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단아(異端兒)의 감성인가 거꾸로 가는 건가? 당신의 감성은 주변에서 어떻게 보일까요?
우리 속담에 '모난 돌이 정 맞는다'는 말은, 글자 그대로 '튀어 나온 돌이 망치질을 당한다'는 의미 일 것입니다. 따라서 주위를 살펴 조화를 이루며 생활하라는 의미일 것입니다.
하지만 현대 사회에서 사회적 트랜드나 유행 등 많은 사람들이 따르는 작품이나 말이나 행동 등은 빠르게 널리 공유됩니다.
이에 대해 '이거 좋다!', '이것 최고!'라고 바로 동조하거나 공감을 표시하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나에게는 맞지 않았다', '나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라고 주위와는 반대되는 반응을 보이는 사람들도 반드시 있습니다.
이런 사람은, 「유행에 휩쓸리지 않는다」라고 높은 평가를 받을 수도 있고, 「단순하게 외면한다」며 저평가 될 수도 있을 것입니다.
이렇게 언뜻 보면 다른 의견을 가지고 있어 사람들의 인식이 이렇게 크게 다른 이면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미국 조지아대(University of Georgia) 심리학부 소속 브라이언・W・하스 등 연구팀은 다른 사람들과 다른 두 가지 유형의 이단아(異端兒) 감성과 거꾸로 가는 것에 대해 사람들이 어떤 인상(일방적이고 편견을 포함한 이미지)을 갖고 있는지 조사했습니다.
스스로는 트렌드에 휩쓸리지 않는 '이단아(異端兒)의 감성'이라고 생각해도, 주위에서는 '태생적 반대자'로 보거나 또는 어떻게 보는지 모릅니다.
자세한 연구 내용은, 2023년 12월 24일자의 학술지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에 게재되어 있습니다.
◆ '주위와 다른 사람'에 대한 사람들의 이미지를 찾다
개인이 중시되는 미국에서는, 걸출한 인물이나 특출난(only one) 사람을 주목하여, 「닮고 싶다」 「동경한다」는 것으로 인식하게 됩니다.
'다른 사람과 다르다는 것은 멋있다'고 느낄 수 있습니다.
협조성을 중시하는 우리 사회에서 원만한 생활을 요구하고, 이런 생각이나 인식은 사회적으로 널리 퍼져 있는 것도 사실입니다.
또한 「히어로물」의 드리마나 영화에서는 주인공이 「남들과는 다른 특별한 재능을 가진」 것으로 흔히 그려집니다.
또 연애소설이나 드라마에서는, 여자 주인공은 '평범하지 않은 나쁜 남자'를 사랑하거나 '여주인공이 주변의 이단아'를 사랑하는 스토리가 단골 매뉴처럼 등장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현실 세계에서 자신이 다른 사람과 다를 경우 주변에서 실제로 어떻게 보고 있는지는 쉽게 알 수 없습니다.
스스로는 '트렌드에 휩쓸리지 않는 독자적인 감성'을 내세우고 있어도, 주위에서는 '태생적 반대자'라고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
하스 등 연구팀이 진행한 연구는 '대다수와 다른 사람'을 사람들이 어떻게 보고 있는지를 밝혀냈습니다.
이 정보는 어느 정도 자신을 객관적으로 보는 데 도움이 될 수도 있을 것입니다.
◆ '이단아의 감성'이냐 아니면 '태생작 반대자'냐
이번 연구팀은 여러 조사를 통해 두 가지 유형의 '주위와는 다른 사람'에 대해 미국 사람들이 어떤 이미지를 가지고 있는지 조사했습니다.
그 두 가지 유형은 이단의 감성(Mavericks)과 반대자(Contrarians)입니다.
'이단아의 감성'이란 자신에게 확고한 의견이 있고 주변 견해에 휩쓸리지 않는 사람을 말합니다.
'태생적 반대자'는 일반적인 의견과는 굳이 다른 반대를 주장하는 사람을 말합니다.
그렇다면 사람들은 이 두 가지 유형에 대해 어떤 느김을 가지고 있을까요?
(※조사 결과는 미국인의 생각의 경향을 나타내지만, 고정관념이나 편견이 크게 포함되기 때문에 결과에 '정당성'이 있는 것은 아닙니다.)
첫 번째 조사에서는 '이단아의 감성'이나 '태생적 반대자'로 어떤 유명인이 꼽히는지 조사했습니다.
그 결과 이단 감성으로는 보컬리스트 싱어송라이터 빌리 아일리시와 영화배우 조니 뎁 등이 꼽혔습니다.
한편, 역주행으로는 싱어송라이터 '레이디 가가'와 모델·여배우 '킴 카다시안' 등이 꼽혔습니다.
◆ 미국 이단아 감성은 리더십, 태생적으로 반대하는 것은 창의성과 연관
다음 연구에서는 160명의 참가자가 선정됐고, 이들은 이단아의 감성이나 태생적으로 반대하는 것에 대한 인상(일, 성격, 능력 등)을 응답했습니다.
