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침에 일어나서 처음 3시간을 보내는 방식이 당신의 인생을 결정한다.
아침에 눈을 뜨면, 우선 스마트폰으로 SNS나 신착 메세지를 체크…하는 사람이 많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아침에 전자기기를 만지면 안 된다」라며, 다양한 분야의 프로페셔널이나 리더에 대해서 600편 이상의 인터뷰를 해, 자기계발 책자의 베스트셀러 「Unmistakable: Why Only Is Better Than Best」를 기록한 Srinivas Rao이, 아침에 일어난 후 3시간을 보내는 방법이 어떻게 인생을 좌우하는지에 대해 쓰고 있는 내용이다.
하루의 처음 세 시간이 그 사람의 하루나 인생 전체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는 다음과 같다.
◆1: 가장 결단에 적합한 시간대가 '아침'
의지의 힘은 결정을 내릴 때마다 줄어들기 때문에 하루의 끝을 향해가면 줄어든다. 반대로, 하루 중 가장 높은 의지의 힘을 가진 때는, 일어난 지 얼마 안 된 아직 아무것도 결단을 내리지 않은 「아침」이다.
그렇기 때문에, 집중력이나 결단력을 필요로 하는 중요한 일은 아침에 하는 것이 최적이라고 한다. 무의미한 작업을 아침에 하면, 무한한 의지의 힘을 낭비하게 된다.
◆2: 아침에는 차분한 생각을 할 수 있다
하루 중, 메일을 읽고 인터넷상에 넘치는 링크를 관심 있는 대로 클릭하고, 수십 통의 메일을 송수신하고 있으면 사고가 산만해진다. 이러한 일상행위는 창의성을 제한하고 사람이 집중하는 것을 어렵게 한다.
한편, 아침에 일어나자마자 생각은 매우 평온하다. 일상에 넘치는 홍수와 같은 정보를 아직 접하지 못했기 때문에
플로우(flow. 인간이 그때 하고 있는 것에 완전히 몰입하고, 정열적으로 집중하고 있는 느낌으로 특징되며, 완전히 빠져들어 있고, 그 과정이 활달함에 따라 성공하는 활동의 정신적인 상태) 상태에도 들어가기 쉽고 창의력을 발휘하기 쉬운 상태에 있다.
◆3: 물리적인 의미에서 누구에게도 방해받지 않는 시간을 가질 수 있다
또 물리적으로 방해받을 가능성이 적은 것도 아침에 중요한 작업을 해야 한다는 주장의 핵심이다. 아침 이른 시간이면 전화가 올 일도, 미팅이 진행될 일도, 아이가 소리치며 뛰어들 가능성도 적기 때문에 물리적으로 방해받지 않고 작업을 할 수 있다.
◆4: 1시간 일찍 일어나면 자유로운 시간 1시간 늘어난다
우리는 하루 24시간이라는 시간표에 1시간을 추가할 수 없다. 한편, 평소보다 아침 1시간 일찍 일어나는 것만으로도 1시간을 더 많이 자신이 하고 싶은 일에 시간을 할애할 수 있다. 하루만 일찍 일어난다면 1시간이지만, 1주일 계속하면 7시간, 1년 계속하면 365시간을 얻을 수 있다.
◆5: 하루가 끝날 때 성취감을 얻을 수 있다
인터넷을 하거나 페이스북을 계속 보거나 문자만 주고받았던 하루의 끝에는 '나는 오늘 내 인생을 좋게 하기 위한 일을 아무것도 하지 않았다'며 안타까운 마음이 들 수도 있다. 하지만 하루 시작과 함께 중요한 일을 하면, 하루가 끝날때 쯤이면 성취감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이다.
「그렇게 말해도 자신은 아침형 인간이 아니니까…」라고 생각하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이런 사람들을 위해서 Rao가 아침형 인간이 되기 위한 것을 정리하고 있다.
