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대마다 다른 사치의 의미... 부유한 Z세대의 돈의 쓰임새는?
Z세대에게 럭셔리란 무엇인가.
부유한 Z세대는 부(富)를 쌓는 자신의 능력을 자신한다. 그 부유함을 과시하는 데 젊은이들은 휴가나 빈티지(Vintage) 사치품에 돈을 들이고 있다.
자기집에서는, 많이 비축되어 있는 충실한 식료품 저장고(pantry)를 제일 중시한다. 서프 클럽(supper club)를 여는 젊은이들이 늘고 있기 때문이다.
Z세대는 집에 있는 세대일지 모르지만 그중에는 부유하고 다른 세대보다 부(富)를 쌓는 자신의 능력을 자신하는 젊은이도 있다.
그리고 윗세대와 마찬가지로 여유 있는 사람들은 나름대로의 방식으로 사치를 하고 있다.
바로 위 밀레니얼 세대는 세탁실을 갖추거나 반려동물을 키우고 보톡스 맞히기에 열중하지만 부유한 Z세대는 자신들의 가치관에 맞는 고급 브랜드나 체험에 돈을 쓰는 경향이 있다.
Z세대가 돈을 들이는 6가지 '소비능력'을 소개한다.
◆ SNS에서 과시하기 위해 부유한 Z세대는 사치스러운 여행을 예약하다(Rich Gen Zers are booking lavish trips to flaunt on social media.)
Z세대는 부유한 부모의 여행 계획에 참견하거나 돈을 들여 사치스러운 여행을 즐긴다.
아직 엄마, 아빠와 함께 휴가를 보내는 젊은이들은 소셜미디어에서 유행하는 것을 바탕으로 어디로 갈지, 무엇을 할지 제안하며 여행 내용을 결정한다.
여행사 Craft Travel의 창업자 줄리아 카터(Julia Carter)는 Z세대는 숙박시설을 가장 중시한다고 말했다.
"런던이든 파리든 좋아요"라고 카터는 말한다.
"다만 결정적 순간을 (사진이나 동영상) 찍지 않는 한 그들이 말하는 것처럼 자신이 얼마나 호화로운 여행을 즐겼는지 남에게 보여줄 방법이 없습니다. 호텔은 그 증거가 될 것입니다"
또 보도된 내용에서 보듯이 Z세대는 호화로운 올인클루시브(All-Inclusive. 전체 일정) 여행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소셜 미디어가 이 정도로 커져, 그들의 생활에 빠뜨릴 수 없는 것이 되고 있는 지금, 많은 사람들이 고도로 큐레이트 된 컨텐츠나 초고급 리조트를 "공유"하는 것으로 달려가고 있다」라고 Embark Beyond의 럭셔리 트래블 어드바이저의 마리 굿윈(Malley Goodwin)은 이야기하고 있다.
◆ 자신들의 가치관에 맞는 브랜드와 체험에 돈을 들이다(They're splashing on brands and experiences that align with their values)
부유한 Z세대는 물질주의적 소비를 잘 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
여행에 관해서 말하자면, 젊은 고객은 「지속 가능성, 웰니스(wellness. 웰빙(Well-being)과 건강을 뜻하는 피트니스(Fitness)의 합성어), 문화에 몰입」에 초점을 맞춘 「진짜, 현지에서만이 가능한 여행 체험」을 요구하고 있다고, 카리브해의 마스티크섬이나 세이셸이라고 하는 인기 리조트의 프라이빗 여행을 제공하는, 영국의 고급 투어 오퍼레이터 Black Tomato의 홍보 담당자는 말하고 있다.
Z세대의 "가치 중시"의 소비 경향은 세계적으로 강해지고 있으며, 소매업이라고 하는 다른 소비 카테고리로도 퍼지고 있다. 초부유층이 많이 사는 중국에서 젊은 세대는 화려한 로고가 돋보이는 브랜드를 피해 자신들의 가치관을 상징하는 아이템이나 체험에 돈을 들이고 있다.
WGSN의 트렌드 예측의 전문가 지엔 고(Jien Goh)는 「이 트렌드의 중심에는, 의식 높은, 슬로우 페이스의 생활을 바라는 마음과, 웰니스(wellness)와 장수를 궁극의 사치라고 간주하는 새롭게 대두해 온 사고방식이 있습니다」라고 Business Insider에 말하고 있다.
◆ 고급스러운 옷이나 악세사리 구입시 중고를 선택(When they buy luxury clothes and accessories, they're often opting for secondhand)
Z세대는 "누군가의 애용품이었던" 워드 로브(wardrobe. 개인 소유의 의상)를 선호한다.
베인앤드컴퍼니의 패션&럭셔리 부문 글로벌 책임자이자 시니어 파트너인 클라우디아 달피치오(Claudia D'Arpizio)는 Z세대 대부분이 명품을 새 것으로 사는 것이 아니라 The RealReal 같은 리세일 플랫폼에서 중고품을 구입한다고 Business Insider에 말했다.
이런 움직임에는 지속가능성이라는 그들의 가치관이 영향을 미쳤을 것이다. 다만 달피치오에 따르면 이러한 플랫폼이 Z세대 사이에서 유행하는 것은 이들이 빈티지 제품을 찾고, 그것을 팔아 용돈을 버는 데 이용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한다.
