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기를 먹는 사람은 채식주의자보다 더 정신적으로 건강하다는 연구 결과
최근에는 「동물의 생명을 인간을 위해 빼앗지 말아야 한다」라고 하는 흐름이나, 「고기를 먹는 것은 건강에 나쁘다」라고 하는 생각에 따라, 종교 이외의 이유로도 채식주의를 선택하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미국 연구팀이 수행한 연구에서는 "채식주의자들은 고기를 먹는 사람과 비교해 정신적인 문제를 겪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는 결과가 밝혀졌다.
논문의 저자인 남인디아나대학의 Urska Dobersek 교수는 고대부터 식사 선택은 사회적 계층이나 배우자의 선택에 있어 강한 지표가 되어 왔다.
결과적으로 『우리가 먹는 것』과 『어떻게 먹는가』는 우리의 정체성에 필수적인 요소가 되며, 생리학적·사회적·심리학적 경로를 통해 우리 건강에 직접 영향을 준다」라고 말한다. 그래서 고기 먹는 것과 정신건강에 관한 체계적인 리뷰가 필요하다고 생각했다고 한다.
연구팀은 이전에 실시된 18건의 고기소비와 심리적 건강에 관한 연구에 대해 조사를 실시했다. Dobersek 등은 심리적 건강에 주목하기 위해 우울증·불안·자해행위·자각하고 있는 스트레스·삶의 질과 같은 요소로 좁혀 1997~2019년에 발표된 과거 연구를 조사했다는 것이다.
18건의 연구는 각각 조사의 엄밀함이나 편견에 차이가 있었다고 하는데, 총 14만 9559명의 '고기 먹는 사람' 및 8584명의 '채식주의자'라는 방대한 피실험자를 포함하고 있으며, 연구가 이루어진 지역은 유럽, 북아메리카, 아시아, 오세아니아 등 광범위한 지역에 걸쳐 있다.
'채식주의자'라는 말은 사람마다 사용법이 제각각인데 연구팀은 명확하게 '전혀 고기를 먹지 않는 사람'을 채식주의자로 정의한 과거 연구를 추출해 분석을 했다.
18건의 연구 중 우울증이나 불안과 관련된 증상에 대해 조사된 것은 14건이었다. 14건 중 7건의 연구에서는 고기 소비를 피하는 사람이 우울증이나 불안 등의 위험이 높다고 나타났고, 2건은 반대로 고기를 먹는 사람이 우울증이나 불안 위험이 높게 나타났다는 것이다. 나머지 연구에서는 각각 유의한 차이가 없거나 혼합한 결과가 나타나 있었다.
또 자해행위에 대해 조사한 3건의 연구에서는 모두 '고기를 먹는 사람보다 채식주의자가 자해행위를 하는 비율이 높다'는 것이 결과였다. 이 중 호주에 사는 9113명의 여성을 대상으로 실시한 연구에서는 '자해하는 사람의 비율이 채식주의자가 3배나 높다'는 결과가 나왔고, 미국의 4746명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도 '자*살미수를 한 비율은 채식주의자가 2배 이상 높다'는 결과가 나왔다.
반면 스트레스에 주목한 4건의 연구나 삶의 질에 주목한 2건의 연구에서는 고기를 먹는 사람과 채식주의자 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는 것이다. 육식을 회피하는 것과 정신적인 문제의 증가가 집단 내에서 일관되게 관련되어 있다는 점에 연구자들은 정말 놀랐다고 Dobersek 교수는 말한다.
그러나 일련의 결과만으로는 고기를 회피하는 것과 정신적인 문제의 인과관계를 특정할 수 없다.
이번에 조사된 18건의 연구 중 16건은 어느 시점 집단의 상태를 평가하는 횡단적 연구였고, 집단을 일정기간 조사한 전단적 연구는 1건에 불과했고, 다른 1건은 랜덤화 비교시험을 진행한 연구였다.
랜덤화 비교시험에서는 채식주의자가 고기나 생선을 먹은 사람과 비교해 기분이 좋다고 보고했지만 전단적 연구에서는 채식주의가 우울증이나 불안의 예측인자로 나타났다는 것이다.
'상관관계는 인과관계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며 우리는 이번 결과에 대해 몇 가지 설명을 붙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신질환에 시달리는 사람은 자가 치료의 일종으로 식사 종류를 바꿀 수 있다, 엄격한 채식주의자의 식사는 영양소 결핍을 야기해 정신질환 위험을 증가시킨다, 섭식장애를 가진 사람은 자신의 장애를 감추기 위해 채식주의를 이용하고 있다, 동물의 고통에 대해 매우 민감하거나 동물의 고통에 주목하는 사람은 우울증이나 불안 모두를 갖기 쉽다고 두버스크 교수는 밝혔다.
세상에는 많은 채식주의나 영양에 관한 연구결과가 있지만 일반적인 개인은 하나의 연구결과를 역사적, 과학적 지식에 관한 수 많은 문헌 속에서 이를 구분할 지식이나 경험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두버스크 교수는 이 문제가 세상에 '다이어트 전쟁'을 일으키고 '영양에 관한 잘못된 진실'이 곳곳에 등장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자세한 것은
Full article: Meat and mental health: a systematic review of meatabstention and depression, anxiety, and related phenomena
https://www.tandfonline.com/doi/full/10.1080/10408398.2020.1741505
New psychology research finds meateater tend to have better mental health than vegetarians
https://www.psypost.org/2020/05/meat-eaters-tend-to-have-better-psychological-health-than-vegetarians-56698
Meat and mental health: a systematic review of meat abstention and depression, anxiety, and related phenomena
Objective: To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the consumption or avoidance of meat and psychological health and well-being.Methods: A systematic search of online databases (PubMed, PsycINFO, CINAHL Pl...
www.tandfonline.com
'시사, 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채식주의는 지구의 기후변화에는 거의 영향을 미치지 못해 지구를 구할 수 없다. (0) | 2023.05.13 |
---|---|
바로 실천할 수 있는 '간단하게 불안감을 줄이는 방법' (1) | 2023.05.13 |
정신건강을 강하게 하는 방법 (0) | 2023.05.13 |
포르노를 보는 것은 심신에 악영향을 주는가?를 5명의 전문가에게 물어본 결과를 공개 (2) | 2023.05.13 |
인기 소셜미디어가 젊은이들의 정신건강 영향 조사, 최고인 것은 YouTube이고 최악인 것은 Instagram (0) | 2023.05.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