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개선 진행중 불완전 취업자 100만명 육박
고용시장에서 원하는 일자리를 찾지 못해 단시간 근로에 머물고 있는 불완전 취업자는 여전히 100만 명에 육박한다고 한다.
지난달 우리나라 취업자 수가 20년 만에 최대 증가폭을 보이고 고용이 회복세를 보이고 있지만 질적 회복에는 이르지 못하고 있다.
2월 20일 통계청의 1월 경제활동인구 조사 마이크로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지난달 시간관련 추가취업가능자는 95만8000명으로 집계됐다고 한다. 시간관련 추가취업가능자는 조사대상 주간 취업시간이 36시간 미만이면서 추가취업을 원하는 사람을 말한다. 원하는 일자리를 찾지 못해 단시간 근로에 머물러 불완전 취업자로 정의된다.
시간관련 추가취업가능자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확대로 지난해 초 120만명대까지 늘어난 뒤 감소세이나 현재도 신형 코로나화 이전 수준을 크게 웃돌고 있다. 신종 코로나 이전인 2019년 70만 명 선이었던 시간관련 추가취업자는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가 발생한 2020년 3월에는 120만4000명으로 급증했고 같은 해 4월에는 128만8000명에 이르렀다. 이를 정점으로 현재는 감소 추세지만 여전히 100만 명에 육박하는 수준이다.
발표된 자료에 따르면 15세 이상 인구는 4520만명으로 1년 전보다 23만 2천명 늘었고, 경제활동인구는 2809만 6천명으로 70만8천명 증가했다. 경제활동참가율은 62.2%로 1.3%포인트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달 취업자 수는 전년 같은 달보다 113만5000명 증가해 11개월 연속 증가했다. 계절조정 취업자 수는 신형 코로나 화전의 정점이었던 2020년 1월에 비해 100.5% 수준이다. 그러나 불완전 취업자는 신형 코로나 재난 이전에 비해 여전히 20만 명 이상 많아 양적회복에 비해 질적회복은 더딘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연령별로 보면 시간관련 추가취업가능자 3명 중 1명은 경제를 지탱하는 30, 40대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달 전체 시간관련 취업가능자 중 30대가 13.4%, 40대가 19.3%를 차지했다.
지난달 시간관련 추가취업가능자를 유형별로 보면 지금보다 취업시간을 늘리겠다는 응답이 72.1%로 가장 많았다. 지금과 다른 일도 하고 싶다와 더 많이 일할 수 있는 일로 바꾸고 싶다는 응답은 각각 12%, 11.7%였다.
'시사, 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크라이나 문제의 초점) 러시아의 민스크 합의 논거에 대한 주장, 미국-유럽과 엇갈려 (0) | 2022.02.22 |
---|---|
사라진 관광객들 비싼 임대료로 명동 절반 빈가게 (0) | 2022.02.22 |
'2050년 중국' 프랑스의 예언자가 찾는 미래 (0) | 2022.02.21 |
2월 22일은 다케시마의 날(竹島の日)、 우리는(한국 측) 다케시마의 날 철회 규탄 결의대회, 독도(獨島)에서 진행 (0) | 2022.02.21 |
하버드대학이 80년 동안 724명을 추적 조사해 밝혀낸 '인생에 가장 큰 행복을 가져다주는' 의외의 요소들 (0) | 2022.02.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