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니클로 야나이 타다시(柳井正)의 '일본망국론'은 옳았다…! 그래도 경제평론가가 생각한 일본인이 살아남기 위한 '마지막 기회'
본문 바로가기
시사, 경영

유니클로 야나이 타다시(柳井正)의 '일본망국론'은 옳았다…! 그래도 경제평론가가 생각한 일본인이 살아남기 위한 '마지막 기회'

by 소식쟁이2 2024. 9. 30.

유니클로 야나이 타다시(柳井正)의 '일본망국론'은 옳았다…! 그래도 경제평론가가 생각한 일본인이 살아남기 위한 '마지막 기회'

우리 회사 조직에도 시사점이 있는 듯하여 정리하였습니다.

◆ 야나이 타다시(柳井正)의 '일본 망한다'는 발언을 이렇게 생각한다

유니클로를 운영하는 패스트리테일링의 야나이 타다시 CEO가 문제 제기를 한 '일본은 망한다' 발언이 화제가 되고 있습니다.

유니클로 야나이 타다시의 '망국론'을 경제평론가가 검토한 결과…역시 '일본은 위험했다'!고 분석하면서 아시아의 젊은이를 많이 키우고 있지만, 공부를 한 그들, 그녀들이 자신의 커리어를 꽃피울 수 있는 곳으로 일본이 아닌 다른 나라를 선택하고 있는 상황을 우려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야나이는 TV 인터뷰에서 "소수 정예로 일한다는 것을 기억하지 않으면 일본인은 망하지 않습니까"라고 발언했습니다.

권한이양이 불충분한 전통적인 일본 기업은, 자신이 결정하고 책임을 지는 것을 싫어하는 사람이 많기 때문에, 좀처럼 이러한 활발한 조직은 많지 않습니다. 그런데 국제적 경쟁이 되면 선수를 빼앗기고, 야나이는 소수 정예로 일을 하는 것을 기억하지 못하는 일본인은 망한다고 지적한 것입니다.

사실 이 이야기, 좀 더 뿌리 깊은 것이 있습니다. 그렇다는 것은, 이 현상은 두 가지 요인으로 변화해 갈 것으로 예측되는 것입니다.

하나는 이 현상은 전통적인 일본 기업만의 이야기가 아니라 세계적으로 만연한 조직의 병적인 증상인 요인인 것과 그리고 또 하나는 AI의 출현입니다.
그렇다면 세계적으로 만연한 조직의 병적인 현상은 무엇인가, 또 AI의 출현으로 그것이 어떻게 변하는가.

아래에서 자세히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첫 번째 세계에 만연하는 문제의 이야기입니다. bull shit job(bull은 황소, shit은 똥이고, 황소똥 같다는 것으로,즉 개소리_빌어 먹을 아무래도 좋은 일)이라는 말을 들어보신 분들이 많지 않을까요? 최근에는 일본어로 '말도 안 되는 일'이라고 번역하고 있습니다.

정의는,
"자신의 일이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는 일임을 자신이 자각하고 있는 일"이라고 합니다.

이러한 일은 대조직으로, 뭔가 잘난 체하는 직함을 달고 있는 사람이 하고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senior executive adviser for인지 뭔지」같은 포지션으로, 급료가 좋을 뿐만 아니라, 나름대로 그 직함으로부터 본인은 자존심을 얻을 수 있다. 하지만 사실은 그 일이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것은 본인이 가장 잘 이해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일이 증가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하는 칼럼에 자극을 받아 유럽의 미디어가 본격적으로 조사를 한 결과, 광범위한 업종의 다양한 화이트칼라의 일 중에는 일정수, 이러한 일이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밝혀졌습니다.

추정으로 말하면, 전체 업무량의 30%에서 40%를 차지하는 것으로 본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영화산업의 중심지라고 하는 할리우드에서는 이러한 직함의 사람들이 급증하고 있다고 합니다. 그래서 새로운 영화 기획을 만들려는 사람들은 이 사람들에게 농락당합니다.

원래는 프로듀서와 각본가, 감독의 3명이 정하면 되는 스토리도, 주위의 수십 명과 있는 executive 따위의 의견을 듣고 있는 사이에, 점점 도무지 재미없는 영화가 완성됩니다.

이 상황에 눈독을 들이고 성장한 것이 넷플릭스라는 회사입니다.
시시한 직함의 일을 없애고, 현장의 책임자에게 모든 권한 이양을 합니다. 그러면 스튜디오에 활기가 생기고 점점 좋은 작품이 생겨납니다. 결과적으로 역량 있는 크리에이터들은 점점 넷플릭스를 찾게 되는 선순환이 생기고 있습니다.

유니클로의 야나이 회장이 문제를 제기한 것은, 이 예로 말하면 일본 기업은 할리우드처럼 되고 싶은가, 아니면 넷플릭스를 목표로 하고 싶은가 하는 것입니다.

더 적은 인원으로 일을 하는 것을 기억해야 한다는 것은 후자가 아니면 앞으로 살아남을 수 없다는 의미입니다.

◆ AI로 '초소수 정예팀' 대두
또 하나의 세계적인 트렌드가 일에 생성형 AI의 도입입니다. 2023년에 큰 붐을 일으킨 생성형 AI는 2025년부터 2026년경까지는 일의 도구로서 확실히 정착해 갈으로 보입니다.

