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주를 멈추면 인체에는 어떤 영향이 오는가?
일부 국가의 알코올(술) 소비량은 감소 추세이며, 특히 젊은 남성에서는 습관적으로 음주하는 사람의 수가 감소하고 있습니다. 무알콜 음료의 수요 증가도 있어 알코올 끊는 사람도 늘고 있는데, 실제로 술 마시는 것을 멈추면 도대체 어떤 변화가 몸에 일어나는지를 과학 매체 Live Science가 정리한 내용이다.
세계적으로도 젊은이들의 알코올 기피 현상이 일어나고 있으며, 금주(禁酒)를 보고한 미국 대학생 수는 지난 20년간 8% 증가했습니다. 또 2019년 영국에서 발표된 조사 데이터에 따르면 16~24세 성인이 된 지 얼마 안 된 젊은이의 26%가 '전혀 음주하지 않는다'고 응답했습니다. 사람이 금주(禁酒)하는 이유는 다양하며 칼로리를 의식하여 음주를 그만두는 사람도 있고, 간 손상이나 혈압상승, 암과 같은 질병 발병의 위험을 낮추기 위해 알코올을 끊는 사람도 있습니다.
'일반 음주자'를 정의하기는 어렵지만 미국 질병예방관리센터(CDC)에 따르면 여성의 경우 하루 1잔, 남성의 경우 하루 2잔의 알코올이 '적당한 음주량'으로 정의돼 있습니다. 또한 CDC의 정의에서 1잔의 알코올은 '알코올 도수 5%의 맥주 350ml' 혹은 '알코올 도수 12%의 와인 140ml'를 가리킨다고 합니다.
또 CDC는 여성의 경우 2~3시간에 최소 4잔, 남성의 경우 2~3시간에 최소 5잔의 음주를 '단시간 대량음주'로 정의합니다. 나아가 여성의 경우 주당 8잔 이상, 남성의 경우 주당 15잔 이상의 음주를 '과잉음주'로 정의하고 있습니다.
다만 성인 음주자의 3분의 2가 적어도 한 달에 한 번은 '적당한 음주량'을 초과하는 음주를 하는 것으로 2014년 연구에서 나타났습니다.
'알코올 의존증 병력이 없는 사람에게 1개월 금주(禁酒)를 한다'는 조사 결과가 2018년 British Medical Journal에 발표된 바 있습니다. 이 조사에서는 평균 45세의 피험자를 94명 모아, 1개월의 금주를 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피실험자는 일주일에 약 258g의 알코올을 마시는 '중간에서 고도의 음주자'가 모여 있으며, 이는 CDC의 '1잔의 알코올' 정의로 말하면 일주일에 18잔(하루당 약 2.6잔) 정도의 알코올을 섭취하고 있다는 계산이 될 것입니다.
1개월의 금주 후 피험자들은 다양한 건강상 긍정적인 효과를 경험했다고 응답하였으며, 평균적으로 금주함으로써 혈압은 6% 감소하고 체중은 약 2.2파운드(약 1.5kg) 감소하였으며, 당뇨병 발병위험을 반영하는 인슐린 저항성은 25% 하락한 것으로 보고되었습니다.
이 연구의 저자이자 런던대 간호학 교수인 케빈 무어는 조사 결과에는 기재되지 않았지만 피험자들의 기분도 좋아지고 집중력이 높아져 잠을 잘 잔 것으로 보고됐다고 Live Science에 말했습니다.
아울러 암 증식을 촉진하는 혈중 단백질인 상피성장인자(EGF)와 혈관내피증식인자(VEGF) 수준이 EGF는 약 73%, VEGF는 약 41%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에 대해 무어는 알코올이 처음부터 암을 발생시키는 것이 아니라 일단 체내에 정착한 뒤 암 증식을 촉진하고 있음을 시사한다고 가설을 세우고 있습니다. 다만 이 가설을 검증하려면 적당한 음주자를 대상으로 한 장기조사를 할 필요가 있다고 연구팀은 주장하고 있습니다.
또한 금주로 인한 긍정적인 효과가 1개월 이상 지속되는지 여부도 현 시점에서는 불분명합니다. 그러나 무어는 알코올이 몸에 생리학적 영향을 준다는 것은 분명합니다. 따라서 그 영향들이 모두 사라진다면 놀라운 일입니다"라고 말해 금주에 따른 긍정적인 효과가 금주 시작 후 한 달 이상이 지나도 나타날 것으로 추측하고 있습니다.
무어는 금주로 인해 기분이 좋아지고 잠을 잘 자게 되어 신체적 건강면이 개선된다고 강조하고 있지만, 일부 음주자들은 이러한 긍정적인 면보다 금주함으로써 생기는 부정적인 면(소위 술자리를 갖지 못하게 되는 등)을 신경 써서 금주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는 합니다.
아울러 무어 등의 조사는 '알코올의존증 병력이 없는 음주자'를 대상으로 한 것이지만 알코올의존증을 앓는 사람이 어느 날 갑자기 금주하거나 음주량을 대폭 줄이면 금단 증상을 겪을 수 있다는 점은 유의해야 합니다.
중추신경계는 알코올의 억눌림 효과에 크게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알코올의존증 금단 증상이 생기면 음주를 멈추어도 뇌가 '과도한 활동' 상태로 남아 불안·불면증·과민증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경우에 따라서는 환각이나 발작을 일으켜 죽음에 이르는 경우도 있습니다.
What happens to your body when you stop drinking alcohol?
https://www.livescience.com/health/alcohol/what-happens-to-your-body-when-you-stop-drinking-alcohol
What happens to your body when you stop drinking alcohol?
Many people have stopped drinking alcohol completely. What happens to your body when you do that?
www.livescience.com
'시사, 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뇌를 활성화시키는 음식과 영양소 여러가지 (0) | 2023.09.07 |
---|---|
인생의 과도기에 부정적 사고(思考)는 전염되고 우울증의 위험이 높아진다 (0) | 2023.09.05 |
'젊은이의 섹*스 이탈' 미국에서도 심각한 것으로 밝혀져 (0) | 2023.09.05 |
여성을 자원으로 보는 성적경제학(性的經濟學) (0) | 2023.09.05 |
낮잠은 '30분 이상' 자면 건강에 역효과가 난다! (2) | 2023.09.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