"거기에는 게이미피케이션(gamification. 게임의 요소를 게임이 아닌 다른 분야에 적용하여 몰입, 즐거움, 지속적인 참여를 유도)과 엔터테인먼트 요소가 있어 이 세대에게도 재미있습니다"
◆ 자기 집에서는 팬트리를 중시(At home, Zoomers are prioritizing the pantry)
미국의 Z세대는 주택의 소유에 관해서 윗세대를 상회하고 있다. 2023년 레드핀 조사에 따르면, 25세 시점에 주택을 소유한 사람의 비율이 2022년에는 30%였던 반면 밀레니얼 세대가 25세였을 때의 비율은 28%, X세대가 25세였을 때의 비율은 27%였다.
자택에서는 식품 저장실(pantry)와 거기에 무엇이 저장되어 있는지가 사회적 지위의 지표가 되고 있다. 12월에 발표된 맥킨지의 한 조사 결과에서는, Z세대의 소비자가 "자신에게 보상"하기 위해 구입할 예정의 카테고리로서 「레스토랑」 「어패럴」에 이어 「식료품」이 「미용·퍼스널 케어」와 나란히 상위 3위에 들어갔다.
Z세대는 고가의 간식, 음료, 조미료를 사들이고 있고, 그중에는 로스앤젤레스에 있는 셀럽들이 애용하는 고급 슈퍼 'Erewhon(엘레원)' 같은 인기 매장에서 산 고가의 식료품을 SNS에서 자랑하는 사람도 있다.
WGSN Insight의 수석 문화전략가 엘리자베스 탄(Elizabeth Tan)은 젊은 소비자에게 음식과 식사는 자신의 가치관과 문화적 정체성을 표현하는 하나의 수단이 되고 있다고 말했다.
◆ 좋은 향기는 상태를 나타낸다(Smelling good is a marker of status)
Z세대 사이에서 향수는 부(富)와 지위를 나타낸다.
고급품 업계는 지난 1년간 특히 중국에서의 수요 침체에 시달려 왔지만, 향수는 몇 안 되는 강력한 카테고리 중 하나라고 베인의 달피치오는 말했다.
이 카테고리가 명품 불황을 극복한 것은 향수가 젊은 세대에게 인기이기 때문이라는 부분도 있다. 그들은 핸드백이나 코트 같은 "큰 쇼핑"을 삼가는 한편, 작고 저렴한 사치품을 계속 사고 있다.
Business Insider에서도 보도했듯이 향수와 콜론(Cologne) 또한 Z세대가 자신의 브랜드를 확립하기 위한 매개체로 진화하고 있다.
이 세대는 특정 향을 사용해 유명인에게 자신을 투영하고 있다. 예를 들어 클린걸의 분위기를 조성하기를 원하는 Z세대는 메종 마르젤라의 복제품 버블바스를 선택할 수도 있고 조용한 사치(Quiet Luxury)의 분위기를 조성하기를 원하는 Z세대는 메종 프란시스 쿠르장의 바카라 루즈 540을 익힐 수도 있다고 Upton Clark는 전했다.
◆ 젊음을 유지하기 위해 피부관리와 노화 치유에 돈을 들인다(They're splurging on skincare and treatments to stay young.)
Z세대의 맏언니는 아직 20대다. 그들은 아직 젊다. 하지만 노화를 걱정하고 있다.
콜라겐 생성을 촉진하는 비침습적 스킨케어 트리트먼트 '콜라겐 뱅킹'의 대두에 관한 기사에서 보그비즈니스는 시장조사업체 사카나의 조사에서는 Z세대의 70%가 안티에이징 세럼을 매일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전한다.
Business Insider에서도 보도했듯이 Z세대의 스킨케어 고집은 이들이 다양한 SNS와 필터와 함께 성장한 첫 세대이자 회춘(prejuvenation) —— 피부관리와 성형을 결합하여 노화의 영향을 막는 트렌드— 의 대두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것과 관련되어 있을지도 모른다.
겉보기 젊음을 유지하려는 젊은 세대의 열망은 화장품 업계에도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사카나의 보고에 따르면 미국 소비자의 절반은 스킨케어도 겸한 메이크업 제품을 찾고 있으며, Z세대와 밀레니얼 세대에서는 그 비율이 60%를 넘는다.
(출처) 6 ways rich Gen Zers are splashing out and redefining luxury for themselves
https://www.businessinsider.com/rich-gen-z-redefining-luxury-wealth-travel-clothing-food-scents-2025-2#theyre-splashing-on-brands-and-experiences-that-align-with-their-values-2
*재미있거나 도움이 되셨다면 '구독' 꾹 눌러 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늘 행복하세요.
'시사, 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론 머스크의 독자외교 우려 ... 많은 나라서 '자기 회사의 이익 유도' 우려 (41) | 2025.03.02 |
---|---|
식사로 정신관리를 위한 3가지 포인트… 장과 뇌의 관계에 대한 최신 지식 (32) | 2025.03.02 |
전설의 공매도 투자자, 시장의 투기는 역사적 극한에 가까워지고 있다고 분석 (40) | 2025.03.01 |
북한, 서방관광객 수용 재개... 현지 가이드에게 들은 '실태' (24) | 2025.03.01 |
시진핑 주석, 끝없는 부패 척결 투쟁 (29) | 2025.03.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