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것에는 마음이 있다'는 '범심론(汎心論)'을 앞세운 현대 과학자나 철학자의 주장은?
범심론(汎心論)이란 생물은 물론 지금 앉아 있는 의자 등 비생물조차도 모든 것에는 마음이 없고 마음과 비슷한 성질이 있다는 철학적인 이론입니다. 범심론은 16세기에 확립되어 19세기에 서양에서 유행했지만 20세기 초에는 경험적 증명을 중요시하는 논리실증주의 운동으로 대체되었습니다. 그러나 2000년 이후 범심론(汎心論)은 새삼 '경험과학으로 해결할 수 없는 어려운 의식의 문제'에 대한 노력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철학자뿐만 아니라 과학자들도 범심론에 관한 논의를 전개하고 있습니다.
*범심론(Panpsychism)은 모든 것이 어떠한 형태의 의식을 지니고 있다는 것을 말한다. 마음의 철학에서 마음과 마음과 같은 측면이 현실의 기본적이고 편재적인 특징이라는 견해이다. "마음은 우주 전체에 존재하는 세계의 기본적인 특징이다"는 이론으로도 표현된다. 범심론은 가장 오래된 철학 이론 중 하나이며 탈레스, 플라톤, 스피노자, 라이프 니츠, 윌리엄 제임스, 알프레드 노스 화이트 헤드, 버틀랜드 러셀, 갤런 스트로슨과 같은 철학자 주장하고 있다.
범심론은 16세기 플라토니즘 철학자인 프란체스코 파트리치가 만든 용어입니다. 범심론의 개념 자체는 고대 그리스까지 거슬러 올라가며 철학의 시조로 여겨지는 탈레스는 "모든 것은 신으로 가득 차 있다"고 했고, 소크라테스(Sokrates. 그리스의 철학가(470-399 B.C.). 주로 아테네에서 활동하였고 소피스트에 반대하여 진리의 절대성을 주장했음. 만년에 신을 모독하고 청년들을 부패 타락시킨다 하여 독배를 받고 죽임을 당함)의 제자인 플라톤(Platon.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427-347 B.C.). 소크라테스의 제자로, 아테네 교외에 학교를 설치하여 아카데미아 학파를 창설. 저서에 ‘소크라테스의 변명’, ‘향연’, ‘국가’ 등 약 30편의 ‘대화편(對話編)’이 있음)도 대화편 '티마이오스' 에서 세상 모든 것은 영혼과 지성을 부여받고 있으며, 확실히 신으로 가득 차 있다고 했습니다.
고대 그리스의 범심론(汎心論)에 있어서는 모든 것에 영혼(푸슈케)이 깃들어 있다는 표현이 정확하지만, 기본적으로 '마음'과 동의어로 간주되고 있습니다.
19세기에 이르러 독일 철학자인 아르투르 쇼펜하우어(Arthur Schopenhauer. 독일의 철학자(1788-1860). 칸트의 인식론, 플라톤의 이데아(Idea)론, 인도 철학의 범신론과 염세관을 종합한 철학 체계를 수립함. 저작으로는 ‘의지와 표상으로서의 세계’ 등이 있음)가 "세계를 표상으로 간주하고 그 근저에 작용하는 '맹목적인 생존 의사'로 인간 생활은 끊임없이 의지의 충돌로 비합리적이다"라고 설하거나 미국 철학자·심리학자이자 심리학의 아버지로 불리는 윌리엄 제임스(William James)가 철저한 프래그머티즘(실제주의)을 주장하면서도 범심론을 옹호하는 등 유럽에서 범심론이 갑자기 유행했습니다.
그러나 1920년대 빈에서는 논리실증주의라는 철학운동이 등장하고, '경험적으로 증명된 과학적 지식이 유일하게 받아들여지는 지식'이라는 생각이 널리 퍼졌기 때문에 형이상학에 포함된 범심론도 무의미한 것으로 간주되었습니다.
그러나 과학이 진보한 현대에 범심론에 대한 관심이 재점화되고 있습니다. 이탈리아의 신경과학자이자 정신과 의사인 줄리오 토노니는, 의식은 광범위하게 퍼져 있고, 인간에 한정하지 않고 일부 단순한 시스템에도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고 하는 「의식의 통합 정보이론」을 2004년경 주장했습니다.
