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머니는 자신보다 '우리 아이'의 성공에 뇌가 더 크게 반응한다!
본문 바로가기
시사, 경영

어머니는 자신보다 '우리 아이'의 성공에 뇌가 더 크게 반응한다!

by 소식쟁이2 2023. 11. 24.

어머니는 자신보다 '우리 아이'의 성공에 뇌가 더 크게 반응한다!

엄마로서 아이에 대한 애정은 자신을 향한 자기애(자기사랑)를 넘어서는 것 같습니다.
중국 수도사범대학(CNU) 연구에서 어머니는 스스로 보상을 받을 때보다 우리 아이가 보상을 받을 때 뇌 반사속도가 올라가고 신경반응도 더 강해지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어머니가 본능적으로 '나보다 아이가 얻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음을 시사하는 결과입니다.

자세한 연구 내용은, 2023년 9월 13일자로 과학 잡지 「Social Cognitive and Affective Neuroscience」에 게재되어 있습니다.

Research has consistently shown that the reward processing system reacts more intensely when individuals obtain rewards for themselves compared to when they acquire them for others, including friends, enemies, or charity programs. The intensity of the neural response varies depending on the psychological closeness of the person for whom the rewards are secured. Gaining rewards for a close friend or one’s mother elicits a stronger neural response than doing so for a stranger.

◆ 어머니로서 아이에 대한 애정은 '내가 우선'를 넘어설 수 있다?
뇌에 있어서의 「보상체계(reward system)」는, 기쁜 일이나 만족감을 얻는 경험을 통해서 활성화하는 신경시스템입니다.

보상체계가 반응하면 동시에 뇌내 호르몬 중 하나인 '도파민'이 분비돼 우리 안에 의욕과 동기의 감정을 일으킵니다.
그러나 보상체계에 관련된 선행 연구는 일관되게 우리의 뇌는 다른 사람을 위해 보상을 받을 때보다 자신을 위해 보상을 받을 때 더 강하고 빠르게 반응한다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

친구가 복권에 당첨되거나 동료가 먼저 승진하는 것 보다 내가 그렇게 되는 것이 심리적으로나 생활면에서나 장점이 크기 때문에 당연하다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결국 우리는 우리 자신을 사랑하는 것입니다.
한편, 뇌 반응의 속도나 강도는 보상을 얻을 수 있는 사람과의 친밀함에 의해서도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예를 들어 친한 친구를 위해 보상을 받으려고 하면 전혀 생면부지인 다른 사람을 위해 노력할 때보다 뇌 반응이 좋아지는 것입니다.
그렇다고 해도, 자기 자신을 위해 노력할 때에 비하면 뇌의 반응은 아무래도 떨어집니다.

하지만 가장 강한 유대로 맺어져 있는 '엄마'와 '아이'는 어떨까요?
여러분도 과거를 되돌아보며 자신에게 기쁜 일이 있을 때 어머니가 자기 일처럼 기뻐하는 것을 여러 번 보았을 것입니다.
그래서 연구팀은 이번에 엄마가 우리 아이를 위해 보상을 받을 때 뇌 반응을 실험으로 알아보기로 했습니다.

◆ 어머니의 뇌는 아이가 보상을 받을 때 가장 활성화!
이 조사에서는, 2~6세의 유아를 가진 중국 거주의 어머니 31명(20~45세)을 대상으로 했습니다.

어머니는 모두 결혼했고 심신이 건강하며 적어도 대졸 학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엄마들은 실험에서 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빨강' 또는 '초록' 점에 빠르게 반응하고 지시된 색상에 맞는 버튼을 최대한 빨리 누르는 게임을 진행했습니다.

색칠된 점이 표시되기 전에는 정답을 맞추면 엄마 자신(S), 아이(C), 자선단체(D) 중 하나에 보상이 주어진다는 사인이 나타납니다.
예를 들어, S 표시가 나온 후 게임에 정답을 맞추면 엄마 자신이 보상을 받을 수 있고, D가 표시되면 자선단체에 기부됩니다.

게임은 총 480회 진행되며 엄마에게는 핸드크림, 아이에게는 지그소퍼즐, 자선단체에는 현금 기부 보상이 마련되었습니다.
그리고 게임 중 뇌의 반응 속도와 신경 반응 강도를 알아보기 위해 어머니는 뇌파 검사(EEG) 헤드셋을 착용하고 있습니다.

실험 절차의 흐름
실험 절차의 흐름(빨간색 또는 녹색 중 하나를 선택한다, 직전에는 누구에게 보상이 주어지는지 S·C·D로 표시)


그 결과 어머니 뇌의 반응속도나 신경 반응 강도가 가장 높아지는 것은 자기 자신이 아니라 우리 아이가 보상을 받을 수 있을 때인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자선단체에 기부할 때는 뇌 반응 시간이나 신경 반응의 강도가 가장 느리고/약해져 있었습니다.
이는 보상체계에 관한 기존 보고와는 달리 어머니가 자기 자신보다 자녀의 이익을 우선시하고 있음을 뇌 차원에서 보여준 귀중한 성과입니다.

또 실험 후 설문조사에서도 어머니들은 자신이나 자선단체보다 우리 아이가 보상을 받을 수 있을 때 가장 진지해지고 또 큰 기쁨을 느꼈다고 보고했습니다.

뇌파의 세기
세로축: 뇌파의 세기를 나타내는 진폭, 가로폭: 뇌의 반사 속도(뇌의 반응은 C의 어릴 때 가장 높아진다)


어렸을 때 엄마가 '나는 됐으니까 네가 받아'라든가 '네가 먹어라'라고 양보해 준 경험이 있을 겁니다.
어째서 양보해 줄까하고 아이를 위하는 마음에 들었을지 모르지만 엄마는 자신이 무언가를 얻는 것보다 아이가 무언가를 얻는 것이 더 기쁘게 생각하는 것 같습니다.

이에 대해 연구주임 양창(Yan Zhang)은 어머니에게는 자신의 자녀가 보상을 받는 것의 우선순위가 보상체계의 자기 우위성을 넘어섰을 가능성을 시사하는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도 팀은 실험에 참가한 어머니의 샘플 수가 적다는 점과 전원이 미취학 아동의 어머니라는 점 및 대학교육을 받은 것으로 한계가 있다는 점에 주의를 촉구했습니다.
자녀의 연령이나 어머니의 교육수준의 폭을 넓혀서 재조사하면 결과도 조금 달라질 수 있습니다.
또한 아버지를 대상으로 하면 어떻게 되는지도 동시에 조사함으로써 재미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재미있거나 도움이 되셨다면 '구독' 꾹 눌러 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늘 행복하세요.

 

Mothers’ brains show stronger responses when winning for their kids than for themselves, study finds
https://www.psypost.org/2023/11/mothers-brains-show-stronger-responses-when-winning-for-their-kids-than-for-themselves-study-finds-214495

Mothers exhibit higher neural activity in gaining rewards for their children than for themselves
https://academic.oup.com/scan/article/18/1/nsad048/7272681?login=false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