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피겨 스케이팅 선수, 카밀라 발리예바 도핑 문제 향후 전망 종결까지 수년간 걸려
· 카밀라 발리예바
· Kamila Valieva(피겨 스케이팅 선수)
· 출생 : 2006. 4. 26. 러시아
· 신체 : 160cm
· 수상 : 2022년 제24회 베이징 동계올림픽 피겨스케이팅 팀이벤트 금메달
· 경력 : 2022 제24회 베이징 동계올림픽 러시아올림픽위원회 피겨스케이팅 선수(ROC)
베이징 동계 올림픽에서 러시아의 발리예바 선수에 대한 소동이 계속되고 있다
도핑 파문으로 곤욕을 치르고 있는 러시아올림픽위원회(ROC)의 카밀라 발리예바(Kamila Valieva)는 2월 17일 열린 베이징 동계 올림픽 피겨스케이팅 여자 싱글 프리스케이팅에서 4위에 그쳤다. .
올림픽 개막 1주일 뒤 15세의 발리예바는 지난해 12월 검사에서 트리메타디딘(Trimetazidine)에 양성반응을 보인 것으로 밝혀졌다. 트리메타디딘은 협심증 치료제로 혈류를 촉진하고 지구력을 높이는 효과가 있어 금지약물로 지정되어 있다.
스포츠중재재판소(CAS)는 14일 발리예바의 올림픽 출전을 인정하는 결정을 내렸다. 하지만 이로써 도핑의혹이 가시지 않아 추후 징계를 받을 가능성도 있다.
AFP가 예측한 향후의 진행 시나리오를 유추해 보면
■ 메달 없어지나?
국제올림픽위원회(IOC)는 여자 싱글에서 발리예바가 상위 3명에 들 경우 메달 수여식을 하지 않겠다고 밝힌 바 있다.
결국 발리예바가 시상대에 오를 가능성은 없어졌지만 발리예바가 ROC 금메달을 따는 데 기여한 단체전 순위에 관해서는 아직 문제가 남아 있다.
단체전 메달 수여식은 아직 열리지 않았으며, IOC는 발리예바의 세계반도핑기구(WADA) 도핑방지규정(WADA Code) 위반 여부를 가리는 적정한 절차가 이뤄질 때까지 순위를 확정하지 않기로 했다.
발리예바의 위반이 확정됐다고 해서 ROC가 단체전에서 실격될지는 미지수다.
ISU(국제빙상연맹) 규정에 따르면 대회 기간 중 약물검사에서 위반사실이 확인되면 팀 전체가 실격된다고 돼 있다. 하지만 이번 케이스는 이에 해당되지 않는다고 한다.
■ 모든 과정엔 '몇 년'이 걸릴 가능성도
러시아반도핑기구(RUSADA)는 당초 검사에서 실격된 발리예바의 자격을 정지했다가 하루 만에 징계를 해제했다. 그 근거에 대해서는 밝혀지지 않고 있다.
발리예바의 반도핑 규칙 위반 여부에 대해 RUSADA 조사는 계속되고 있다.
CAS 청문회에서 발리예바는 체내에 트리메타디딘이 들어 있었던 이유에 대해 할아버지가 복용하는 치료제가 혼입됐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조부와 같은 접시나 잔을 사용했던 것이 원인일지도 모른다고 주장했다.
RUSADA가 최종적으로 내리는 결정에는 WADA와 ISU가 CAS에 불복할 수 있다.
미국반도핑기구(USADA)의 전직 상담역인 빌 복(Bill Bock)씨는 AFP와의 인터뷰에서 이 문제가 종결되는 데 최소 반년에서 1년은 걸릴 것이라고 말했다.
캐나다 셸브룩대(University of Sherbrooke) 법학교수이자 반도핑 전문가인 데이비드 패벗(David Pavot)은 이번 사안이 CAS 재정에 대한 최종 판단권한이 있는 스위스 연방법원까지 간다면 몇 년이 걸릴 것이라고 말했다.
■ 예상되는 처분결과
발리예바는 현재 16세 미만이기 때문에 WADA 규정상 '요보호자'에 해당한다.
이러한 입장에서는 처분이 경감될 가능성이 있으며, 통상 4년간의 자격정지가 경고 혹은 최장 2년간의 자격정지에 그칠 것으로 생각된다.
■ 러시아에 미치는 영향은?
2014년 소치 겨울올림픽을 정점으로 한 대규모 국가 차원의 도핑으로 러시아는 제재를 받고 있는 중이다.
IOC 간부 데니스 오스왈드(Denis Oswald)는 왈리에바의 사례에 대해 자신이 실사를 감독한 소치 올림픽의 조직적 도핑과는 별개라는 견해를 밝히고 있다.
그러나 발리예바 코치와 상담역 등 주변 인사들에 대해서는 조사가 진행 중이어서 RUSADA는 이미 캠프 조사를 시작했음을 내비쳤다. WADA도 독자적으로 왈리에바 진영을 조사할 뜻을 밝혔다.
■ 로드첸코프 반도핑법 적용 가능성은?
이번 의혹에 연루된 러시아 관계자에 대해 미국이 소추를 단행할 가능성도 점쳐지고 있다.
2020년 제정된 로드첸코프 반도핑법(Rodchenkov Anti-Doping Act) 아래서는 미국의 선수나 방송국, 스폰서가 관련된 국제대회에서 도핑에 관여한 사람에게 형사처벌을 줄 수 있다.
트라비스 타이거트(Travis Tygart) USADA 회장은 지난주 AFP와의 인터뷰에서 소치 올림픽에서 러시아의 조직적 도핑을 고발했던 그리고리 로드첸코프(Grigory Rodchenkov)의 이름을 딴 이 법이 발리예바 문제에도 적용될 수 있다고 했다.
'시사, 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갤럭시 S22 울트라(Galaxy S22 Ultra) 플래그십 재편, 최고 성능의 차이로 힘들어 하는 스마트폰 제조사 (0) | 2022.02.20 |
---|---|
"일본이 100년의 적이라면, 중국은 1000년의 적"이다 (0) | 2022.02.20 |
요식업계의 논쟁. 인터넷 레시피 표절 논란 (0) | 2022.02.20 |
베이징 동계 올림픽에서 한국인 vs 중국인의 장외 경기…! (0) | 2022.02.19 |
그럴리가? 갤럭시S22보다 아이폰13이 더 빠르다고...? (0) | 2022.02.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