밤샘하면 동기부여·성적욕구 높아지지만 계획·의사결정력은 떨어져
7시간 이하의 수면이 지속되면 정신질환 등이 발병할 위험이 높아지는 등 바쁜 현대인에게 충분한 수면을 취하는 것은 민감한 문제이다.
만약 사람이 한숨도 자지 않으면 몸에는 어떤 영향이 나타날지 정리한 자료가 유튜브 'What If You Stopped Sleeping?'로 공개된 내용이다.
6~8시간 수면은 건강에 좋고 8시간 이상이 되면 순환기·심장질환이나 당뇨병 위험이 높아지고, 6시간 이하면 순환기·심장질환·비만·우울증·뇌장애가 발병할 위험이 높아진다고 한다.
만약 밤에 한숨도 자지 않으면 뇌에서 도파민이 많이 방출돼 에너지와 동기부여가 높아지고 성욕도 증대된다고 한다. 하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계획이나 의지를 결정하는 힘이 극단적으로 떨어지면서 충동적인 행동을 보이게 된다.
24시간 계속 잠을 자지 않으면 반응속도가 둔해져 지각이나 인지능력이 떨어진다.
이틀 동안 잠을 자지 않으면 몸은 포도당을 분해하기 어려워 면역체계가 떨어진다는 것이다.
3일 동안 잠을 자지 않으면 환각을 볼 수도 있다고 한다.
또한 잠을 전혀 자지 않으면 외모의 매력이 떨어져 건강해 보이지 않는다.
과학다큐멘터리에서 기록된 최장 불면시간은 264시간(11일간)이며, 피험자에게는 집중력이나 지각·인지능력 등의 떨어진 것을 볼 수 있었지만 놀랍게도 의학·심리학·신경학·정신의학적으로 중대한 문제는 없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쥐를 사용한 불면에 관한 실험에서는 약 2주 정도 계속 일어나면 사망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만, 실험자에 의하면, 쥐의 사망원인이 수면 부족인지 계속 깨어있는 것에서 오는 스트레스인지는 판별은 불가능하였다고 한다.
불면증에는 심한 진행성 불면증인 치사성 가족성 불면증이라는 것이 있으며, 발병 후에는 수면부족으로 인한 환각 증상 등을 거쳐 죽음에 이르게 된다.
치사성 가족성 불면증 발병 후의 수명은 18개월로 전 세계적으로 100여명의 환자가 있다고 한다.
수면을 취하지 않고 계속 일어나면 최악의 경우 죽음에 이르는 경우도 있으므로 수면은 제대로 취해야 한다. 다만, 과다한 수면에도 주의가 필요하다.
What If You Stopped Sleeping? - YouTube
https://www.youtube.com/watch?v=nNhDkKAvxFk
'시사, 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폐 스펙트럼(ASD) 징후를 보이는 유아에 대한 조기 개입이 미래에 ASD로 진단되는 비율을 줄일 가능성 (1) | 2023.05.06 |
---|---|
스토익(stoic, 금욕적이고 자기 억제적인)에 노력할 뿐만 아니라 일시적인 쾌락에 몸을 맡기는 것도 행복에 중요하다는 연구결과 (0) | 2023.05.06 |
스스로의 의욕을 끌어내고 동기부여(Motivation)을 계속 유지하려면 도대체 어떻게 해야 하는가? (0) | 2023.05.06 |
일하지 않고도 생활에 필요한 최소한의 돈을 받을 수 있는 '기본소득'을 도입한 캐나다 온타리오주오 주민들은 무엇을 느끼고 있는가? (0) | 2023.05.06 |
10대들이 부모로부터 필요로 하는 것은 '애정'보다는 오히려 '체계 수립'의 체험 (0) | 2023.05.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