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인민은행, 트럼프 취임 대비 금(金) 구매 재개…분석가는 온스 3000달러 도달 예상
본문 바로가기
시사, 경영

중국 인민은행, 트럼프 취임 대비 금(金) 구매 재개…분석가는 온스 3000달러 도달 예상

by 소식쟁이2 2025. 1. 21.

중국 인민은행, 트럼프 취임 대비 금(金) 구매 재개…분석가는 온스 3000달러 도달 예상

중국은 트럼프 대통령의 2기를 향해 경제전망이 불투명한 가운데 다시 금(金)을 모으기 시작했다.

중국은 경제적인 과제와 미국 달러의 강세에 직면하는 가운데, 금(金)의 준비금을 증가시키고 있다. 중국의 금(金) 매입은 가격 급등과 경제회복이 지연되면서 일시 중단됐었다. 골드만삭스는 각국 중앙은행의 수요를 배경으로 골드 가격이 2026년 2분기까지 온스당 3000달러에 이를 수 있다고 예측하고 있다.

중국은 2025년 1월 20일 도널드 트럼프(Donald Trump) 미국 대통령 취임을 앞두고 금(金)을 대량으로 사들이는 모양새다.
2024년 12월, 데이터에 따르면 중국 인민은행은 33만 트로이 온스(약 10톤)의 금(金)를 구입해, 그 보유량을 2개월 연속으로 증가시켰다.

2024년 12월 시점에서 중국은 7329만 온스(약 2280톤)의 금(金)를 보유하고 있으며, 2024년 11월의 7296만 온스(약 2270톤)에서 증가했다.

중국이 보유량을 증가시킨 것은 6개월의 중단 후의 일이었다. 그동안 세계 2위의 이 경제대국은 금값이 기록적인 고점을 찍으면서 구매를 자제했던 것으로 보인다.

◆ 금(金) 더 오를 듯
현물 골드 가격은 1트로이온스(약 31g)당 약 2800달러라는 역사적인 고점을 찍은 뒤 하락하고 있다.

현물거래 금(金)는 트럼프가 당선된 대선 이후 미국 달러화가 상승함에 따라 현재는 트로이온스당 약 2650달러가 됐다. 미국 달러화가 강세를 보이면 보통 금값에는 압력이 가해진다. 그것은 미국 달러로 거래되고 있기 때문이다.

중국 중앙은행이 금(金) 보유량을 증가시키는 배경에는 코로나19 사태 이후 경제 회복 지연이 있다. 중국 경제는, 장기화되는 부동산 시장의 침체, 소비 의욕의 하락, 미국과 유럽 경제의 침체 등의 과제에 의해 회복이 어려워지고 있다.

2024년 중국 위안화는 미국 달러화 대비 하락해 16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월드골드카운슬(World Gold Council)의 중국 담당 연구책임자인 레이 지아(Ray Jia)는 위안화의 잠재적 하락과 금리인하 가능성에 따라 2025년 금(金) 투자 수요가 뒷받침될 것으로 전망했다.

"지난 몇 년간 금(金) 투자 수요의 주요 원동력이 되어온 구매 재개가 공식적으로 발표되면 투자자들의 심리는 더욱 높아질 것"이라고 지아는 말했다.

◆ 금(金)은 온스당 3000달러에 이를 수도 있다
2024년 금(金)는 현물 가격에서 30% 가까운 급등세를 보여 많은 투자자들이 사재기했다. 그러나 그 수요는 2025년에도 계속 강할 것으로 예측하는 애널리스트도 있다.

2025년 1월 5일 골드만삭스(Goldman Sachs)는 금(金) 가격은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의 금리 인하에 따라 2026년 2분기까지 온스당 3000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측하였다.

골드만삭스는 각국 중앙은행의 금(金) 수요 고조가 계속해서 가격 상승을 촉진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이 수요 증가의 한 요인은 중앙은행이 미국 달러에서 정치적으로 중립적이고 오랜 세월 안전한 자산으로 여겨져 온 금(金)으로 자산 분산을 진행하고 있기 때문이다.

골드만삭스는 금(金) 가격이 1온스에 3000달러에 달하는 시기의 예측을 2025년 말에서 2026년 2분기로 미루고 있다. 이는 제롬 파월(Jerome Powell) 연준 의장이 2025년 금리인하 속도가 둔화될 가능성을 시사했기 때문이다.

중앙은행의 수요, 지정학적 리스크, 주식시장의 불확실성이 금값 상승을 뒷받침하는 요인이라고 골드만삭스는 지적했다.

"무역관세, 즉 당사의 FX 전략가들이 예측하는 2025년 달러 강세 전망의 주요 요인이나 보다 광범위한 지정학적 충격이 달러 강세를 일으킬 때 달러와 금(金) 가격은 함께 상승할 것"이라고 골드만삭스 애널리스트는 말했다.

맥쿼리그룹(Macquarie Group)의 커모디티 전략부문 책임자인 마커스 가비(Marcus Garvey)도 금(金) 가격이 온스당 3000달러에 이를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중국 투자자들의 구매가 재개되거나 시장이 트럼프 대통령의 정책 제안이 미국의 재정 전망을 크게 악화시킨다면 금(金) 가격은 당장 1온스에 3000달러를 돌파할 수 있으며, 2024년 10월 고점(2800달러)을 웃돌면 조직적 모멘텀 매수(가격상승 추세에 따라 계획적으로 이뤄지는 매수 주문)가 강해질 수 있다고 가비는 지적했다.

트럼프는 중국산(中國製) 제품에 60%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위협하고 있으며, 분석가들은 이것이 미국의 인플레이션을 끌어올릴 가능성이 있다고 말하고 있다.

(출처) China is back to hoarding gold ahead of an uncertain time for its economy in Trump's second term
https://www.businessinsider.com/china-economy-central-bank-gold-demand-trump-inauguration-dollar-tariffs-2025-1

*재미있거나 도움이 되셨다면 '구독' 꾹 눌러 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늘 행복하세요.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