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사람은 아무도 없는데 '누군가 나를 보고 있다'고 느끼게 되는가?
본문 바로가기
시사, 경영

왜 사람은 아무도 없는데 '누군가 나를 보고 있다'고 느끼게 되는가?

by 소식쟁이2 2024. 5. 12.

왜 사람은 아무도 없는데 '누군가 나를 보고 있다'고 느끼게 되는가?

아무도 없는 거리나 길, 공간에서나 문득 시선을 느끼거나 자신밖에 없을 자기 방이나 목욕탕에서 누군가 나를 보고 있다고 느낀 경험이 없습니까? 왜 사람은 아무도 없는데 '누군가 보고 있다'고 느끼는지에 대해서 과학 뉴스 미디어 Live Science가 설명하는 내용입니다.

임상심리학자이자 법의학자인 레슬리 돕슨에 따르면 사람들이 누군가 보고 있다고 느끼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다고 합니다. 그 원인은 공포영화나 소설, 무서운 뉴스, 스트레스가 많은 트라우마적 사건, 심각한 정신상태 등 다양합니다. 돕슨은 「더 극단적인 경우에는 파라노이아(paranoia. 망상증. 편집증(偏執病). 과대망상증) 또는 과민증을 겪을 수도 있습니다. 이것은 대부분의 경우 근본적인 정신질환이나 뇌의 물리적인 질병과 관련이 있습니다.」라고 말합니다.

물론 개중에는 기분 탓이 아니라 '정말 누군가 보고 있다'는 경우도 있을 수 있습니다. 2016년 논문은 인간이 타인의 시선에 민감하도록 진화했을 가능성이 높고, 뇌에는 시선처리 전용 신경망이 있음을 시사했습니다.

타인의 시선을 감지하는 것 자체는 그렇게 어려운 것이 아니라, 인간은 타인의 동공을 보고 어디로 시선을 향하고 있는지 알 수 있는 것 외에도 주변 시야에서 본 바디 랭귀지(body language)라는 단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런 누군가의 시선을 감지하는 능력은 사회활동을 하는 인간이 협력적인 상호작용을 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또, 사람은 시선을 「물리적 특성을 가진 빔」과 같은 것이라고 암묵적으로 생각하고 있는 것도, 최근의 연구로 밝혀졌습니다.

하지만 개중에는 밤중에 자기 방에 혼자 있을 때 등 아무도 보고 있을 리 없는 상황에서 시선을 느끼기도 합니다.이는 공포영화를 보고 난 후 등의 일시적인 공포심으로 일어나기도 하지만, 과거에 트라우마가 될 만한 사건을 경험한 사람에게서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2023년 연구에서는 이러한 과도한 경계심이 위험을 회피하고 미래의 스트레스를 막는 방어기제가 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돕슨은 '편도체는 스트레스와 불안 등의 감정을 처리합니다. 신체적인 손상이나 지속적인 트라우마 같은 스트레스 요인으로 인해 편도체가 과도하게 활동하거나 상처를 입으면 위협을 지각하는 등의 감정적인 반응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라고 말했습니다.

캘리포니아주를 거점으로 하는 임상 정신과 의사의 앨리스 펠러 박사는, 누군가에게 보여지고 있다고 느끼는 것 자체는 드문 것은 아니라고 주장합니다. 하지만 '시간이나 장소를 불문하고 항상 누군가에게 감시당하고 있다' '계속 감시당하고 있는 상태가 몇 주째 계속되고 있다' 등 느낌이 망상적인 영역에 들어가 버리면 일상생활에도 지장이 생기게 됩니다.

페러는 「정신질환이 생기면 '이것은 단지 그렇게 느끼고 있을 뿐이다'라고 생각하는 능력을 잃고, 자신의 신체적·정신적인 과정에 대한 통찰력이 상실하게 됩니다. 현실의 상태를 확인할 수는 있지만, 그것이 정착한다고는 할 수 없습니다.」라고 말했습니다.

실제로 조현병 증상에는 과도한 경각심이나 피해망상 등이 있으며, 그 중에는 '누군가에게 보이고 있다고 느끼는' 것도 포함됩니다. 과거 연구에서는 조현병이 있는 사람은 편도체를 포함한 대뇌변연계에 비정상적인 활동이 보인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조현병 환자의 파라노이아(paranoia)는 편도체의 혈류 증가와 관련되어 있다는 연구 결과도 보고되었습니다. 이 밖에도 편도체와 시각야나 해마 등의 영역과의 비정상적인 연결성이 파라노이아와 관련돼 있다는 점도 시사되고 있다고 합니다.

돕슨과 페러는 원인이 무엇이든 피해망상이 계속되고 있으며, 특히 그 밖에 아무도 없을 상황에서 지켜보고 있다고 느끼는 경우에는 정신건강의 도움을 받을 필요가 있다고 조언하고 있습니다. 돕슨는 "자신이 고통받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면 정신적, 의학적 개입을 요구하도록 사람들에게 권하고 있습니다. 조기개입이 관건입니다.일주일에 며칠씩 힘들어하는 사람이나 일이나 공부, 인간관계가 나빠지고 있다면 전문가를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라고 말했습니다.

*재미있거나 도움이 되셨다면 '구독' 꾹 눌러 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늘 행복하세요.

 


Why do people feel like they're being watched, even when no one is there? | Live Science
https://www.livescience.com/human-behavior/why-do-people-feel-like-theyre-being-watched-even-when-no-one-is-there

 

Why do people feel like they're being watched, even when no one is there?

The causes range from innocuous media exposure to severe mental illness.

www.livescience.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