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5일 근무제도가 비효율적이라는 증거
전 세계적으로 '일주일에 5일 일하고 이틀 쉰다'는 주5일 근무제도가 도입되어 있고, 주말이 다가오면 이제 '곧 휴일!'이라고 일주일의 끝을 느끼는 셈인데, 애초에 이 '일주일'이라는 주기가 자연스러운 주기는 아니라는 것을 The Atlantic이 밝히고 있다. 그래서 '주 4일 근로제도가 더 효율이 좋다'는 것이 실제로 도입한 기업의 사례와 함께 City Lab에서 정리한 내용이다.
◆ 주5일 근로제도의 기원
전 세계에서 '7일간'은 하나의 주기로 파악하는데 1991년 8월 위털드 라이비시앤스키이 The Atlantic에서 "자연현상은 7일마다 생기지 않기 때문에 7일 주기는 부자연스럽다"고 설명하고 있다. 1년이 365일인 것은 지구가 태양 주위를 한 바퀴 도는 시간이기 때문에 자연스러운 주기로 파악되지만 일주일이 7일인 것은 인공의 주기라는 것이다.
4000년 전 바빌로니아인들은 태양계에 7개의 행성이 있다고 믿었으며, 행성의 수가 그대로 7일간 1주의 기원이 되었다. 그것이 이집트·그리스에서 로마, 그리고 최종적으로 유태인에게까지 전해져 각국의 독자적인 주 7일이 만들어졌다. 또 예수 그리스도가 탄생하기 250년 전 서구에서도 주 7일을 채택한 달력이 발견됐다는 것이다.
1879년에 처음으로 '주말(week-end)'이라는 말이 미국의 Notes and Queries라고 하는 잡지에서 사용되었다. 19세기 영국 노동자들은 일요일에 음주·도박을 하며 보냈고, 노동자들은 일요일 폭음을 달래기 위해 '성 월요일(Saint Monday)'을 마련하여 일을 쉬는 습관을 낳았다.
월요일에 일을 쉬면 곤란한 공장주는 근로자에게 월요일 대신 토요일에 반차휴가를 준다는 협정을 체결했다. 수십 년 후에는 토요일이 하루인 전일휴일이 되어 주5일 근무제가 탄생했다고 한다. 그리고 1908년 미국 뉴잉글랜드에서 처음으로 정식으로 주 5일 근로를 제정한 공장이 등장하면서 여러 가지 곡절을 거쳐 주 5일 근로와 주 5일 근무제도가 탄생했다는 것이다.
◆ 주5일 근무제도가 비효율적이라는 증거
American Journal of Epidemiology 연구에 따르면 일주일에 55시간 일한 사람은 주 40시간밖에 일하지 않은 사람에 비해 지적 작업의 효율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Be Excellent at Anything"의 저자 토니 슈워츠는 사람들이 휴식 후에 90분간의 폭발적인 집중을 얻을 수 있다고 Harvard Business Review에 발표했다. 종합하면 근로시간을 줄이고 휴식을 많이 끼워 넣음으로써 장시간 일하는 것보다 효율적으로 일할 수 있다는 얘기가 된다.
래리 페이지 구글 CEO는 자사에서 실행하지는 않지만 '주 4일 근로제도'를 권장하고 있고 프로젝트 관리 도구 '바시켐프'의 제이슨 프라이드 CEO는 직원들에게 1년의 절반은 '주 4일 근로, 주 32시간'이라는 근무체계를 채택하고 있다. 프라이드는 압축된 근로시간 속에서는 적은 시간을 소중히 여기기 때문에 중요한 것에 집중하는 경향이 있다라고 뉴욕타임스에 말했다. 또한 UK Faculty of Public Health가 주 4일 근로제는 직원들의 혈압을 낮추고 정신건강을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다고 주장한다.
◆ 주4일 근로제도가 효율적이다
페이스북 사진 공유 앱 '슬링샷'은 일주일에 3일 연휴제도를 도입했는데, 직원 재적률이 급증했다고 제이 러브 CEO는 말한다. 이어 웹디자인&웹 개발학습 플랫폼 '트리호스'가 주 4일 근무제도를 도입하면서 회사가 급성장하는 원인이 됐다고 한다.
◆주4일 근로제도를 도입하려면
세계적으로 주5일 근무제도가 허용되고 있어 대부분의 업체는 거래 특성상 등으로 평일을 쉬기 어려운 실정이다. 그래서 휴스턴의 컨설턴트 데이비드 스테판 이 Linked In에서 주 4일 근로제도를 도입하기 위한 해결책을 제안하고 있다.
그 방법은 회사를 두 팀으로 분할해 분업제로 만드는 것이다. A팀은 월요일~목요일까지를 배정하고 B팀에게는 화요일~금요일을 배정한다. 본 근무교대는 매주 전환되기 때문에 주말은 실질적으로 4일 연휴이다. 영업시간은 8시~17시부터 7시~18시까지로 변경되고 1일 노동시간은 10시간으로 늘어나지만, 근무일 병가도 하기 쉬운 환경이라 전체 사기는 급상승했다고 한다. 직원들은 "8시간으로 일주일에 5일 일하는 것보다 10시간을 4일 일하는 게 낫다"며 새로운 근무체계를 선호한다고 한다.
It's Time for a Four-Day Workweek-City Lab
http://www.citylab.com/work/2014/08/its-time-for-a-four-day-workweek/378911/
Bloomberg - Are you a robot?
We've detected unusual activity from your computer network To continue, please click the box below to let us know you're not a robot.
www.bloomberg.com
'시사, 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적당량의 술'조차도 뇌의 인지기능 저하를 앞당긴다는 조사 결과 (0) | 2023.09.10 |
---|---|
흡연자 3명 중 2명이 담배 때문에 사망 (0) | 2023.09.10 |
주휴일 3일제를 도입하면 스트레스 경감 & 생산성이 20%나 향상되어 주휴일 2일제와 다름없는 업무량을 유지할 수 있어 (0) | 2023.09.10 |
'주 4일 근로'로 직원들의 스트레스 수준과 생활 만족도가 개선되었다는 보고 (0) | 2023.09.10 |
주 4일 노동은 남녀평등을 촉진한다 (0) | 2023.09.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