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결권 제한 규정의 감사위원 분리선출시 적용 여부(상법 제542조의12)
본문 바로가기
회사법, 상법

의결권 제한 규정의 감사위원 분리선출시 적용 여부(상법 제542조의12)

by 소식쟁이2 2022. 1. 12.

의결권 제한 규정의 감사위원 분리선출시 적용 여부(상법 제542조의12)

□ 개정 상법 제542조의12 제4항에 따른 의결권 제한 규정은 일괄선출하는 감사위원과 분리선출하는 감사위원 모두에게 적용되는지?

○ 일괄선출방식이란 주주총회에서 이사를 먼저 선임하고, 선임된 이사들 중에서 다시 새로운 결의로 감사위원이 되는 자를 선임하는 방식을 말하며, 분리선출방식이란 주주총회에서 이사를 선임할 때 일반적 이사와 감사위원을 담당할 이사를 애초부터 분리하여 선임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 개정 상법 제542조의12 제4항에 따른 의결권 제한 규정은 일괄선출하는 감사위원과 분리선출하는 감사위원 모두에게 적용됩니다. 다만 일괄선출의 경우 두 단계로 감사위원을 선출하는바, 첫 번째 단계인 이사선출 단계에서 적용되지 않고 두 번째 단계인 감사위원 선출단계에서 적용되는 차이만이 있을 뿐입니다.

 

※ 상법 제542조의12 제1항은 주총에서 모든 감사위원의 선임에 관한 규정, 제2항은 절차 관련 규정, 제3항은 해임 관련 규정, 제4항은 제1항에 의해 선·해임하는 감사위원 모두 적용되는 규정임

------------
[관계법령]
상법 제542조의12
① ~ ③ (생략)
④ 제1항에 따른 감사위원회위원을 선임 또는 해임할 때에는 상장회사의 의결권 없는 주식을 제외한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3(정관에서 더 낮은 주식 보유비율을 정할 수 있으며, 정관에서 더 낮은 주식 보유비율을 정한 경우에는 그 비율로 한다)을 초과하는 수의 주식을 가진 주주(최대주주인 경우에는 사외이사가 아닌 감사위원회위원을 선임 또는 해임할 때에 그의 특수관계인, 그 밖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자가 소유하는 주식을 합산한다)는 그 초과하는 주식에 관하여 의결권을 행사하지 못한다.


(출처 : 법무부 개정 상법 관련 질의응답 2020. 12.)

 

[참고] 감사위원 선임 및 감사위원회 운영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