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반도체산업 공급망 및 산업·통상협력 강화
한국과 미국이 양국은 반도체산업의 공급망 강화와 경쟁력 향상을 위한 성과사업을 발굴하고 이를 바탕으로 보다 긴밀한 산업·통상협력에 나서기로 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3월 31일 오전 미국 상무부와 공동으로 한미 반도체 파트너십 대화 1차 분과 화상회의를 열고 이 같은 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한국측은 산업통상자원부, 반도체산업협회, 산업기술평가관리원, 산업기술진흥원, 무역투자진흥공사(KOTRA)가 참여했다. 미국 측에서는 상무부, 반도체산업협회(SIA), 국가기술표준원(NIST), 국립과학재단(NSF), 반도체연구컨소시엄(SRC)이 참여했다.
이번 회의는 지난해 12월 개최한 제1차 한미 반도체 파트너십 대화(국장급)의 성과창출을 위한 분과회의로 공급망분석 분과, 산업협력 분과 등 2개 분과에서 논의가 진행됐다. 제1차 한미반도체 파트너십 대화는 지난해 문승욱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미국을 방문해 지나 레몬드 미 상무장관을 만나 국장급의 한미 반도체 대화 신설을 최종 결정한 바 있다.
공급망분석 분과에서는 글로벌 반도체 공급망 이슈와 공급망 복원력 제고를 위한 산업·통상 협력방안을 논의했다. 산업협력분과에서는 기술개발, 인력, 투자 등 산업·통상협력을 위한 주요 프로젝트를 협의했다. 지난 2월 열린 한·미 반도체 파트너십 투자설명회(서울)에서 발굴된 투자 프로젝트 등의 성과도 공유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이번 분과회를 계기로 양국은 굳건한 신뢰관계를 바탕으로 양국 반도체산업의 공급망 강화와 경쟁력 향상을 위한 성과사업을 발굴하고 긴밀한 산업·통상협력을 계속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시사, 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러시아 금수조치 '원유' 암시장서 유통 … 중국과 인도 구입상황 확인 (0) | 2022.03.31 |
---|---|
올해 1~2월 전기차 배터리 시장 중 CATL이 1위, LG에너지솔루션 2위 (0) | 2022.03.31 |
일본 엔-달러 한때 121엔대로 상승 ... 구로다 일본은행 총재, 총리와 회담 (0) | 2022.03.30 |
미국의 반도체 지원정책은 공장건설에 너무 중점을 두고 있다 (0) | 2022.03.30 |
철저히 테슬라에게 배운다 ... 볼보의 전략은 성공할까! (0) | 2022.03.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