'굉장히 심플한 상정으로서 회사 근무자가 일을 할 때에 PC에서는 유료판의 ChatGPT 제품을, 스마트폰에서는 iPhone이라면 애플 인텔리전스를 사용하게 된다고 상정합니다. 서류를 작성하는 Word나 파워포인트에도, 스케줄이나 메일을 관리하는 Outlook에도, 마이크로소프트의 코파일럿이 표준 장비가 된다고 합시다.'

이 상황이 의미하는 것은, 팀이나 부하직원이라고 하는 자원이 거의 불필요해진다는 것입니다.
일을 진행함에 있어서 당신이 만일 팀장이라고 하여 부하들에게,

「〇〇에 대해 조사해 줘. 현지에 가서 정보를 모아 일주일 뒤에 보고해 달라」라고 하든가,

「조금 전 마친 회의록을 정리한 뒤 우리 팀이 해야 할 향후 액션을 열거해 보고해 주세요」 라고 하는 작업이, 아래 직원 대신에 생성형 AI가 순식간에 해주게 됩니다.

◆ '생성형 AI 시대' 조직에 일어나는 대변화
야나이의 「일본인은 망하는 것이 아닌가」라고 하는 발언은 위기감의 표시이기도 합니다.
이 변화의 결과로 가까운 미래에 초소수 정예형 경영팀이 생겨날 것으로 예측되고 있습니다. 거대 기업이 매우 큰 일을 해나가기 위한 본사 기능이 수천 명의 조직을 필요로 하지 않고, 수십 명의 초소수 정예조직으로 대체될 것이라는 예측입니다.

이러한 미래에서 필요한 것은, 그 조직에 소속하는 인재가 매우 높은 능력을 가지고 있는 것과 동시에, 그 능력이 높은 인재에게 권한이양을 할 수 있을지 여부입니다.

이 두 가지입니다.
일본 기업의 경우, 전자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극복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왜냐하면 기본적으로 고학력에 높은 능력을 가진 인재를 신규 졸업자로부터 채용하는 기초가 있기 때문입니다.

한편으로 일본 기업이 되어 있지 않은 것은, 그러한 인재에게 권한을 주는 것입니다. 조직으로서 걱정된다는 점이 있어, 그 인재가 무엇인가를 하려고 했을 때에, 그것을 승인하는 사람들이나, 사전 협의을 거쳐 미리 알려주지 않았다고 방해를 하는 사람들이 전통적인 일본 기업에는 산더미처럼 존재하는 것입니다.

이같은 상황은 AI 탑재 그룹웨어를 이용하면 쉽게 소수 인원의 조직으로 이관할 수 있습니다. 그다음에 그거 할지 여부입니다.

그래서 '일본은 망하는가'라는 서두의 논의를 생각해 봅시다.
전 세계의 기업이 같은 도전에 직면하고, 해외에서는 아마 상당수의 기업이 그 도전을 극복해 나갈 것입니다.

그 때 일본 기업에는 IT나 AI를 잘 모르고, 만지지도 않는 사람들이 조직 위쪽에 많이 있습니다. 그런 사람들은 모두 참여형 경영이 아니면 기쁘지 않다. 그래서 저항세력이 됩니다.

그렇게 되면 많은 JTC(Japanese Traditional Company)라고 조롱받는 전통적 일본 기업은 야나이씨의 염려처럼 망해 버리는 것이 아닐까요. 이 논의, 미래 예측의 주제로는 유난히 등골이 차가워지는 예측이라고 저는 생각합니다.

◆ 일이 없어져 버리는 것인가...?
여기는 솔직히 예측이 어렵기는 하지만, 만약 세상에 유니클로처럼 점점 권한 이양을 해서 소수로 돌아가는 회사가 늘어나면 그렇지 않은 회사도 똑같이 해 나가지 않으면 살아남을 수 없게 됩니다.

그러면 살아남는 회사 안에서는 필연적으로 사람이 남게 됩니다. 게다가 일본에서는 그런 사람들을 해고하는 것이 쉽게 할 수 없습니다. 언뜻 보기에 이것은 큰 문제입니다.

그런데 AI를 사용할 수 있는 세상이 되면 알 수 있습니다만, 그런 허탕친 사람들은 경영자가 마음만 먹으면 적은 인원의 팀을 만드는 것으로, 회사 안에서 새로운 사업을 창업할 수 있는 것입니다.

◆ 초소수 정예팀 무수히 생겨 성장하는 미래
이것이 슘페터가 주장한 혁신의 본모습입니다.

AI라는 혁신이 일어나 지금까지보다 적은 노동자 수로 같은 일이 처리된다. 그러면 조직 안에서 실직한 사람들의 자원을 새로운 사업에 투입할 수 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회사는 더 성장하고 사회 전체적으로는 GDP가 증가하는 셈입니다.

전환점이 되는 것은 생성형 AI가 실용화되는 2026년경일 것입니다. 여기서 논의해 온 것과 같은 미래가 반드시 올 것으로 예측됩니다.

*재미있거나 도움이 되셨다면 '구독' 꾹 눌러 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늘 행복하세요.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