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탠퍼드대 과학자들이 자유의지는 존재하지 않는다고 하는 이론의 문제점?
본문 바로가기
시사, 경영

스탠퍼드대 과학자들이 자유의지는 존재하지 않는다고 하는 이론의 문제점?

by 소식쟁이2 2023. 12. 8.

스탠퍼드대 과학자들이 자유의지는 존재하지 않는다고 하는 이론의 문제점?

우리는 자신이 원하는 대로 생각하고 무엇을 하고 싶은지 스스로 선택하고 행동할 수 있다는 '자유의지'를 가지고 있다고 믿는 사람은 많지만 자유의지의 존재는 과학적으로 증명되지 않았습니다. 스탠퍼드대 신경생물학자가 2023년 출간한 저서에서는 '자유의지는 환상이다'라고 단정하고 있으며, 그 이론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자유의지 이론에서 중요한 포인트나 무엇이 논란거리가 되고 있는지에 대해 윤리 전문가 설명하는 내용입니다.

However, the latest book by Stanford neurobiologist Robert Sapolsky, Determined: A Science of Life Without Free Will, has been receiving a lot of media attention for arguing science shows this is an illusion.

Sapolsky also says that because our behaviour is determined in this way, nobody is morally responsible for what they do. He believes while we can lock up murderers to keep others safe, they technically don’t deserve to be punished.

This is quite a radical position. It’s worth asking why only 11% of philosophers agree with Sapolsky, compared with the 60% who think being causally determined is compatible with having free will and being morally responsible.

스탠퍼드대 신경생물학자 로버트 사폴스키가 2023년 10월 출간한 저서 'Determined: A Science of Life Without Free Will(결정론: 자유의지가 없는 삶을 과학하다)에서는 결정론에 대한 과학적 연구를 요약하여 해설하고 있습니다. 결정론은 모든 사건은 그 사건에 선행되는 사건에 의해서만 결정된다는 철학적 사고방식을 말합니다. 이 결정론은 물리법칙에 의한 엄밀한 인과관계를 중시하고 있기 때문에 인간의 사고(생각)나 행동도 어떤 요인에 의해 인도되어 결정되고 있다고 생각하며, 결정론에 있어서는 자유의지의 존재는 부정됩니다.

이런 사폴스키의 과학적 결정론 지지에 대해 과학자들 사이에서 논란이 일어나고 있으며, 그 이유에 대해 노트르담 오스트레일리아대학의 윤리사회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있는 아담 비오버키가 설명하고 있습니다. 
사폴스키는 물리법칙과 마찬가지로 인간의 선택도 환경이나 성장, 호르몬, 유전자, 문화나 기타 제어할 수 없는 무수한 요인에 의한 결과로 나타나고 있을 뿐이며, 거기에 자유는 개입하지 않는다고 생각하고 있다고 것입니다. 사폴스키는 '우리의 행동은 자유의지가 아니라 결정론적으로 정해져 있기 때문에 아무도 자신의 행동에 대해 도덕적 책임을 지지 않는다'고 말했고 비오버키는 이를 '상당히 과격한 입장'이라고 말했습니다.

「자유의지」와 「책임」에 대해서는, 「결정론적으로 정해져 있는 행동이기 때문에 책임은 발생하지 않는다」라고 생각하는 사폴스키와 같은 주장이지만, 반대로 「자유의지로 선택한 행동에는 책임이 따른다」라고 하는 생각이 있는 한편, 「결정론적으로 선택하고 있는 것과 자유의지의 존재나 도덕적 책임이 따르는 것은 양립한다」라고 생각하는 「호환주의」라고 하는 생각도 있습니다. 2020년에 실시된 광범위한 철학적 신념에 관한 조사에 따르면 결정론적 입장과 자유의지나 책임은 양립한다고 생각하는 철학자는 59%였던 반면 사폴스키와 같은 생각의 철학자는 11%뿐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자유의지 전문가인 리버사이드 캘리포니아대학의 존 마틴 피셔는 Determined: A Science of Life Without Free Will' 리뷰를 집필하면서 "사폴스키 논의의 문제점은 자유의지 개념이 올바른 이유에 대해 실제로 아무런 논의를 제시하지 않았다는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애초에 '자유의지란 무엇인가'라는 것은 모호한 명제였고 근육과 뇌의 활동을 기계로 측정하는 실험에서 '뇌에서 무엇을 할지 결정했다고 우리가 인식하는 것보다 근육은 움직인다. 즉 자유의지는 존재하지 않는다'고 과학자들이 제시했을 때도 자유의지의 정의를 생각함으로써 실험 내용이 의문시되었습니다.


사폴스키는 책에서 자유의사는 결정론과 양립할 수 없는 것이라고 단순하게 정의한 다음 이를 통해 사람들의 도덕적 책임이 면제된다고 논하거나 우리의 행동이 결정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반면 호환주의자들은 자유의지를 좀 더 완만하게 생각하고 있으며, 설령 결정론적으로 행동이 정해져 있다고 하더라도 그 정해진 범위에서 우리는 선악을 이해하고 도덕적인 이유에 따라 행동하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사폴스키의 이론과 호환주의 이론이 엇갈리는 것은 판단하기 어려운 문제인 자유의지를 다루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 때문에 사폴스키는 우선 자유의지에 관한 가정이 왜 도덕적 책임과 관련이 있는가를 전제로 제시할 필요가 있었다고 합니다. 자유의지와 책임에 관한 논의는 철학자들이 오랫동안 의문을 갖고 있던주제이며, 그것을 무시하고 편리한 정의를 자유롭게 선택하여 '다만 과학의 문제로서' 파악한 것이 사폴스키의 가장 큰 실수였다고 피셔는 말합니다.

*재미있거나 도움이 되셨다면 '구독' 꾹 눌러 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늘 행복하세요.


A Stanford professor says science shows free will doesn’t exist. Here’s why he’s mistaken
https://theconversation.com/a-stanford-professor-says-science-shows-free-will-doesnt-exist-heres-why-hes-mistaken-218525

 

A Stanford professor says science shows free will doesn’t exist. Here’s why he’s mistaken

Sapolsky summarises the latest scientific research relevant to determinism: the idea that we’re causally ‘determined’ to act as we do and couldn’t possibly act any other way.

theconversation.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