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들은 왜 짓지도 않은 죄를 억울하게 죄를 지었다고 자백할까?
경찰은 사건의 진상을 규명하기 위해 용의자나 관계자에 대한 신문을 하게 됩니다. 그러나 폐쇄적인 상황에서 심문을 해서 용의자에게 심리적 압력을 가하는 것은 자백 강요로도 이어진다고 해 최근에는 경찰에 의한 조사가 투명해지고 있습니다.
그런데 왜 사람은 짓지도 않은 죄를 인정하게 되는지, 그리고 모순투성이여야 할 허위자백이 왜 재판에서는 유력한 증거가 되는지가 학술지 Science에서 설명하는 내용입니다.
1991년 당시 16살이었던 휴이 버튼는 어머니를 살해한 혐의로 체포됐습니다. 경찰의 오랜 심문 끝에 무죄였음에도 버튼은 자백했습니다.
2급 살인죄로 15년의 실형을 선고받았습니다. 20년 뒤 버튼은 가석방됐지만 사회적 신용은 잃은 뒤 입니다. 몇몇 변호사들이 버튼의 명예회복을 위해 움직였지만 본인이 자백한 이상 판결이 뒤집히기는 상당히 어려웠다고 합니다.
그래서 버튼의 변호사는 뉴욕의 존 제이 칼리지 오브 크리미널 저스티스의 범죄 심리학자 솔 카씬을 소개했습니다.
카씬은 법정에서 "허위 자백은 흔한 일입니다"라고 증언하며, 그동안 30년 넘게 쌓아온 연구 가운데 경찰에서 진행되고 있는 신문방법이 심리적 압력을 가해 무고한 사람에게 얼마나 쉽게 자백받을 수 있는지를 논리적으로 제시했습니다.
그 결과 대법원은 버튼의 유죄판결을 기각하고 정식으로 명예회복이 이뤄졌습니다. 미국 역사상 심문 결과가 과학적 분석에 기초해 무효화되어 면죄를 받은 것은 이 버튼 사건이 처음이었다고 합니다.
카씬에 따르면 경찰 신문기술의 기반이 되고 있는 것은 거짓말탐지기 전문가로 탐정을 하던 존 리드와 프레드 인보 노스웨스턴대 법학교수의 자백-진실에 대한 신문기술이라는 책이라고 한다. 카씬은 이 책에 나와 있는 리드식 심문법을 아이히만 실험연구 같은 것이지만 더 심한 것이라고 평가 합니다.
리드식 신문법에서는 용의자의 「행동의 평가」를 기초로 신문을 합니다.
눈을 돌린다, 앞으로 숙인다, 팔짱을 낀다고 하는 용의자의 행동에 거짓말을 하고 있는 징후를 파악하고, 전혀 무관한 질문이나 도발적인 질문을 합니다.
더욱이 용의자가 거짓 징후를 보일 경우 용의자를 거듭 비난하고 자세히 말하라고 하며, 부인하는 모든 것을 무시하고 질문을 여러 차례 반복합니다. 동시에 수사관은 동정과 이해를 표시하면서
자백시키는 방법으로 용이하게 한다는 것입니다.
카씬은 이러한 리드식 신문법이 자백을 강요하고 거짓자백으로 이어졌을 수도 있다고 생각해 아무것도 모르는 학생에게 구술 필기를 하게 한다는 실험을 했습니다.
다만 구술 필기에 사용하는 PC는 무슨 키를 누르고 있는지에 관계없이 일정 시간 후에 반드시 크래시하도록 프로그램돼 있었다고 합니다.
카씬은 학생이 필기를 하기 전 "Alt 키를 누르면 PC가 크래시되니 누르지 말라"고 거짓 주의를 기울였고, 학생이 사용하는 동안 크래시하자 카씬은 "주의했는데 Alt 키를 눌렀다"고 강하게 몰아붙였습니다.
물론 Alt키를 누르지 않아도 크러쉬해 버리기 때문에 처음에는 아무도 '내가 Alt 키를 눌렀기 때문에 망가졌다'는 것을 인정하지 않았습니다. 여기서, 목격자에 의한 거짓 증언을 준비해 리드식 심문법을 실시했는데, 「Alt키를 눌렀다」라고 자백하는 학생이 급증했다. 실험은 여러 차례 진행되었는데, 피실험자의 거의 전원이 자백한 적도 있었다고 합니다. 즉, '자신은 하지 않았다'고 믿다가 심리적 압박을 받은 상태에서 증거를 들이대면 사람은 진실과 모순되는데도 짓지도 않은 억울한 죄이지만 이를 인정해 버리는 경향이 있다는 것입니다.