◆ 자신이 일찍 일어나는 데 성공하기 쉬운 상태를 만들어 내다
사람들이 자신의 행동을 바꾸려 할 때 실패하는 것은 '지속할 수 없는 일'을 하려고 하기 때문이라고 Rao는 말한다. 어떻게 하면 자신이 「일찍 일어나기」를 실현할 수 있는지를 생각해, 자신이 일찍 일어나는 것을 실현하기 쉬워지는 「목표」를 설정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콘텐츠 전략가 킹슈크 무케라지는 '매주 일어나는 시간을 15분씩 앞당겨 나간다'는 것을 목표로 잡고,
이를 위해 '(1) 침대에서 빠져 나온다' '(2) 졸음을 쫓는다'는 두 가지 단순한 루틴을 진행했다.
단, 얼핏 보면 간단한 위의 행동이 얼마나 어려운가 하는 것은 일찍 일어나는 것을 습관화하려다 실패한 적이 있는 사람이라면 알 수 있다. 그래서 Mukherji는 Alarmy라는 앱을 사용하여 어떤 바코드를 스캔할 때까지 알람소리가 멈추지 않도록 했다.
이 때, 알람을 끄기 위해서 스마트폰의 전원을 끄거나 침묵 모드로 할 수 없다. 즉 바코드가 프로틴 파우더 캔 뚜껑에 있는 경우, 무커지 이 취할 수 있는 행동은 스마트폰을 두 동강 내거나 침대에서 빠져나와 프로틴 파우더 바코드를 스캔하느냐의 2택. 부득이 알람을 멈추기 위해 Mukherji는 침대를 빠져나오게 되는 것이다.
그 결과 아침 8시 30분에 일어나던 Mukherji는 지금은 6시 35분에 일어난다는 것이다. 그 덕분에 그때까지 저녁 6시까지 하던 업무를 오전에 끝낼 수 있게 되었다고 한다. 업무량은 변화하지 않았지만 아침에 작업을 함으로써 집중의 질이 향상되고 생활의 모든 것이 변화했다고 한다. 일찍 일어나는 것을 습관화하기 위한 메소드로 '홍차를 마셔라' '커피를 마셔라' '차가운 샤워를 해라'산책을 하라 등 많은 말이 있지만 중요한 것은 어쨌든 침대를 빠져나가는 것, 그리고 졸음을 쫓는 것 두 가지다. 그것을 실천하기 위해 효과가 있다면 무엇을 해도 좋은 것이다.
그렇다고 해서 일찍 일어나는 그 자체에 슈퍼 파워인 것은 아니다. 일찍 일어나서 아침에 질좋은 시간을 보내는 것이 힘을 갖는 것이다. 여가를 어떻게 보낼지 생각하는 것처럼 '하루 중 스스로 가장 맑은 상태에서 누구에게도 방해받지 않는 환경'에서 내가 무엇을 해야 하는지 생각해 볼 필요가 있는 것이다.
자세한 것은
The First 3 Hours of Your Day Can Dictate How Your Life Turns Out
https://themission.co/the-first-3-hours-of-your-day-can-dictate-how-your-life-turns-out-8373540330e7
'시사, 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남자들이 포르노 영상을 보는 것은 불행한 인간관계와 관련이 있다 (0) | 2023.07.02 |
---|---|
성공하기 위해 중요한 '아침 8시까지 끝내야 할 8가지' (0) | 2023.07.01 |
해서는 안 된다는 것을 알면서도 해버리는 자제심 없는 '아크라시아(방탕, Akrasia)'를 극복하기 위한 3가지 방법 (0) | 2023.07.01 |
일찍 일어나서 꿈을 실현하기 위한 '50/30/10/10' 룰은? (0) | 2023.07.01 |
링컨에서 트럼프까지 미국 공화당은 160년에 걸쳐 어떻게 변화해 왔는가? (0) | 2023.07.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