또 미국을 대표하는 신경학자 크리스토프 코흐는 2014년 Scientific American에 기고한 기사에서 정신상태나 의식 등은 물질적 상호작용의 결과로 삼는 유물론을 부정하며 "전하를 포함한 소립자가 조직화한 물질 덩어리가 될 경우 의식은 거기에 깃듭니다"고 말했습니다. 그 밖에 AI의 발달로 AI가 단지 데이터로 훈련되는 것만이 아니라 '지각'하는 것처럼 느껴지는 것에서도 범심론이 주목받을 수 있습니다.
한편, 영국의 셰필드대학에서 철학 명예교수를 맡고 있는 키스 프랭키시는 현대의 범심론은 「형이상학적인 고성소(古聖所. 고성소 (古聖所) 또는 림보(limbus)는 기독교의 신학에서 예수를 미처 알지 못하고 원죄 상태를 유지한 채 죽은 사람들의 사후 상태에 대한 신학적 유추에 근거를 둔 내세관)」이라고 비판하고 있습니다.
프랑키시는 마음도 없고 의식을 심리적 기능이 아니라 현상적으로 개념화하는 「의식의 탈심리화」의 위험성에 대해 주장하고 있으며 범심론은 그 전형적인 예라고 지적합니다. 그리고 「의식이 본질적으로 뇌의 프로세스와 결부되어 있지 않다면, 의식이 뇌에 한정된다고 생각할 필요는 없습니다. 결과적으로, 모든 것에 내적인 빛을 발견하는 범심론으로 이어집니다. 그러나 이 견해는 우리 의식의 중요성을 훼손하는 경향이 있습니다」라고 말하며 프랑키시는 범심론에 대해 '환상주의'라고 결론지었습니다.
반대로 범심론을 과학적 견지에서 주장하는 것이 저명한 생물학자 루퍼트 셸드레이크입니다. 셸드레이크는 '모든 사건은 어떤 시간적·공간적 상관관계에 의해 서로 영향을 받는다'는 셸드레이크의 가설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셸드레이크는 인간뿐만 아니라 은하 전체가 의식을 가지고 있는 것은 반론의 여지가 없는 사실이며, 의식이나 마음은 뇌뿐만 아니라 널리 전자파에 포함된다고 주장했습니다.
셸드레이크의 가설에는 '반려동물은 왜 주인이 돌아오는 타이밍을 알 수 있는가'라는 것도 포함되어 있으며, 2000년에는 일본 니혼TV에서 이 가설에 관한 실험이 실시되었습니다.
셸드레이크는 '현재 가장 주목해야 할 과학자 중 한 명'으로 불려 지기도 하는 한편, 셸드레이크의 가설은 초자연 현상 등에 대해 억지로 과학적인 설명을 하는 사이비 과학이라며 부정하는 의견도 많습니다. 또, 2006년에 생물학에 「Plant Neurobiology(식물 신경과학)」라고 하는 「식물이 가지는 의식」에 관한 학문 분야가 등장한 한편, 식물은 의식을 가지지 않는다고 주장하는 논문이 발표되는 등, 의식이나 마음에 대해서는 논의가 엇갈리는 부분도 많이 있습니다.
뉴욕을 거점으로 하는 과학잡지의 Popular Mechanics는, 범심론의 논의를 근거로 해 「아마도 그것은, 세계에 있어서의 개인의 위치설정의 문제입니다」라고 결론지었습니다. 어디까지 마음이 있다고 생각하고, 무엇이 의식에 의해서 좌우되고 있는지는, 어디까지나 사상의 범위에 머무르고 있습니다. 그러나 보다 마음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거나 AI나 전뇌(全脳) 에뮬레이션(emulation). 다른 컴퓨터용의 프로그램을 자기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에 독자적으로 짜 맞추어 해독, 실행시키는 것) 등의 마음을 재현하는 기술이 진보하면서 범심론은 점점 주목받을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재미있거나 도움이 되셨다면 '구독' 꾹 눌러 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늘 행복하세요.
Everything in Our Universe May Be Conscious, Scientists Say
https://www.popularmechanics.com/science/a60229168/panpsychism-everything-has-a-soul/
'시사, 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왜 PC에서 문제가 발생했을 때에 「리부팅(재부팅)」하면 해결하는 경우가 많은가? (49) | 2024.04.10 |
---|---|
'후회하는 것에 대한 두려움'은 인간의 결단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48) | 2024.04.10 |
연말까지 암호화폐 시가총액 5조달러로 두 배 : 리플 CEO (49) | 2024.04.09 |
결국 운동으로 체중을 줄일 수 있을까? (47) | 2024.04.09 |
볼썽사나운 프랑스-독일 갈등 미사여구 아닌 탄약과 무기를 원하는 우크라이나의 속내 (47) | 2024.04.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