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들을 자*살로 몰아넣는 수수께끼의 저주파음 'Hum'의 원인이 밝혀져
수십 년에 걸쳐 전세계에서 관측되고 있는 것이 수수께끼의 저주파음 「Hum」이다. 그 메커니즘은 규명되지 않았고, 같은 장소에서도 들리는 사람과 들리지 않는 사람이 있다는 불가해한 현상으로 알려졌으나 마침내 소음이 발생하는 원인을 프랑스 국립과학연구센터가 밝혀냈다.
전 세계에서 발생해 많은 사람을 괴롭히고 있는 수수께끼의 저주파음 「Hum」의 상세한 것에 대해서는, 자세하게 다른 글에서 정리해 본다.
1970년 말 영국 언론에서 'Bristol Hum'으로 거론된 불가해한 소음현상은 40년 이상 지속 발생하고 있으며, Hum으로 인한 스트레스로 자살자가 발생한 사례도 보고되고 있다. 1970년대 BBC 취재에 따르면 800만명이 이 소음으로 인한 두통과 불면증 등을 호소했지만 Hum 소음이 발생하는 지역에서도 모두 들리는 것은 아니었다. 1990년대 Addenbrookes Hospital이 소음은 외부 요인이라고 발표하기 전까지는 소음을 호소하는 환자의 듣기 능력에 관한 문제로 진단받기도 했다고 한다.
저주파음이 발생하는 원인에 대해서는 해저에 부설된 파이프라인이나 휴대전화의 전파탑·풍력발전소·잠수함의 저주파통신·해양생물 등을 들 수 있었지만, 모두 Hum이 발생하는 현상을 설명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자세한 원인에 대해서는 밝혀지지 않았었다.
이런 Hum이 발생하는 원인을 밝혀낸 사람은 프랑스 국립과학연구센터 연구원 Fabrice Ardhuin다. Ardhuin가 발표한 논문에 따르면 해양 파도의 압력이 해저에 작용하면서 지구 전체에 작은 지진 활동이 발생했으며, 그 결과 Hum과 같은 저주파음이 발생한다고 한다. 저주파음을 발생시키고 있는 미소지진 활동은 13초~300초 주기로 일어나는데, 이때 발생하는 저주파음은 대부분의 사람에게 들리지 않는다. 그러다 보니 '일부 사람들만 소음에 시달린다'는 Hum 현상이 빚어진다는 것이다.
Ardhuin는 "우리는 오랜 세월 지속되고 있는 불가해한 소음의 메커니즘을 규명하는 큰 발걸음을 내디딜 수 있었다"라고 말한다. 그리고 이 연구는 지구구조의 이해를 높이는데 도움이 된다고도 연구자들은 설명하고 있다.
How ocean waves rock the Earth : Two mechanisms explain microseisms with periods 3 to 300 s-Ardhuin - 2015-Geophysical Research Letters - Wiley Online Library
http://onlinelibrary.wiley.com/doi/10.1002/2014GL062782/abstract?campaign=wlytk-41855.6211458333
Have you heard 'the hum'? Mystery of Earth's low droning noise could now be solved - Nature - Environment - The Independent
http://www.independent.co.uk/environment/nature/have-you-heard-the-hum-mystery-of-earths-low-droning-noise-could-now-be-solved-10182111.html
Scientists think they've found the cause of the Earth's maddening humming noise
It was often blamed on phone masts, submarine communications and pipes
www.independent.co.uk
'시사, 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진·번개·화재 중 가장 사망 확률이 높은 것은 어느 것인가. (2) | 2022.09.21 |
---|---|
수십 년 이상 전 세계에서 발생하고 있는데 해결되지 않은 저주파음 'Hum'이란 무엇? (0) | 2022.09.21 |
소리가 없는 '정적(静寂)'은 우리 몸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2) | 2022.09.21 |
왜 '녹음한 목소리'는 평소 목소리와 전혀 다르게 들리는가? (2) | 2022.09.21 |
타이핑 소리, 호흡소리 등 소리에 반응해 고통받는 미소포니아의 원인 (2) | 2022.09.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