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능한 사람만이 자신을 과대평가한다'는 것은 착각이고, 사실은 평균적인 사람도 자신과대평가한다.
「어리석은 자신을 높이 평가한다」라고 하는 더닝-크루거 효과가 최근에는 주목받고 있지만, 사실은 자신에 대한 과대평가를 하는 경향은 「어리석은 사람」뿐만 아니라, 「높은 지식을 가지는 사람 이외의 사람」에게서도 찾아 볼수 있다. '자신은 어리석지 않기 때문에 과대평가를 하지 않았다'는 인식 자체가 더닝-크루거 효과의 일부라고 신경내과 의사들이 지적한다.
Misunderstanding Dunning-Kruger|Neuro Logica Blog
https://theness.com/neurologicablog/index.php/misunderstanding-dunning-kruger/
더닝-크루거 효과는 일반적으로 '무지(無知)를 아는' 것과 같은 맥락, 즉 '능력이 높은 사람은 자기를 과소평가하지만 능력이 낮은 사람은 자기를 높이 평가한다'는 맥락에서 사용된다.
더닝-크루거 효과는 주목받는 현상으로 워싱턴포스트는 백악관 및 정치인에 관한 2019년 1월 기사에서 더닝-크루거 효과에 대해 언급했다.
What's behind the confidence of the incompetent? This suddenly popular psychological phenomenon. - The Washington Post
https://www.washingtonpost.com/science/2019/01/07/whats-behind-confidence-incompetent-this-suddenly-popular-psychological-phenomenon/
하지만 신경내과의사인 스티븐 노벨라는 "더닝-크루거 효과는 무능한 사람에게만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어떤 사람에게도 일어날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하며 "무능한 사람만이 자신을 과대평가한다"고 제한적으로 해석하는 것은 오해라고 말한다.
더닝-크루거 효과는 데이비드 더닝과 저스틴 크루거라는 두 연구자가 2012년에 정의했다.
Unskilled and Unware of It: How Difficulties in Recognizing One's Own Incompetence Lead to Inflated Self-Assessments
https://pdfs.semanticscholar.org/e320/9ca64cbed9a441e55568797cbd3683cf7f8c.pdf
파란 그래프가 자신의 능력에 대한 인지, 빨간그래프가 자신이 인지하는 테스트 점수, 초록 그래프가 실제 테스트 점수라고 한다. 세로축이 피험자의 점수, 가로축이 피험자의 능력 높이로 나타나 있으며 테스트 점수가 가장 낮은 'Bottom Quartile'인 사람이 가장 자신을 과대평가하고 테스트 점수가 높은 'Top Quartile'인 사람은 반대로 과소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Top Quartile" 이외의 사람은 다소나마 자신의 능력을 과대평가하는 경향이 있음을 보여준다.
더닝-크루거 효과의 의미를 '어리석은 사람이 자신을 과대평가하는 것'으로 제한적으로 해석해 버리면 사람은 자기계발과 비판적 사고의 기회를 놓치게 된다. 그리고 아이러니하게도 이 또한 더닝-크루거 효과의 일부라고 할 수 있다.
최근에는 백신 접종에 관해서도 '백신 반대파 사람들은 지식 수준이 현저히 낮을 때 '자신은 의사보다 더 많이 안다'고 생각하기 쉽다'는 것이 연구에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더닝-크루거 효과 연구에서, '자체 평가능력' 또한 더닝-크루거 효과의 관건이 된다고 하는 것이다.
즉 어떤 분야의 지식이 부족하면 자신의 지식이 어느 정도인지를 평가하기도 쉽지 않다고 한다. 첫 번째 지식을 얻고 나서 한동안은 '전혀 지식을 갖지 못했을 때의 나'와 비교해서 자신감이 커진다. 하지만 어떤 선을 넘으면 '내가 모르는 지식이 얼마나 존재하는지'가 보이고 진짜 전문가가 어느 정도의 지식을 가지고 있는지를 이해하는 거다. 이를 인식하고 있다면 자신의 전문분야와 그렇지 않은 분야에 대해서도 평가에 도움이 될 것이다.
더닝-크루거 효과는 나르시즘 경향이라고 하는 개인의 성격에도 영향을 받는다. 「지식이 없는 것」 「자신을 과대평가하는 것」 「비판을 받지 않는 것」의 조합으로 더닝-크루거 효과가 커진다고 추측한다.
What’s behind the confidence of the incompetent? This suddenly popular psychological phenomenon.
The Dunning-Kruger effect has gotten a surge of interest during the Trump administration.
www.washingtonpost.com
Misunderstanding Dunning-Kruger - NeuroLogica Blog
There is, apparently, an increase recently in interest in the Dunning-Kruger effect. The Washington Post writes about this recently, making the obvious political observation (having to do with the current occupant of the White House). It's great that there
theness.com
'시사, 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공을 자신할 수 없는 '인포스터 신드롬(Impostor syndrome 가면 증후군)'에는 남성이 더 큰 영향을 받는다. (0) | 2022.09.19 |
---|---|
원하는 것은 언제나 예상보다 멀리 있고, 욕망이 거리감을 미치게 하는 효과가 분명히 (0) | 2022.09.19 |
유명한 더닝-크루거 효과(Dunning–Kruger effect)는 '무능한 사람일수록 자신을 유능하다고 생각한다'는 법칙이 아니다. (0) | 2022.09.19 |
왜 무능한 사람은 「자기가 최고」라고 생각하는지를 동영상으로 알기 쉽게 설명 (2) | 2022.09.19 |
'열정 착취'가 발생하는 메커니즘 밝혀져 (0) | 2022.09.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