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러스는 '동물에서 사람'보다 '인간에서 동물'로 전염되는 경우가 훨씬 많다는 연구 결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박쥐나 쥐, 새 등 동물에 의해 매개되는 사람동물공통감염병(人獣共通感染症)에 불안감을 갖게 된 사람이 많습니다. 그런데 여러 바이러스의 게놈을 분석한 새로운 연구에서는 '바이러스가 새롭게 '동물에게서 사람으로 감염되는 패턴'보다 '사람에게서 동물로 감염되는 패턴'이 더 많다'는 결과가 밝혀졌습니다.
현대 사회를 위협하는 새로운 감염증의 대부분은 동물의 체내를 순환하는 바이러스가 사람에게 감염됨으로써 발생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사람동물공통감염증(人獣共通感染症)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이 확대되어 전달되는 반면, '사람에게서 동물로 바이러스가 감염될 수도 있다'는 점에 대해서는 그다지 주목받지 못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의 연구팀은, 공적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1200만개의 바이러스 게놈을 분석하는 툴을 개발하였습니다. 이 툴로 데이터베이스를 분석해 32개 바이러스 패밀리에서 바이러스의 진화와 숙주의 이동에 대한 역사를 재구성하고 바이러스 게놈의 어느 부분이 숙주 간 이동 중 돌연변이를 일으켰는지를 조사했습니다.
분석 결과 바이러스의 새로운 숙주동물 적응(숙주 점프)이 발생할 가능성은 '사람에게서 그 밖의 다른 동물로의 감염'이 '동물에게서 사람으로의 감염'보다 2배 가까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패턴은 분석한 대부분의 바이러스 패밀리에서 해당이 되었다고 합니다.
또한 인간은 어디까지나 바이러스가 감염되는 동물의 일종이며, 바이러스의 대규모 숙주 네트워크의 일부에 지나지 않습니다. 이번 연구에서 특정된 추정 숙주 점프의 81%는 사람이 관여하지 않는 것이었다고 보고되었습니다.
논문의 공저자인 프랑수아 배로 교수는, 「우리는, 인간을 인수공통감염병의 수용으로서가 아니라, 병원체를 끝없이 교환하는 광대한 숙주 네트워크의 분기점(node)의 하나로서 생각해야 합니다. 동물과 사람 사이의 바이러스 확산을 조사·감시함으로써 바이러스의 진화를 보다 잘 이해하고, 장래의 신규 감염병의 발생이나 유행에 대비할 수 있습니다」라고 말했습니다.
논문의 최대 저자이자 박사과정에 재학 중인 세드릭 탄은 「사람이 동물에게 바이러스를 감염시키면 그 동물에게 해를 끼쳐 종(種)의 보전을 위협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최근 H5N1형 조류 인플루엔자에서 일어나고 있는 것처럼 유행을 막기 위해 대량의 가축을 처분할 필요성이 생길 경우 식량안보에 영향을 미쳐 새로운 문제를 일으킬 수도 있습니다」라고 말했습니다.
*재미있거나 도움이 되셨다면 '구독' 꾹 눌러 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늘 행복하세요.
The evolutionary drivers and correlates of viral host jumps | Nature Ecology & Evolution
https://www.nature.com/articles/s41559-024-02353-4
Humans pass more viruses to other animals than we catch from them | UCL News - UCL – University College London
https://www.ucl.ac.uk/news/2024/mar/humans-pass-more-viruses-other-animals-we-catch-them
One Animal Spreads More Viruses Than Any Other And It's Not What You'd Think : ScienceAlert
https://www.sciencealert.com/one-animal-spreads-more-viruses-than-any-other-and-its-not-what-youd-think
'시사, 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중 무역 전쟁, 승자는 멕시코 ... 멕시코 제조업 활황 (90) | 2024.05.12 |
---|---|
왜 사람은 아무도 없는데 '누군가 나를 보고 있다'고 느끼게 되는가? (89) | 2024.05.12 |
'주(週) 4일 근무'가 앞으로 확산될 5가지 납득할 만한 이유 (101) | 2024.05.11 |
같은 음악을 반복해서 듣고 싶어지는 메커니즘은? (68) | 2024.05.11 |
파트너와 의견 대립, 관계를 극복하는데 도움되는 '6가지 질문' (88) | 2024.05.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