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력을 잡은 사람이 '어리석은 결단'을 내리는 이유는 무엇인지를 전문가들이 해설
기업 경영자부터 한 나라의 국가원수까지 사회적 지위가 높은 사람은 많은 결정을 내리지만 때로는 근시안적인 선택을 하기도 한다. 호주 뉴사우스웨일스대학 등에서 리스크 문화를 가르친 경력이 있는 시간강사이자 조직심리학 연구자인 다니엘 데 질바는 권좌에 오른 사람이 판단을 잘못하는 것은 도대체 왜일까를 설명하고 있는 내용이다.
데 질바는 지금까지 진행되어 온 연구 및 실험 결과에서 권력자가 빠지기 쉬운 문제를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분류했다.
◆ 1 : 다른 사람의 관점에 설 수 없게 되다
조직을 이끄는 입장에 있는 사람에게 타인의 관점에 서는 것은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그러나, 「자신은 힘을 가지고 있다」라고 느끼고 있는 사람은, 자신의 견해를 과대평가한 나머지 다른 사람의 관점을 경시해 버리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 2006년의 한 연구에서 알려졌다.
사회심리학자 애덤 갈린스키 등은 이 연구에서 먼저 참가자의 일부에 '자신이 누군가에 관하여 권력을 잡았을 때' 또는 '누군가가 자신에 대한 권력을 가졌을 때'를 연상하도록 지시하여 “자신은 강하다고 생각하는 그룹” “자신이 약하다고 생각하는 그룹” “지시를 받지 않은 대조군”을 만들었다.
다음은 각 그룹 참가자에게 다른 사람의 눈높이에서 생각하는 능력을 측정하는 3가지 테스트를 했는데, '자신은 강하다'고 생각하는 그룹은, 다른 대조군에 비해 다른 사람의 감정을 파악하는 테스트 성적이 6% 떨어졌다는 것이다. 또 '스스로 강하다'고 생각하는 그룹은 '스스로 약하다'고 느끼는 그룹에 비해 메일 문장에서 불쾌감을 간파하는 능력이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2: 전문가의 조언을 부정하다
「자신에게 힘이 있다고 느끼고 있는 사람은 전문가의 충고가 귀에 들어오지 않게 되어 버린다」라고 하는 경향은, 조직 행동학을 연구하고 있는 사회학자 레이 토스트 등이 2012년에 발표한 연구에서 판명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우선, 갈린스키 등이 행한 전술의 실험과 같은 방법으로, 참가자를 「자신은 강하다고 생각하는 그룹」 「자신은 약하다고 생각하는 그룹」으로 나누었다. 그리고, 각 참가자를 몇 개의 그룹으로 나눈 후, 사람의 체중을 알아맞히는 등의 예상 테스트를 실시했다.
첫 번째 그룹 참가자의 예상 테스트가 끝난 후 다음 그룹 참가자는 첫 번째 그룹 참가자들로부터 조언과 의견을 받았다. 그리고 조언자가 좋은 답변을 한 전문가인지 평범한 답을 한 초보인지를 실험담당자가 알려주고 나서 같은 예상 테스트를 했다.
이 실험 결과 자신이 약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전문가의 조언에 귀를 기울이는 경향이 있었던 반면 자신은 강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전문가의 의견에도 초보자의 의견에도 귀를 기울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에 대해 연구팀은 전문가의 조언을 거부하는 것은 자신의 사회적 우위를 유지하고 싶은 욕구 때문이라고 결론내렸다.
◆ 3: 제한을 무시하다
권력을 가진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자유롭게 행동할 수 있기 때문에 목표를 쫓는 나머지 제약을 인식하지 못할 가능성이 높다고 디지르바는 전했다. 이것은, 텍사스대학 오스틴에서 경영·조직학을 연구하고 있는 제니퍼 윗트슨 부교수등의 연구팀이 2013년에 발표한 연구로 증명되었다.
이 연구 가운데 위트슨 부교수 등은 가린스키 등과 같은 수법으로 참가자를 그룹으로 나눈 뒤 참가자들에게 자금이 적다 등 비즈니스에 방해가 되는 제약조건 9개와 수요가 높다 등 비즈니스에 좋은 조건을 9가지 전달했다. 그러자 자신은 강하다고 생각하는 그룹은 약하다고 생각하는 그룹에 비해 나중에 제약조건을 떠올리는 정확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실험 결과에 대해 데질바는 제약을 무시하는 것도 때때로 유효하다. 예를 들면, Apple의 창업자인 스티브 잡스에게는, iPod를 개발할 때에 「그런 것은 도저히 만들 수 없다」라고 하는 엔지니어의 이야기를 무시했다는 일화가 있다. 하지만 잡스를 의식해 항상 검은색 스웨터를 입고 다닌다는 의료벤처 Theranos의 창업자 엘리자베스 홈스가 개발 중인 소형 의료용 장치가 실현 불가능하다는 사실을 무시한 결과 그는 사기죄로 고소당하고 말았다고 말했다.
또 데질바는 권력자가 빠지기 쉬운 세 가지 문제를 종합해 서로 다른 의견을 존중하고 전문가의 조언에 귀를 기울이는 것이 전례 없이 중요해진 현대에는 권력이 가진 이런 문제들을 잊어서는 안 된다. 이번 코로나19 팬데믹 경험을 통해 권력은 분산시키는 것이 좋다는 것을 알게 됐다. 즉, 우리가 필요로 하는 리더상이란 권력은 부패하는 것이라는 것을 이해하고 겸손하게 귀를 기울이는 사람이다"라고 결론내렸다.
3 reasons people with power are more likely to make bad decisions
https://theconversation.com/3-reasons-people-with-power-are-more-likely-to-make-bad-decisions-169017
3 reasons people with power are more likely to make bad decisions
Feeling powerful makes us more prone to overvaluing our own perspective, dismissing the expertise of others, and failing to recognise limitations.
theconversation.com
'시사, 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남성용인지 여성용인지 어딘지 모르게 이해할 수 있는 세계의 화장실 표지판 여러가지 (0) | 2022.09.20 |
---|---|
'함께 있는 것만으로도 주위에 긍정적 영향을 끼치는 사람'은 무엇이 다를까? (2) | 2022.09.20 |
의사결정시 강하게 믿을수록 정반대의 결과를 초래하는 편견 (0) | 2022.09.20 |
구부정한 자세는 신체적뿐만 아니라 정신적·사회적으로도 악영향이 있다 (0) | 2022.09.20 |
자신의 성공을 긍정하지 못하고 남을 속이는 것처럼 느끼는 '인포스터 신드롬(Impostor syndrome 가면 증후군)'이 가진 숨은 장점 (0) | 2022.09.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