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세계화가 진행되고 황금시대가 끝난다고 주장하는 지정학자의 주장
2022년 6월 미국의 지정학자 피터 제이한(Peter Zeihan)에 의해 세계 각국이 앞으로 어떤 과제를 안고 있을지를 지정학적으로 논한 서적 'The End of the World is just the Beginning'이 발간되었습니다.
운송·금융·에너지·재료·제조·농업이라는 6가지 관점에서 세계를 내다본 이 책에서 제이한이 주장하는 내용입니다.
제이한은 세계화의 붕괴에 따라 2020년대에는 세계 거의 전지역에서 소비, 생산, 투자, 무역의 붕괴가 일어날 것으로 예측하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사람들의 생활이 더 어려워지고 발전이 더디고 악화된다고 그는 주장하고 있습니다. 출산율도 각국에서 감소 추세에 있는 것으로 밝히고 있습니다.
제이한의 주장은 국가나 지역이 스스로 상품을 만들고, 식량을 키우고, 에너지를 확보하고, 스스로 싸우고, 인구가 감소하고 고령화되는 가운데 모든 것을 할 수밖에 없는 새로운 세계가 도래한다는 것입니다.
다음으로, 제이한은 「무역이나 제품에 관계없이, 거의 모든 제조·물류 프로세스는 적어도 2개의 나라에 걸쳐 있습니다. 스마트폰 칩 제조처럼 글로벌 공급망에 걸친 수백 개의 재료와 공정을 수반하는 것도 있습니다. 현재의 무질서한 세계에서는 이런 방식이 통하지 않는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제이한은 도시발전에 물길이 필수적이라고 말합니다. 고대 이집트 도시가 번영한 것은 물과 사막의 완충지대가 완벽하게 섞여 있었기 때문입니다.
15세기부터 16세기에 걸쳐 스페인과 포르투갈이 대두한 것은 원양 항해기술을 습득했기 때문만이 아니라 반도에 위치해 있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유럽 대륙의 다른 지역과의 혼전에서 해방된 것이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제이한은 석탄, 콘크리트, 철도, 제철을 대규모로 생산하려면 많은 자본이 필요합니다.
이 개발에 자금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은 자본을 창출하는 항행 가능한 수로가 풍부하게 있는 나라 뿐입니다.
독일은 유럽의 어느 나라보다 풍부한 수로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독일이 산업강국으로 대두하는 것은 필연적인 일이었습니다」라고 기술하고 있다.
그러나 "기술의 진화에 따라 승자와 패자는 변화할 것"이라며 "18세기 영국에서 시작된 산업혁명으로 과거 강대국이었던 스페인은 외진 벽지로 변해 대영제국의 탄생을 알렸습니다.
미국인들은 세계 누구보다 많은 재산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제2차 세계대전에서 독일이 몰락한 것은 필연적이었습니다"라고 주장합니다.
이러한 동정은 앞으로 일어날 세계적인 혼란과 인구 동태의 붕괴도 마찬가지이며 많은 나라에서 같은 일이 일어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또 제이한은 "미국은 세계 격동과 퇴화의 최악 영향에서 벗어날 수 있다"고도 합니다. 미국인들이 살아남고 번영해 온 것은 세계 대부분과 격절된 지리적 조건과 중국이나 유럽보다 젊은 인구가 있기 때문이라고 주장하며 경제적 불평등이 확대되고 있는 미국에서도 잘 해낼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재미있거나 도움이 되셨다면 '구독' 꾹 눌러 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늘 행복하세요.
Four Guideposts for the End of the World|Legacy Research Group
https://www.legacyresearch.com/the-daily-cut/four-guideposts-for-the-end-of-the-world/
The End of the World is Just The Beginning Maps - Zeihan on Geopolitics
https://zeihan.com/end-of-the-world-maps/
'시사, 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곤충이 '통증'을 느끼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는 연구 결과 (55) | 2024.03.30 |
---|---|
인간 이외의 생물은 어떻게 통증을 느끼고 있는가? (5) | 2024.03.30 |
부유한 어머니에게는 아들이 태어나기 쉽고 빈곤 속에선 딸이 태어나기 쉽다? (70) | 2024.03.29 |
많은 일을 완수하는 성공자들이 가지는 「인지의 왜곡」은? (50) | 2024.03.29 |
당신이 미국 정부의 위험인물로 간주되어 철저히 감시받을 수 있는 기준은? (70) | 2024.03.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