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10대 소년・소녀는 중2병과 같은 어리석은 짓을 해 버릴까?
본문 바로가기
시사, 경영

왜 10대 소년・소녀는 중2병과 같은 어리석은 짓을 해 버릴까?

by 소식쟁이2 2023. 11. 29.

왜 10대 소년・소녀는 중2병과 같은 어리석은 짓을 해 버릴까?

젊을 때는 가끔 어리석은 선택을 하기도 하지만 소년・소녀가 어리석은 행동을 하는 것은 위험을 좋아해서가 아니라 어른보다 모호함을 받아들이고, 어떤 결과가 기다리고 있는지 몰라도 행동에 나서기 때문이라는 것이 새로운 연구를 통해 알려졌습니다.

 

Instead, a team of economic researchers and psychologists explains that adolescents are more willing than adults to accept ambiguity and take action even when they don't fully understand the consequences, according to a study released today (Oct. 1).

"In risky situations where you know the outcomes and the probability of the outcome, teenagers didn't take more risks than adults," lead study researcher Agnieszka Tymula, a postdoctoral fellow at New York University, told LiveScience. "Teenagers went for the risky option more often when the outcome was not exactly known."

연구를 수행한 뉴욕대 Agnieszka Tymula는 어떻게 될지 알 때나 그럴 것이라는 전망이 있을 때 10대 아이들은 어른에 비해 위험(리스크)을 선택하지 않는다고 말합니다. '10대 아이들이 보다더 위험(리스크)을 선택하는 것은 그 결과를 잘 모를 때'라는 것으로, 이번 연구에서 Tymula 등은 미지의 것에 대한 용인이 소년소녀의 위험한 행동을 일으키고 있다고 결론 내렸습니다.

이 연구에서는 12세에서 17세의 소년 소녀 33명과 30세에서 50세의 어른 32명을 피실험자로 하여 피실험자들에게 게임을 하게 했습니다. 게임 내용은 세 가지 선택지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것이고, 선택지 중 하나는 5달러를 지불하는 것, 다른 하나는 50달러를 지불하느냐 50달러를 받느냐가 50/50 확률이라는 선택지, 마지막 하나는 지불을 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이때 50달러를 받거나 아예 지불하지 않을 가능성은 25%~75%였습니다.

160번의 게임 중 승률을 미리 알려줬을 때 위험한 선택을 하는 소년소녀는 어른보다 소수였습니다. 예를 들어 승률이 38%일 때 내기에 참여한 아이들은 50%였지만 반면 75%의 어른은 내기에 참여했습니다. 그러나 지불 확률을 알리지 않고 게임을 하면 그들은 내기에 참여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소년소녀는 위험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있고 위험이 큰 행동을 하고 싶어하지 않는다는 것을 이 연구를 통해 알게 된 것입니다."라고 Tymula는 말합니다.

연구에는 참여하지 않았지만 위험과 의사결정을 분석하는 비영리단체인 Decision Research의 설립자 Paul Slovic에 따르면 모호한 상황에는 좋은 결과나 낙관적이거나 희망적이라는 요소가 포함되어 있어 결과 전망이 애매한 도박은 숙고하지 않고 즉각적으로 낙관적인 생각으로 연결되므로, 승률이 50/50인 게임은 희망을 억제하고 큰 돈을 지불한다는 점에 관해 소년소녀의 긍정적인 감정을 줄였다고 합니다.

그러나 템플대에서 교육심리학을 가르치고 있는 Frank Farley는 "이 결론이 매우 흥미롭기는 하지만 행동의 폭이 좁고 샘플 수도 적기 때문에 정확한 검증이 이뤄졌다고 할 수 없습니다. 즉, 이것만으로 일반화하는 것은 어렵다는 것입니다." 또 어른과 아이는 돈의 가치관도 다르지만 이 실험에서는 그 점을 조정하지 않았다는 점도 Farley는 지적했습니다.

Tymula는 이 연구를 더욱 계속해, 인생의 범위에 있어서의 모호한 위험(리스크)와 명확하게 알고 있는 위험(리스크)에 대한 행동이 어떠한 것인지를 밝히고, 인간은 생물학적으로 어떻게 위험(리스크)에 대응하고 있는지라는 것을 뇌의 기능과도 관련짓고 싶다고 생각하고 있다고 합니다. 그러나 현 단계에서는 이 연구를 소년소녀의 음주운전을 줄이기 위해 시뮬레이션을 실시하게 하는 등의 형태로 활용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재미있거나 도움이 되셨다면 '구독' 꾹 눌러 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늘 행복하세요.

 

Risky Business: The Real Reason Teens Do Stupid Things | LiveScience
http://www.livescience.com/23614-why-teens-do-stupid-things.html

 

Risky Business: The Real Reason Teens Do Stupid Things

Adolescents are known to do stupid things, but that doesn't necessarily mean they're risk takers. Instead, a team of economic researchers and psychologists explains that adolescents are more willing than adults to accept ambiguity and take action even wh

www.livescience.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