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들은 왜 가위눌림(수면마비) 상태에 사로잡힐까?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
자다가 문득 눈을 떴을 때 의식이 또렷한데도 왜 그런지 몸을 움직이지 못하는 가위에 눌린 경험이 있는 사람도 있다. 그런 가위눌림(의학적으로 수면마비(睡眠痲痺 sleep paralysis)의 원인이나 치료에 대해 과학 매체인 Live Science가 정리한 내용이다.
가위는 많은 문화권에서 오래전부터 알려져 온 현상으로, 깨어 있는데도 몸을 움직이지 못하고 무언가 섬뜩한 존재를 보거나 가슴에 압박감을 느낀다는 점에서 많은 이들이 무서움을 느끼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주로 수면 중 의식이 뚜렷하면서도 몸을 움직일 수는 없는 상태와 꿈의 내용을 생생하게 의식하는 현상). 유럽에서는 1664년 네덜란드 의사가 가위눌림을 'Incubus or the Night-Mare(인큐버스 또는 악몽)'로 소개한 바 있다.
2011년에 실시된 조사에 따르면 전 세계 7.6%의 인간이 생애에 적어도 한 번의 가위눌림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가위눌림을 경험하기 쉬운 것은 학생이나 정신장애가 있는 사람들로 특히 외상후스트레스장애(PTSD)나 공황장애 환자에게서 많이 나타났다는 것이다.
" According to a 2011 review, about 7.6% of the world's population experiences at least one episode of sleep paralysis in their lifetime, with higher rates noted among students and psychiatric patients, particularly those with post-traumatic stress or panic disorder.
또한 가위눌림은 기면증의 일반적인 증상으로도 알려져 있다고 한다. 기면증 환자는 낮에 강한 졸림이나 수면 발작 등과 함께 깨어 있는데 근육을 움직일 수 없는 증상도 겪을 수 있다.
예전에는 유령이나 인큐버스 등의 소행으로 여겨졌던 가위눌림이지만, 최근에는 가위눌림이 '신경'과 관련된 것이라고 이해가 진행되고 있다. 연구자들에 따르면 가위눌림은 일반적으로 몸이 휴식 상태에 있지만 뇌가 각성 상태인 렘(REM)수면이 방해되면서 생긴다고 한다. 임상심리학자 Brian Sharpless는 렘(REM) 수면 시에는 사람들이 꿈을 꾸면서도 '꿈속과 마찬가지로 몸을 움직이지 않기 때문에' 근육이 마비된다고 말한다. 이 렘수면 중의 특징이 가위눌림의 원인이 되고 있다고 연구자들은 생각하고 있다고 한다.
가위에 눌리는 것은 보통 몇 초에서 몇 분 정도의 시간이며, 그 사이에 사람들은 선명한 환각을 보게 된다. 가위에 눌린 185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는 전체 중 58%가 무언가가 같은 방에 있음을 느꼈고, 22%가 실제로 낯선 누군가를 봤다고 보고했다. 또한 가위에 눌려 있는 사람들은 가슴에 압박감을 느낄 수 있고 드물게 가위를 기분 좋게 느끼는 사람이 있지만 많은 사람들은 불안한 감정을 느낀다.
보스턴의 베스 이스라엘 디코네스 메디컬 센터에서 수면연구를 하고 있는 Daniel Denis는 렘(REM)수면 중에는 공포나 기억에 중요한 편도체가 활발한 상태가 된다고 말한다. 뇌가 공포나 강한 감정을 기억하는데도 자기 주위에 그것을 설명할 것이 없다는 상황에 대해 환각을 보여줌으로써 대처하고 있을 수 있다고 말한다.
2018년 실시된 조사에서 약물사용과 유전적 요인, 트라우마 기억, 건강 악화, 수면의 질 악화와 같은 수많은 요인이 가위눌림 위험을 높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가위눌림의 빈도나 강력함이 불안과 수면부족과 연결돼 있다는 점에서 Denis는 "가위눌림이 발생하는 것은 스트레스 받는 기간과 일치할 수 있다"라고 주장하고 있다.
가위눌림에 대한 결정적인 치료법은 확립되어 있지 않지만 의사들은 환자가 수면의 질을 개선하고 정해진 취침시각을 지킬 것을 권장하고 있다. 심할 경우 렘(REM)수면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항우울제를 처방해 가위눌림을 억제할 수 있다는 것이다.
행동수면의학 전문가인 Shelby Harris는 가위에 눌리면 먼저 자신의 수면이 제대로 된 것인지 살펴보자. 가위눌림은 수면부족의 징후가 될 수 있다고 지적하고 가위누림을 경험한 경우 오후 2시 이후에는 카페인 섭취를 삼가고 취침 3시간 전부터 알코올이나 니코틴을 피하고 침실에서 전자기기를 치운 뒤 충분한 수면을 취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이러한 행동에도 가위눌림이 줄어들지 않는다면 수면 전문가와 상담"하라고 Harris는 말했다.
*재미있거나 도움이 되셨다면 '구독' 꾹 눌러 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늘 행복하세요.
Sleep Paralysis: Causes, Symptoms & Tratment
https://www.livescience.com/50876-sleep-paralysis.html
Sleep Paralysis: Causes, Symptoms & Treatment
People may wake in the middle of the night and find themselves unable to move or utter a sound. They might see a shadowy figure hovering in the corner, feel a pressure on their chest or sense a hand around their throat. Other times, they feel removed from
www.livescience.com
'시사, 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각몽(Lucid Dreaming)을 역대 최고의 확률로 꿀 수 있는 과학적인 방법이 밝혀졌다 (5) | 2023.11.19 |
---|---|
초상현상(超常現象)은 '가위눌림'이나 '머리내 폭발음증후군'이 원인이 되었을 가능성 (3) | 2023.11.19 |
적도(赤道)로부터의 거리가 사람의 행복·개인주의·공격성을 크게 좌우한다. (5) | 2023.11.18 |
음악은 세계 공통의 언어라는 통설이 틀렸을 가능성 (4) | 2023.11.18 |
'도지코인' 개발자가 가상화폐를 강하게 비판해 찬반 논란이 일었던 적이 있다 (5) | 2023.11.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