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는 자녀 앞에서 부정적인 감정을 억압하지 말고 갈등하는 모습을 드러내는 것이 더 좋아
본문 바로가기
시사, 경영

부모는 자녀 앞에서 부정적인 감정을 억압하지 말고 갈등하는 모습을 드러내는 것이 더 좋아

by 소식쟁이2 2024. 1. 17.

부모는 자녀 앞에서 부정적인 감정을 억압하지 말고 갈등하는 모습을 드러내는 것이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에 따르면 부모는 자녀 앞에서 부정적인 감정을 억압하는 것보다 건전한 방법으로 표현하는 것이 좋은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Parents often try to hide their negative emotions from their kids, hoping to protect them from experiencing adverse responses. However, suppression has been linked with poor social interactions. Suppression may be particularly damaging in the context of parent–child relationships because it may hinder parents’ ability to support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만약 부모가 부정적인 감정을 억압하면 아이들은 그것을 민감하게 감지하여 반응성이 떨어지는데, 이는 특히 어머니의 경우 현격하다는 것입니다. 부모가 마음의 갈등과 그것을 해결하는 과정을 자녀에게 보요줌으로써 자녀는 자신의 감정을 통제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법을 배우게 된다는 것입니다.

"아이들 앞에서 부부싸움을 하지마라."
이 오래된 격언이 사실 의심스럽다는 것이 밝혀졌습니다. 부모는 자녀 앞에서 부정적인 감정을 억누르는 것보다 '건전한 방법'으로 나타내는 것이 훨씬 좋다고 합니다.

이 설을 주장한 것은 워싱턴 스테이트 유니버시티 밴쿠버에서 인간의 발달을 연구하는 사라 워터스 등으로, 사람들이 자신의 감정을 어떻게 억압하고 그것이 부모와 자녀의 상호작용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내려고 했습니다. 논문은 잡지 "Emotion"에 게재되어 있습니다.

연구팀은 샌프란시스코에 사는 7~10세 아이를 둔 아버지와 어머니, 총 109명을 대상으로 한 실험을 진행했습니다. 성별에 따른 차이를 보기 위해 피실험자들은 아버지와 어머니의 수가 거의 동수가 되도록 두 그룹으로 나뉘었습니다.

먼저 부모들에게는 청중 앞에서 연설을 하고 청중으로부터 부정적인 피드백을 받을 수 있는 스트레스가 큰 과제가 주어졌습니다. 그 후 부모들은 자신의 자녀와 함께 블록을 조립하는 활동을 했습니다.

아이들에게는 지시내용이 배포되지만, 그들은 블록을 만질 수 없습니다. 대신 부모가 자녀의 지시로 블록을 조립하는 것입니다. 부모들에게는 지시서를 보는 것이 허용되지 않았습니다. 블록을 완성하기 위해서는 부모와 자식은 서로의 파트너로서 잘 협력해야 합니다. 활동하는 동안 한 그룹의 부모는 감정을 억제하도록, 다른 그룹의 부모는 자연스럽게 행동하도록 지시받았습니다.

연구팀은 이 모습을 촬영한 비디오에서 부모와 자녀 간 교류의 반응성·따뜻함·내용을 관찰해 부모가 자녀를 어떻게 유도하는지 알아보고자 했습니다. 동시에 부모와 자녀의 신체에 센서를 장착하여 심박수와 스트레스 수치 등을 측정했습니다. 

이렇게 모은 데이터를 통해 감정을 억압하려는 부모의 행동이 공동 활동에서 그들을 더 열등한 파트너로 만드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감정을 솔직하게 나타낸 그룹에 비해 부모가 자녀에게 준 유도가 적었던 것과 동시에 자녀의 부모에게 나타내는 반응도 적었습니다. 마치 부모의 감정이 아이들에게 전염되는 것 같았다고 워터스 등은 표현하고 있습니다.

또 어머니가 감정을 억압하고 있는 경우가 아버지가 그럴 때보다 아이들이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참여한 아버지의 수가 적었기 때문에 깊은 고찰을 자제하면서도 일반적으로 남성은 여성에 비해 감정을 억압하는 경향이 강하기 때문에 아버지가 감정을 억누르는 모습은 아이들 눈에 특이한 것으로 비치지 않기 때문일 수 있을 것이라고 워터스 등은 추측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아이들은 부모가 생각하는 것 이상으로 부모에게서 나오는 '감정적 잔존물'을 줍는 데 민감합니다. 그리고 뭔가 부정적인 일이 일어났다고 짐작하고 있는데, 부모가 그것을 말없이 아무것도 아닌 척하고 있으면 아이들은 혼란스러워합니다. 아이들에게 감정의 변천을 다 보여주면 됩니다. 

그러면 거기서 아이들은 자기 자신의 감정을 통제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배울 수 있습니다. "당신의 분노를 아이들에게 보여주고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 그 문제에 당신이 어떻게 대처할 것인지를 알려주는 것이 최선의 방법입니다,"라고 워터스는 말했습니다.

아이 앞에서는 무심코 건강하고 해피한 자신의 모습으로 있고 싶다고 노력하기 쉽지만, 그들도 언젠가는 어른이 되어 사람이 긍정적인 감정만으로 살고 있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배우게 됩니다. 어려움과 갈등을 마주하고 대처하고 해결하고 때로는 타협하고 절충하면서도 인생의 방향을 잡아갑니다. 그렇게 나쁜것도 멋있는 것도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드러내야 부모는 자녀에게 진정한 본보기가 될 수 있을 것입니다.

*재미있거나 도움이 되셨다면 '구독' 꾹 눌러 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늘 행복하세요.

 


Not in front of the kids: Effects of parental suppression on socialization behaviors during cooperative parent–child interactions.
http://psycnet.apa.org/doiLanding?doi=10.1037%2Femo0000527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