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토익(stoic, 금욕적이고 자기 억제적인)에 노력할 뿐만 아니라 일시적인 쾌락에 몸을 맡기는 것도 행복에 중요하다는 연구결과
일반적으로 인생의 장기적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자제심을 유지하고 폭음과 폭식을 삼가거나 일로 이어지는 학습을 하는 것은 삶의 행복도를 상승시킨다고 추측한다.
그런데 스위스 취리히대와 네덜란드 라도바우드대 연구자들은 쾌락주의에 몸을 맡기는 것도 행복에 중요하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많은 사람들이 장기적인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을 삶의 행복과 연결시켜 생각하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방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왔다.
그러면서도 일시적인 쾌락보다 장기적인 목표를 우선시하고 능숙하게 자기 자신을 통제하고 자제하는 것이 행복한 삶으로 이어진다는 전제에 대해서는 별로 생각해 보지 못했다는 것이다.
취리히대에서 동기부여 심리학에 대해 연구하는 Katharina Bernecker는 지금이 재고의 때이다. 물론 셀프 컨트롤은 중요하지만 자제에 관한 연구는 쾌락주의나 단기적인 기쁨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라고 말한다. 이에 라도바우드대학의 Daniela Becker와 협력하여 쾌락주의가 행복에 가져오는 영향에 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자들은 일시적인 쾌락이나 기쁨을 즐기는 능력을 측정하는 설문을 실시하였다. 응답자들이 다양한 상황에서 일시적인 쾌락을 추구하는 능력의 차이와 장기적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활동에 종사하지 않고 일시적인 쾌락을 즐기는 능력이 삶의 행복과 관련이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설문 결과, 특정의 사람들은 장기적인 목표달성과 관계없이 릴랙스하거나 놀고 있을 때에, 「원래라면 하는 것이 좋은 일」에 대해 생각해 버리는 경향이 있다고 밝히고 있다. 이러한 사람들은 장기적인 목표 달성에 관해서 열심이라고 말할 수 있지만, Bernecker는 「장기적인 목표에 관한 모순에 대한 생각은, 릴랙스의 효과를 해친다」라고 말하며, 릴랙스하고 있을 때에 충분히 릴랙스할 수 없는 점이 문제라고 밝히고 있다.
한편 편안할 때 장기적인 목표에 대해 생각하지 않고 일시적인 쾌락에 몸을 맡길 수 있는 타입의 사람은 전체적으로 삶의 행복도가 높은 경향을 보였다는 것이다. 일시적인 쾌락을 즐기는 능력이 높은 사람은 특히 우울증이나 불안에 시달릴 가능성이 낮았다고 한다.
Bernecker는 장기적인 목표달성과 일시적인 쾌락에 몸을 맡기는 것은 모순되지 않는다고 밝히고 행복과 건강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양자를 적절한 균형을 양립시키는 것이 중요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지금까지는 소파에서 휴식을 취하거나 친구들과 술을 마시는 것은 쾌락주의적인 행위이며, 자제와 대조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그러나 실제로는 '해야 할 일'을 포함한 다양한 사고에 방해받아 충분히 휴식을 취하지 못하는 사람도 많아 일시적인 쾌락을 누리는 것이 반드시 쉬운 일은 아니라고 Bernecker는 말한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인해 많은 일이 재택근무로 전환되다 보니 '편안하게 쉬는 장소'와 '일하는 곳'이 겹쳐버린 사람도 많다. 이러한 경우, 릴랙스 하고 있는 와중에도 「해야 할 일」에 대한 생각 때문에, 충분히 릴랙스 할 수 없게 되어 버리는 경우가 증가하는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일시적인 쾌락을 마음껏 즐기는 능력」은 보다 중요해지고 있다는 것이다.
Beyond Self-Control : Mechanisms of Hedonic Goal Pursuit and Its Relevance for Well-Being-Katharina Bernecker, Daniela Becker, 2020
https://journals.sagepub.com/doi/10.1177/0146167220941998
UZH-Hedonism Leads to Happiness
https://www.media.uzh.ch/en/Press-Releases/2020/Hedonism.html
'시사, 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마트폰이나 태블릿을 너무 많이 사용하면 텔레비전(TV)을 너무 많이 보는 것보다 더 큰 악영향을 미친다 (0) | 2023.05.06 |
---|---|
자폐 스펙트럼(ASD) 징후를 보이는 유아에 대한 조기 개입이 미래에 ASD로 진단되는 비율을 줄일 가능성 (1) | 2023.05.06 |
밤샘하면 동기부여·성적욕구 높아지지만 계획·의사결정력은 떨어져 (0) | 2023.05.06 |
스스로의 의욕을 끌어내고 동기부여(Motivation)을 계속 유지하려면 도대체 어떻게 해야 하는가? (0) | 2023.05.06 |
일하지 않고도 생활에 필요한 최소한의 돈을 받을 수 있는 '기본소득'을 도입한 캐나다 온타리오주오 주민들은 무엇을 느끼고 있는가? (0) | 2023.05.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