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사위원 자격요건 중 재무·회계전문가
■ 질문요지는
감사위원 자격요건 관련
당사는 상장회사로서 감사위원회를 사외이사 3인으로 구성하여 운영하고 있음.
상법 규정대로, 사외이사 2/3 이상 규정을 충족하고 있는데요.
금년도 정기주주총회를 거쳐, 감사위원회를 새로 구성하려고 하는데, 사외이사 2인과 재무전문가인 기타비상무이사 1인으로 구성해도 되는지?
(※기타비상무이사는 재무관련 임원으로 5년 이상 재직한 경력 보유)
재무전문가 경력을 충족하는 기타비상무이사 또는 사내이사가 감사위원회에 참가할 수 있는지?
■ 이를 설명하면
감사위원회 구성은 3명 이상의 이사로 사외이사가 위원의 3분의 2이상이어야 하며(상법 제415조의2 제2항), 위원 중 1인은 회계·재무전문가, 감사위원회 대표는 사외이사여야 함.
따라서 3인으로 구성된 감사위원회 위원 중 1인이 회계·재무전문가이면 됨.
감사위원 요건상 회사의 상무에 종사하는 이사(사내이사)는 사외이사가 아닌 감사위원회 위원이 될 수 없고, 이에 해당하게 된 경우에는 그 직을 상실함(상법 제542조의11 제2항, 제3항).
(*상무에 종사하는 사내이사는 업무집행을 하게 되고, 이사의 업무집행을 감독해야 하는 감사위원의 직무와 상충)
또한 사외이사인 감사위원의 경우에 사외이사의 자격을 전제로 하므로 그 결격요건으로 회사의 상무에 종사하지 않아야 하며, 사내이사의 업무집행사항을 감시·감독해야 하는 감사위원회의 권한과 의무, 책임에 따르면 사내이사는 감사위원회에 참여할 수 없음.
따라서, 법상 자격요건을 갖춘 기타비상무이사의 경우에는 감사위원으로서 회계·재무전문가가 가능하나, 사내이사는 감사위원이 될 수 없음.
* 자료는 개인적으로 정리한 것입니다. 반드시 법률전문가 등의 확인을 거쳐 판단하고, 관련 법규의 개정이나 판례 등 최근 자료를 반드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회사법, 상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법 시행령 개정에 따른 정관 변경(사외이사 자격요건 명시) 여부 (0) | 2022.01.28 |
---|---|
상장회사의 사외이사 선임시, 결격요건과 겸직금지의 다른 회사 범위 (0) | 2022.01.26 |
정관 상 '기타 이사회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위원회'를 근거로 '사외이사 후보추천위원회' 설치 가능 여부 (0) | 2022.01.24 |
의사회 결의에 의한 전자투표의 채택 방법 (0) | 2022.01.24 |
감사위원 분리선출을 위한 주주총회 안건상정과 구성 (0) | 2022.01.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