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값 폭등의 한 원인이 되고 있는 중국의 국내 사정은?
본문 바로가기
시사, 경영

금값 폭등의 한 원인이 되고 있는 중국의 국내 사정은?

by 소식쟁이2 2025. 1. 29.

금값 폭등의 한 원인이 되고 있는 중국의 국내 사정은?

최근에는 국제사회에서의 정정 불안등을 이유로 안정자산인 금(金)의 가격이 상승 추세에 있어, 현재 금값 1온스당 2,670 달러를 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금값 급등의 한 원인인 중국에서의 경제현황에 대해 해외 언론의 Bloomberg가 설명하는 내용입니다.

최근의 금(金) 가격 급등의 배경에는 중국 국내의 경제상황 악화가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가장 심각한 것은 부동산 시장의 붕괴로 주택이 중요한 자산으로 여겨지는 중국에서는 그동안 많은 사람들이 주택에 자산을 집중시켜 왔습니다. 그러나 최근에는 부동산 버블의 붕괴로 주택가격이 폭락하여 많은 중국 인민의 자산 가치가 대폭 감소했습니다.

이것을 두고, 중국 정부는 차입 비용 삭감을 목적으로 한 대규모 대책을 채택했습니다. 그러나 그 효과는 제한적이어서 부동산 시장의 침체는 현재도 계속되고 있습니다.

또 중국 자국내에서는 실업률 증가와 임금 하락으로 이어지는 고용불안과 물가상승, 생활비 급등에 대해 임금상승이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는 임금 불안, 미래 중국 경제의 성장둔화에 대한 불안 등이 만연하고 있다고 합니다.

이러한 경제적인 불안에 따라, 중국 사람들은 자신의 자산을 지키기 위해, 안정자산으로 여겨지는 금(金)에 눈을 돌리게 되었습니다. 특히 중국 소비자들은 금보식품을 전통적으로 가치의 보존 수단으로 간주하고, '세대를 초월해 물려받는 자산'으로 금을 구입해 왔습니다.

세계 최대의 금(金) 소매 시장인 중국에서는 2023년에 1000톤 이상의 금(金)을 주로 사치품으로 구입하였습니다.

그러나 2024년 10월에는 금값이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면서 중국의 보석 바이어들은 그 가격에서 구매를 자제하게 되었습니다. 한편, 중국의 부유층은 세계 경제에 대한 뿌리 깊은 불안 때문에, 보관비용이나 수수료를 부담해서라도 금괴 등을 구입하게 되어, 금값의 상승을 부추기고 있습니다.

또한 중국을 둘러싼 국제 정세도 금값 급등에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2022년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침공을 시작했을 때는 미국과 EU 등 서방 국가들이 러시아의 금융자산을 동결하는 제재를 내렸습니다. 이 조치로는 러시아 정부와 기업, 그리고 일부 부유층이 해외에 보유한 은행예금과 증권, 부동산 등이 동결돼 자유로운 사용과 매각이 불가능해졌습니다.

이 결과 러시아와의 관계가 깊은 중국을 포함한 많은 신흥국이 자국도 같은 제재를 받을 수 있다는 우려에서 기축통화인 달러에 대한 의존을 줄이는 것을 검토합니다. 중국의 중앙은행인 중국인민은행은 2023년부터 2024년까지 18개월간 금(金) 보유량을 적극적으로 늘려 달러에서 분산을 꾀했습니다.

또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은 중국으로부터의 수입에 대한 추가 관세를 시사하고 있어 미국과 중국 간 무역충돌은 추가적으로 격화될 우려가 있습니다.
이러한 경제적·정치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중국에 있어서의 금(金)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결과적으로 금값 급등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재미있거나 도움이 되셨다면 '구독' 꾹 눌러 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늘 행복하세요.


What Gold’s Crazy Run Says About China - YouTube
https://youtu.be/72jdzIsXJSI?si=CLTvxx0PY6HAcXLw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