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상에서 유언비어·가짜정보·음모론이 주목을 받아 폭발적 속도로 확산하는 이유가 연구로 밝혀졌다.
세계경제포럼이 선보이고 있는 Outlook on the Global Agenda 2014(2014년 세계 10대 트렌드) 속에는 'The rapid spread of misinformation online(온라인상 오보의 확산)'이라는 항목이 있는데, 인터넷상에는 루머와 오보(가짜뉴스), 가짜 정보부터 음모론까지 다양한 정보가 넘쳐난다. 이런 정보가 왜 퍼지는지에 대해 노스이스턴 대학의 Walter Quattrociocchi와 그의 동료들에 의한 연구팀이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소셜네트워크는 구조상 각 사용자가 정보를 공유하는데 최적화돼 있다. 하지만 사회관계망서비스(이하 SNS) 자체에 정보의 옳고 그름을 판별해 그것들을 분류할 만한 능력은 없기 때문에 소문·가짜정보·음모론 등이 확산되기 쉬운 성질을 가지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Quattrociocchi와 그의 연구팀은 페이스북 사용자가 얼마나 속기 쉬운지의 기준을 얻기 위해 230만명 이상의 이탈리아 페이스북 사용자를 조사 대상으로 삼아 페이스북에 올라온 정치 관련 정보로 압축해 2013년 선거철 조사가 이뤄진 것으로 알려졌다. 조사에서는 19만 개 이상의 게시물과 2300만 개 이상의 '좋아요', 약 440만 건의 '댓글', 470만 건 이상의 '좋아요&댓글'에서 페이스북 사용자들이 '가짜 정보를 어떻게 다루는지'를 분석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
분석에서는 "좋아요"라고 게시글의 수를 기준으로 하고 있으며, 그리고 페이스북 사용자가 주로 3개의 카테고리에서 오는 뉴스 게시글을 어떻게 다루고 있는지를 조사하고 있다. 3개의 카테고리라고 하는 것은 주요 언론사·기타 언론사(주요 언론사가 보도하지 않는 이슈를 다루는 뉴스 사이트)·정치적인 해설 등을 실시하는 사이트의 3종류이다.
연구에서는 가짜 정보에 대해서 최초로 코멘트가 나오고 나서 마지막 코멘트가 나오기까지의 시간(인터넷상에서 화제가 된 시간)을 계측했다. 연구팀은 이 시간부터 가짜 정보가 얼마 동안 올바른 정보라고 믿어졌는지 알고 싶었다고 했는데, 조사 결과를 통해 밝혀진 것은 페이스북이나 SNS에 익숙한 사람이라면 '분명히'라고 납득할 만한 것이었다.
조사결과를 뉴스를 보도한 기관별 '인터넷상에서 화제가 된 시간'으로 비교해보니 아래 그래프와 같다.
세로축이 확률, 가로축이 '화제가 된 시간'을 나타내고 있으며, 빨간색 선이 주요 언론사, 노란색 선이 기타 언론사, 파란색 선이 정치적인 포스트를 수행하는 사이트를 나타내고 있으며, 그래프는 3개의 카테고리로 나누어진 정보원이 어느 정도 비율이며, 어느 정도 기간 화제가 되는지를 보여준다.
이 그래프를 보면 정보의 '신뢰성(3가지 범주로 나누어진 정보원)'이 '화제가 된 시간'에 미치는 영향은 거의 없으며 SNS상에서 화제가 되는 뉴스에 있어서 '진실'인지 '거짓말'인지 이런 요소는 그다지 중요하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 그래프와 비슷하게 생긴 것이 아래 그래프. 아래 그래프는 세로축이 확률, 가로축이 페이스북 상에서 이루어진 액션(좋아요나 댓글)의 수를 나타내고 있으며, 빨강, 노랑, 파랑선은 위 그래프와 같은 것을 나타낸다.
서로 다른 성질의 정보임에도 불구하고 패턴은 매우 비슷하고 확증이 없는 음모론과 같은 정보라도 다른 정보와 비슷한 시간 화제에 오르며 사용자의 관심을 끌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연구에서는 대화의 내용까지는 체크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Facebook 사용자가 재빨리 허위 정보인 것을 밝혀내고, 그것에 대해 코멘트를 주고 받고 있을 수도 있다라면서도, 보다 주목해야 할 점은, 「포스트(post)가 오보든 소문이든 거짓이든 무엇이든, 사용자는 동등하게 주목을 한다」는 점이라고 말하고 있다.
*재미있거나 도움이 되셨다면 '구독' 꾹 눌러 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늘 행복하세요.
How to Starta Conspiracy Theory on Facebook - Megan Garber - The Atlantic
http://www.theatlantic.com/technology/archive/2014/03/how-to-start-a-conspiracy-theory-on-facebook/284511/
How to Start a Conspiracy Theory on Facebook
On the network, new research suggests, false information can be as attention-grabbing as facts.
www.theatlantic.com
'시사, 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2) '유대'란 도대체 누구이고 무엇인가? 성경과 역사로 풀어보면 '지금'의 세계가 보인다 (31) | 2024.09.29 |
---|---|
(1) '유대'란 도대체 누구이고 무엇인가? 성경과 역사로 풀어보면 '지금'의 세계가 보인다 (21) | 2024.09.29 |
북한 김여정 부부장의 5개월 만의 '미국 비판 담화' 북한의 맞대응 카드는 무엇인가? (35) | 2024.09.28 |
美 정부, 中 EV 공세에 '유효한 한 수, 커넥티드 카 기술 배제' (40) | 2024.09.28 |
워런 버핏이 하는 '자신에게 투자하는 3가지' (35) | 2024.09.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