2012년, 카씬 등 연구팀은 자백강요에 의한 연죄 사건 59건의 분석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59건 중 49건은 목격자가 잘못 봤거나 법의학상의 실수가 있었다고 합니다. 또 30건은 최초 증거로 용의자 자백 증언이 거론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는 다시 말해 경찰에 한 번 자백하면 그 밖의 증거들이 모두 자백에 따른 형태로 준비돼 갔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카씬은 주장합니다. 나중에 자백이 허위였음이 판명되더라도 다른 증거가 갖춰져 있으면 법원은 유죄판결을 지지하기에 충분한 증거가 있다고 판단해 항소를 기각할 수도 있습니다.
영국 심리학자 이티엘 드로워와 미국 DNA 전문가 그레그 험피키언은 한 남성이 유죄로 판결한 강간사건에서 제출된 DNA 자료를 입수했습니다. 그 결과는 "용의자의 DNA는 범죄 현장에서 채취된 샘플과 일치한다"는 것이었지만, 드로워와 험피키안은 전혀 아무런 사전 정보도 없이 무관한 DNA 전문가 17명에게 용의자의 DNA와 범죄현장에서 채취된 DNA 데이터를 전달했습니다. 그랬더니 17명 중 16명이 'DNA는 불일치'로 판정했다고 합니다.
카씬 등이 2016년 진행한 배심원 재판 모의실험에 따르면 서로 모순되는 자백과 DNA를 보여주며 "자백과 DNA 중 어느 쪽을 믿느냐"고만 물으면 대부분의 배심원이 DNA를 신뢰한다고 합니다. 그러나 검사가 자백과 DNA가 모순되는 이치를 설명하면 압도적으로 자백을 신뢰하는 배심원이 많아졌다고 합니다. 카씬은 "이 실험 결과는 판결에 '이야기'의 힘이 영향을 줄 것임을 시사합니다"라고 말했습니다.
영국에서는 1990년대 경찰이 잇따라 연류 사건을 내자 리드식 신문법을 폐지했다고 합니다. 눈에 보이는 감정적 스트레스의 징후가 아닌 인지적 부하를 바탕으로 용의자의 거짓말을 특정하는 시스템을 채택하여 인터뷰 형식으로 조사를 함으로써 자백을 강요하지 않도록 노력하고 있다고 합니다.
2010년 심문이 잘 이뤄지지 않는다는 증거가 설득력을 더했다며 카씬을 비롯한 미국·영국 심리학자들은 미국 심리학회의 백서와 함께 자백의 강제 위험에 대해 경고했습니다. 카씬 등은 경찰의 허위 금지, 조사시간 제한, 조사 모두 기록할 것 등의 개혁을 제언하며 자백을 요구하겠다는 지금까지의 심문은 본질적으로 매우 유해하므로 새로운 방법을 생각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재미있거나 도움이 되셨다면 '구독' 꾹 눌러 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늘 행복하세요.
This psychologist explains why people confess to crimes they didn't commit | Science | AAAS
https://www.sciencemag.org/careers
'시사, 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커피를 하루 2~3잔 마시면 수명이 연장된다. 그건 카페인 없이도 마찬가지 (54) | 2024.03.27 |
---|---|
이른 죽음(조기사망)과도 관련해 많은 사람이 위험을 안고 있는 근감소증(sarcopenia) (62) | 2024.03.27 |
자신의 늙은 얼굴을 보여주면 저축(저금)하기 쉬워진다 (57) | 2024.03.26 |
'비트코인 반감기'로 마이너(채굴자)의 수입은 격감하고, 향후에는 에티오피아·탄자니아·파라과이·우루과이 등 저비용 국가로 거점을 옮길 가능성 (52) | 2024.03.26 |
운동을 너무 많이 하는 것은 몸에 중대한 악영향을 가져오는, .... 「과잉」의 기준은? (63) | 2024.03.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