그 결과 이단아의 감성이 태생적으로 반대하는 것보다 긍정적으로 보인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참가자들은 이단아의 감성에 대해 '높은 능력을 지녔다', '리더십이 있다'고 생각하며 CEO나 기업가 등의 직업과 연관지었습니다.
참가자들은 이단아의 감성에서 높은 능력과 리더십을 연상합니다.
한편으로 참가자는, 반대 주장에 대해서, 「따뜻함이나 협조성을 내던지고, 다수파와의 차별화를 도모하는 사람」 「외모를 중시하는 사람」 「창조성이 높은 사람」이라고 생각해, 뮤지션이나 아티스트와 같은 크리에이티브한 직업과 관련지었습니다.
또, 이단적인 감성을 가진 사람은 보다 쾌활하고 유능한 것으로 간주되고, 단순한 반대자 보다 사교성이 좋고 신경질적인 것으로 간주된 것 같습니다.
왜 태생적 반대자는, 「협조성이 없다」에 「사교성이 높다」라고도 간주되고 있을까?
하스에 따르면 "의도적으로 다수파를 피하거나 사회에 녹아드는 것을 거부하려면 사회나 집단이 하는 일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계획적으로 그 반대로 가야 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거꾸로 가는 것은, 「사회나 단체의 보통 수준」을 잘 이해하고 있기 때문에, 그 반대로 갈 수 있습니다.
더불어 260명의 참가자를 대상으로 한 추가 연구에서는 두 유형에 대해 참가자들이 다음과 같은 편견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습니다.
이단아의 감성은 '연상', '남자에게 많다', '삶에 만족한다', '양심적' 등입니다.
한편, 반대 주장은, 「젊다」 「여성에게 많다」 「인생에 만족하지 않는다」 「승인 욕구」 등 입니다.
물론 이것들은 미국 참가자들이 갖는 일방적인 생각이며, 결코 이 견해가 옳은 것은 아닙니다.
당신은 이단아의 감성? 아니면 거역? 아니면……
그래도 이번 연구는 자신이 다수파가 아닌 경우에 사람들로부터 어떻게 보여지고 있는지를 짐작해 보는 데 도움이 됩니다.
결과는 사람들이 트렌드와 반대되는 의견을 내는 사람에 대해 기대하고 있는 자질이나 특성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스스로는 이단아의 감성이라고 생각해도 능력이나 리더십이 낮고 불만만 쏟아낸다면 주위 사람들은 반대를 위한 반대, 태생적 반대자라고 볼 수 있을 수도 있습니다.
또 레이디 가가와 같이 돌출한 「추세를 거스르는 자」가 되고 싶다고 생각하고 있어도, 창조성이나 사회에의 이해도가 낮고, 계획성도 없다면, 추세를 거스르것이 아니고, 단순히 「협조성이 없는 평범한 사람」이라고 밖에 볼 수 없을 것입니다.
앞으로 연구팀은 미국 이외의 나라에서 이 두 가지 유형이 어떤 인상을 받고 있는지 조사하려고 합니다.
*재미있거나 도움이 되셨다면 '구독' 꾹 눌러 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늘 행복하세요.
The analysis of spontaneous stereotype content demonstrated that mavericks are generally viewed in a more positive light compared to contrarians. Mavericks were associated with high levels of competence, including traits such as assertiveness and ability, and were often thought of as being suitable for leadership roles. This positive stereotype extends to perceptions of mavericks being more likely to engage in vocations that require independence and leadership, reflecting societal respect and admiration for their autonomy and capability.
Understanding differences in nonconformity
https://news.uga.edu/understanding-differences-in-nonconformity/
Mavericks vs. contrarians: Study highlights perceptions of two distinct types of nonconformists
https://www.psypost.org/mavericks-vs-contrarians-study-highlights-perceptions-of-two-distinct-types-of-nonconformists/
All You Nonconformists Are (Not) All Alike: Dissociable Social Stereotypes of Mavericks and Contrarians
https://journals.sagepub.com/doi/10.1177/01461672231217630
Understanding differences in nonconformity - UGA Today
UGA study looks at qualities of mavericks and contrarians.
news.uga.edu
'시사, 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문학이 그 어느 때보다 필요한 이유 (53) | 2024.03.17 |
---|---|
미 역대 위대한 대통령 순위 ... 오바마 7위, 바이든 14위… 그럼 트럼프는? (50) | 2024.03.17 |
DEI(Diversity, Equity, Inclusion. 다양성, 형평성, 포용성)가 확산되는 미국 사회의 균열 (93) | 2024.03.16 |
10대는 수면 부족과 일찍 일어나는 것으로 우울증이나 고독감을 느끼기 쉬워진다 (68) | 2024.03.16 |
다가오는 비트코인 반감기, 그 구조와 가격에 미치는 영향 (57) | 2024.03.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