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력은 인간의 본질인가?
인류에서 가장 오래된 문명은 3000~4000년 전에 출현했지만, 그로부터 현대까지 전쟁이 없고 평화로웠던 기간은 268년밖에 되지 않는다고 합니다.
유사 이래 전쟁으로 목숨을 잃은 사람은 10억 명에 이른다는 추산한 통계도 있습니다. 이처럼 인류의 역사는 전쟁과 폭력으로 얼룩져 있는데, 이러한 공격성은 인간이 선천적으로 가지고 있는 것인가, 사회의 구조가 인간에게 그렇게 만들고 있는가 하는 명제에 과학 뉴스 사이트 Live Science가 파고들어 정리한 내용입니다.
2014년 과학지 네이처에 실린 논문에 따르면 인류와 가장 가까운 유인원인 침팬지 커뮤니티를 50년 넘게 연구한 결과 18개 무리 중 15개 무리에서 총 152건의 침팬지 간 살해사건이 확인됐으며, 대부분 무리 중의 개체 간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때문에 일부 과학자들은 적어도 인류와 침팬지의 공통 조상까지는 폭력이 일반적인 선택지였다고 생각합니다.
캐나다 온타리오州 겔프대 진화심리학자 팻 버클리는 Live Science에 '가장 오래된 역사적 기록보다 오래된 폭력의 증거가 있습니다. 그것은 화살촉이 박힌 두개골 등 폭력적인 죽음의 흔적입니다. 이는 복잡한 사회와 문명이 발달하기 전에 폭력이 있었음을 시사합니다'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나 만약 인류문명의 원류에 폭력이 있었다면 거기서 파생된 모든 사회에서 똑같이 폭력이 만연할 수도 있겠지만 폭력의 발생률은 지역이나 문화, 그리고 시대에 따라 크게 다릅니다. 예를 들어 유목민 사회에서는 대인 폭력의 수준이 비교적 낮지만 약탈과 정복이 성행하던 시대에서는 당연히 폭력은 높은 수준이었습니다. 또한 유럽과 미국을 비교해도 미국은 대부분의 유럽 국가들보다 폭력적입니다.
이는 인류라는 종(種) 안에서도 폭력이 많은 사회와 적은 사회가 있음을 보여준다고 지적한 뒤 버클리는 "사회 간 폭력 발생률에는 현격한 차이가 있습니다. 어떤 사회에서는 남성의 절반이 다른 절반의 남성에 의해 폭력적으로 살해됐다는 기록이 있는 반면 현대의 일부 국가(일본)처럼 육체적 폭력이 매우 드문 사회도 있습니다"라고 말했습니다.
최초의 폭력이 어디서 발생했는지는 모르지만 폭력이 폭력을 낳는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습니다. 즉, 분쟁이 자주 일어나는 문화에서는 폭력이 세대를 초월하여 확산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폭력은 모종의 감염병과 마찬가지로 전염되는 것이라고 주장하는 전염병 역학자도 있습니다.
그러나 폭력이 만연하지 않은 사회에도 폭력은 존재합니다. 영국 바스대에서 정치적 폭력을 전문으로 연구하고 있는 브래드 에번스는 '보통 선량한 사람이라도 상황이 바뀌면 바로 괴물로 변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사람이 왜 폭력적인 행동을 하는지 설명하는 명확한 공식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문제가 복잡하다'고 말했습니다.
사람과 사람이 접촉할 정도로 전염되기 쉬운 감염병과 달리 폭력은 가해자가 피해자로부터 떨어져 있을수록 실행이 쉽다고 합니다. 즉 물리적으로 사람을 때리는 것보다 핵미사일 발사 버튼을 누르는 것이 훨씬 쉽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아이히만 실험(Milgram experiment. 폐쇄적인 상황에서 권위자의 지시에 따른 인간의 심리상황을 실험한 것이다)'으로 유명한 실험에서는 실험자가 피실험자에게 '다른 사람에게 주는 전기충격을 점점 강하게 하라'고 지시했더니 피실험자와 전기충격을 받는 사람의 물리적 거리가 가까울수록 피실험자가 싫어했다는 것이 보고되었습니다.
또한 사실적으로도 대량학살은 가해자가 자신과 다른 인종이나 민족을 인간으로 간주하지 않게 되었을 때나 가해자와 피해자 사이에 심리적 거리가 놓였을 때 발생하고 있습니다.
과학자들 사이에서도 인간은 진화 역사에서 훨씬 폭력적인 동물이었다는 생각과 폭력은 정착생활과 가부장제 이데올로기, 치명적인 테크놀로지가 만들어낸 것이며 인간은 원래 온화한 고귀한 야만인이었다는 생각이 맞서고 있어 결론이 나지 않았습니다.
이 때문에 인간의 폭력에는 집단이 다른 집단으로부터 자원이나 토지를 빼앗을 때 볼 수 있는 '적극적인 폭력'과 그러한 폭력에 직면했을 때의 반응인 '반응적인 폭력'의 두 종류가 있다고 주장하는 연구도 있습니다.
폭력이 인간의 본능에 스며 있는 것처럼 보이는 한편, 인간 사회는 약육강식의 자연계보다 분명히 평화롭습니다. 이 때문에 버클리는 객관적으로 보면 사람은 예전보다 폭력에 노출될 위험이 훨씬 낮고 현대를 사는 우리는 역사상 가장 평화로운 시대에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앞으로도 그렇다고는 할 수 없습니다. 기후변화와 싸우지 않는 한 식량부족, 재해, 절망, 그리고 전쟁의 이유가 계속 늘어날 것입니다."라고 결론 내리고 있습니다.
*재미있거나 도움이 되셨다면 '구독' 꾹 눌러 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늘 행복하세요.
Are humans inherently violent? | | Live Science
https://www.livescience.com/are-people-inherently-violent
Are humans inherently violent?
Human violence is in the news every day. But is violence innate in Homo sapiens?
www.livescience.com
'시사, 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온이 상승하면 자*살이 증가한다'는 연구 결과 (0) | 2023.11.14 |
---|---|
결혼은 여성의 장기적인 건강과 행복에 효과적이다 (0) | 2023.11.14 |
"다른 사람들을 위해 돈을 쓰는 것"은 혈압을 낮추고 운동과 식사만큼이나 건강에 영향을 준다 (0) | 2023.11.14 |
커피위기 2050년 문제란? 스타벅스는 어떻게 대처하고 있나? (2) | 2023.11.14 |
'완벽주의'는 위험하다고 지적하는 과학자들 (0) | 2023.11.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