본준비금의 감소와 동일한 주주총회에서 이를 재원으로 배당결의가 가능한지 여부

■ 질문요지
상법 제461조의2(준비금의 감소) 회사는 적립된 자본준비금 및 이익준비금의 총액이 자본금의 1.5배를 초과하는 경우에 주주총회의 결의에 따라 그 초과한 금액 범위에서 자본준비금과 이익준비금을 감액할 수 있다.

Q.1 상기 상법에 따라서 2023년 정기주주총회에서 자본잉여금을 감액하고 이익잉여금에 전입후 동일한 주주총회에서 동 재원으로 배당결의가 가능한지 ?

Q.2 상기 상법에 따라서 2023년 정기주주총회에서 자본잉여금을 감액하고 이익잉여금에 전입후 2023년 중에 자사주 매입 재원으로 사용 가능한지?

■ 내용설명
상법 제461조의2에 따르면 주식회사는 적립된 자본준비금 및 이익준비금의 총액이 자본금의 1.5배를 초과하는 경우에 주주총회의 결의에 따라 그 초과한 금액 범위에서 자본준비금과 이익준비금을 감액하고 배당가능이익을 증가시킬 수 있음.

이와 관련하여 자본금의 1.5배를 초과하는 자본준비금 및 이익준비금의 총액은 그 초과한 금액 범위 내에서 준비금 감소를 결의하고, 동일한 주주총회에서 감소된 준비금을 재원으로 하는 이익배당을 할 수 있는지 여부에 관하여 ‘즉시 배당가능설’과 ‘즉시 배당불가능설’의 2가지 견해가 대립되고 있음.

이 경우 ‘즉시 배당가능설’은 과도하게 적립된 준비금을 배당재원으로 용이하게 활용하고자 하는 입법취지를 고려하면 일견 타당한 견해라고 할 수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법상 규정(제462조 제1항)으로 배당가능이익 산정시 대차대조표의 순자산액에서 “그 결산기까지 적립된” 준비금을 기준으로 공제하도록 하고, 중간배당 및 분기배당의 경우 “직전 결산기까지 적립된”준비금을 배당재원에서 공제(상법 제462조의3 제2항, 자본시장법 제165조의12)하는 등의 배당 관련 법 규정의 문언과 체계를 고려하면  ‘즉시 배당불가능설’ 타당하다고 할 수 있음. 

이와 관련하여 법무부는 기존의 유권해석(2013. 6. 26. 상사법무과-2089)을 변경하여 감소된 준비금을 재원으로 동일 정기주주총회에서 이익배당이나 자기주식 취득을 위한 용도로 사용할 수 없는 것으로 판단하고 있음(법부부 민원(1AA-1711-274504) 참고).

따라서 상기 ‘즉시 배당불가능설’ 및 법무부 유권해석 등을 종합하면 ’동일한 주주총회‘에서 자본잉여금을 감액하고 이익잉여금에 전입한 후 해당 재무제표에 반영된 배당가능이익으로 배당결의를 할 수 없으며, 주주총회 후에 승인된 재무제표에서 확보한 배당가능이익으로 차기 사업년도에는 자기주식을 취득할 수 있을 것임.

* 추가 질의내용은 본 블로그나 구글을 검색해 주시기 바랍니다. 
* 자료는 개인적으로 정리한 것입니다. 반드시 법률전문가 등의 확인을 거쳐 판단하고, 관련 법규의 개정이나 판례 등 최근 자료를 반드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