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공을 자신할 수 없는 '인포스터 신드롬(Impostor syndrome 가면 증후군)'에는 남성이 더 큰 영향을 받는다.
무언가를 달성하고도 그 성공을 자신의 힘에 의한 것이라고 자신하지 못하고 그저 운이 좋았던 것이라고만 믿고 마는 심리상태를 '인포스터 신드롬(타짜 증후군)'이라고 부릅니다.기존 연구에서는 일반적으로 남성보다 여성이 빠지기 쉬운 것으로 알려져 있었지만 최신 연구를 통해 남성이 더 강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포스터 신드롬(자신이 이뤄낸 업적을 스스로 받아들이지 못하는 심리적 현상)은 1970년대에 미국의 임상 심리학자가 주장한 낮은 자기평가와 불안감이 나타나는 심리상태를 말한다. 원래는 성차별이 뿌리내린 사회에서 성공한 여성들 중 적지 않은 사람들이 '스스로의 성공은 운에 의한 것이고 성공한 자신은 'imposter(사기)'라고 느꼈던 것에서 명명되기도 해 성공한 여성들에게서 많이 나타나는 것이라고 알려져 왔다.
그러나 조사가 진행됨에 따라 많은 남성들도 비슷한 심리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미국과 독일에서의 인격과 개인차 조사를 통해 남성들이 더 많은 인포스터 신드롬에 빠지기 쉽고 불안감 때문에 퍼포먼스 하락에 빠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자들은 그 원인을 남성에게 더 큰 기대를 거는 전통적인 젠더 규범 때문이라고 추측한다.
조사에서는, 커뮤니케이션이나 비즈니스를 배우는 수백명의 학생을 남녀 불문하고 모집해, 「자신의 지식이나 능력이 얼마나 부족한지를 타인에게 알려지는 것은 무섭다고 생각할 수 있다」라는 내용을 포함한 확립된 기준에 따라, 인포스터 신드롬의 수준을 측정했다.
첫 번째 연구에서는 언어와 수식의 대학원 기록 시험문제를 학생들에게 주고 첫 번째 설문군 다음에 절반의 학생에게 "첫 다섯 문제를 모두 틀렸다"고 허위 피드백을 주었다. 이 결과로 인포스터 신드롬을 느낀 것은 전체적으로 여성이 높았음에도 불구하고 강한 영향을 받아 능력이 하락한 것은 남성이었다고 한다. 대조적으로 사기(꾼) 감정이 강했던 여학생은 부정적인 피드백을 받고 더욱 노력을 해서 더 높은 성과를 보였다고 한다.
두 번째 연구에서는 학생의 절반에게 "시험 결과를 각자 과정의 교수에게 공개하겠다"고 전해 압박을 주었다. 결과적으로 인포스터 신드롬 수치가 높은 남학생은 불안감이 증가되고 성적이 악화되었다. 반면 같은 내용을 받은 인포스터 신드롬 수치가 높은 여학생은 거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고 한다.
연구자들은 이러한 결과에 대해 전통적인 젠더가 유지되고 있음을 상정해 남성이 강한 영향을 받는 원인은 '사회는 남성에게 가치를 요구한다'는 젠더로, 여성이 영향을 받기 어려운 원인은 '여성은 유능하기보다 따뜻해야 한다'는 젠더로 연결돼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연구자들에 따르면 해당 연구에 의한 남성의 인포스터 신드롬 관련 취약점 발견은 경영자에게 실용적인 의미를 가질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경영자가 남성 노동자의 인포스터 신드롬 흔적을 관찰하면 노동자의 환경을 개선함으로써 혜택을 받을 수 있고 지도나 기능훈련, 적절한 일자리 배정으로 이어진다는 것이다.
Anew study claims that, under pressure, imposter syndrome hits men harder than women – Research Digest
https://digest.bps.org.uk/2018/06/01/a-new-study-claims-that-under-pressure-imposter-syndrome-hits-men-harder-than-women/
Areall impostors created equal? Exploring gender differences in the impostor phenomenon-performance link-Science Direct
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pii/S0191886918302435
Are all impostors created equal? Exploring gender differences in the impostor phenomenon-performance link
Some individuals report feeling inauthentic at work, and fear being found out as a fake or as someone who does not deserve their status or reputation.…
www.sciencedirect.com
'시사, 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부정한 자세는 신체적뿐만 아니라 정신적·사회적으로도 악영향이 있다 (0) | 2022.09.20 |
---|---|
자신의 성공을 긍정하지 못하고 남을 속이는 것처럼 느끼는 '인포스터 신드롬(Impostor syndrome 가면 증후군)'이 가진 숨은 장점 (0) | 2022.09.19 |
원하는 것은 언제나 예상보다 멀리 있고, 욕망이 거리감을 미치게 하는 효과가 분명히 (0) | 2022.09.19 |
'무능한 사람만이 자신을 과대평가한다'는 것은 착각이고, 사실은 평균적인 사람도 자신과대평가한다. (0) | 2022.09.19 |
유명한 더닝-크루거 효과(Dunning–Kruger effect)는 '무능한 사람일수록 자신을 유능하다고 생각한다'는 법칙이 아니다. (0) | 2022.09.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