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란이 보복 공격으로 저지른 치명적 실수
본문 바로가기
시사, 경영

이란이 보복 공격으로 저지른 치명적 실수

by 소식쟁이2 2024. 10. 7.

이란이 보복 공격으로 저지른 치명적 실수

돌이켜 보면, 이란은 금년 4월에 전략상의 중대한 잘못을 저질렀다. 300발이나 되는 미사일과 드론(무인기)을 이스라엘을 향해 발사했지만 사실상 모든 것이 격추되거나 실패로 돌아간 것이다. 10월 1일의 이란에 의한 공격은 발사 숫자는 적었지만, 보다 강력했다. 다만 이것도 잘못된 것으로 보인다.

4월 이스라엘이 다마스쿠스의 이란 대사관을 공격한 뒤 이란 지도자들은 잃어버린 억지력을 되찾기를 원했다. 이란의 목표는 희생자를 내지 않고 힘을 과시하는 것이었다. 희생자가 나오면 이스라엘의 압도적인 보복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때 이란의 메시지는 명확했다. 즉, 실제 전쟁은 원하지 않지만, 만약 그렇게 될 경우에 대비해 이란의 실력을 과시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공격은 오히려 약점을 부각시켰다. 이란에는 강력하게 반격할 만한 능력도, 의사도 결여되어 있는 것이 드러났다. 이후 이스라엘의 보복은 그 능력과 의도에 의심의 여지를 남기지 않았다.

이란 측은 이후 '저항의 축'이자 최강세력인 레바논의 친이란 민병대 헤즈볼라가 이스라엘에 의해 약화되는 것을 지켜볼 수밖에 없었다. 헤즈볼라의 사령관이 차례차례 살해되고, 이슬람 혁명수비대의 지휘관이 중상을 입었으며, 이슬람 조직 하마스의 지도자 이스마일 하니야는 테헤란에 체재 중에 사망했다. 이란의 지도자는 보복에 대해 호언장담했지만, 결국은 수수방관하고 있었다.

그러나 베이루트에 있는 헤즈볼라 본부에 대한 공격으로 카리스마 있는 지도자 나스랄라와 혁명수비대의 다른 지도자가 사망한 것은 아무래도 간과할 수 없었다. 그렇지 않으면 아랍 국가뿐 아니라 추축의 세력이나 최악의 경우 자국내에서도 종이호랑이로 간주될 수 있다. 신의 이름으로 혁명을 설파하는 비인기적이고 억압적인 정권에 있어서, 냉소의 대상이 되거나 약하다고 받아들여지면 치명적이다.

초기 보고에 따르면 이번에도 많은 미사일이 요격됐지만 이스라엘의 방공시스템을 뚫은 미사일은 늘었다. 더욱이 이번에는 4월의 공격으로 주류였던 순항 미사일이나 드론보다 고속의 탄도미사일 200발이 발사된 것으로 보인다. 런던에 있는 국제전략연구소의 방위연구원 파비안 힌츠의 분석에 따르면 10월 1일 탄도미사일은 이전보다 훨씬 현대적이고 세련된 유형이었다.

그럼에도 이번 보복 공격은 4월보다 더 큰 잘못일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현시점에서 사상자의 보고는 들리지 않았다. 이란의 노림수가 국가 간 전쟁을 유발하지 않고 억지력 회복을 다시 의도했다고 해도 그것은 분명 실패였다. 최고 지도자 하메네이는 주의를 기울이지 않았다는 표시이기도 하다.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는 「이란은 오늘 밤 큰 실수를 했다. 그리고 그 대가를 치르게 될 것이다」라고 경고했다. 「이란 정부는 우리의 자위력의 결의, 적에 대해 보복하는 우리의 결의를 이해하고 있지 않다」라고 덧붙였다. 앞으로 어떤 보복조치가 취해질지가 중요하다.

전 이스라엘 정보기관 고위 관리인 아비 멜라메드는 이스라엘에 보복 외에 다른 선택지는 없다고 말했다. 멜라메드의 견해로는 이스라엘은 이번에는 신속하게 움직여, 4월보다 훨씬 대규모의 공격을 하게 된다. 10월 1일의 탄도미사일 공격으로 사망자는 나오지 않았을지 모르지만 「이것은 비디오 게임이 아니다」라고 그는 말했다. 이란의 두 번째 오산은 이스라엘에 좋은 기회가 되기도 한다.

이스라엘의 공격은 4월 때보다 더 많은 자산을 파괴하고 훨씬 더 많은 눈에 띄게 될 것이다. 이란은 지난번처럼 이스라엘 무인기를 장난감처럼 제거는 것은 통하지 않을 것이다. 하메네이와 군 간부들은 아무것도 하지 않고 신뢰성과 억지력을 더 잃을지, 아니면 반격해 미국마저 끌어들일 수 있는 비참한 전쟁의 위험을 감수할지 결단을 내려야 한다.

네타냐후 수상은 지난주의 유엔총회에서의 연설에서, 중동을 긍정적인 형태로 재구축하려고 하고 있는 이스라엘이야말로 지지되어야 하며, 그것이 이란 핵심과 그 대리 세력의 타도에 통하고 있다는 이론을 펼쳤다.

네타냐후의 이론에는 설득력이 있었다. 현재로서는 이스라엘이 많은 군사적 성공을 거두고 있는 것이 분명하며, 이란의 체제는 국민과 지역에 있어서 마이너스라는 것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 더욱이 나스랄라의 죽음은 이스라엘뿐 아니라 워싱턴의 매파들 사이에서도 최종적으로는 이란과 싸우는 네타냐후에 대한 지지로 이어졌다.

중동을 재구축하려는 그동안의 시도는 2003년 미국 주도의 이라크 침공을 포함해 잘 이뤄지지 않고 있다. 물론 이번에는 그것과는 다를 것이다. 적어도 이란 국내에서 지상전이 펼쳐지는 일은 없을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에스컬레이션 억제를 위한 에스컬레이션이 실제로 어떻게 전개될지는 여전히 통제하기 어렵다.

어쨌든 미국의 행동과 중동의 향방을 좌우할 열쇠는 베냐민 네타냐후 총리가 쥐고 있다.

(원문) Iran’s Missile Strike Was Yet Another Strategic Blunder
https://www.bloomberg.com/opinion/articles/2024-10-01/iran-s-missile-strike-was-yet-another-strategic-blunder

*재미있거나 도움이 되셨다면 '구독' 꾹 눌러 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늘 행복하세요.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