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에서 발생하는 곡물 부족이 수천만 명을 위험에 빠뜨리고 있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에 발발하고 있는 전쟁과 인도를 강타한 무도위 등의 영향으로 전 세계에서 곡물이 크게 감산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경제매체 더 이코노미스트는 "세계 곡물부족이 수천만 명을 위험에 빠뜨린다"며 이 문제를 논하고 있다.
2020년 중반부터 시작된 라니냐 현상과 코로나19 유행 등으로 인해 여러 지역에서 농사와 공급망에 혼란이 빚어지고 있으며, 이로 인해 세계적인 곡물 부족이 일어나고 있다. 유엔 세계식량계획(WFP)은 지난 5년간 식량을 충분히 확보하지 못하는 사람의 수는 1억800만명에서 1억9300만명으로 증가했다고 보고했으며, 2022년 2월 뮌헨 안보회의에서 "당장 상황에 대처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날 회의 직후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에 침공하면서 상황은 악화일로로 치닫게 됐다. 러시아는 세계 1위의 밀 수출국이며 우크라이나도 6위에 위치하고 있다. 이 두 나라에서만 2021년 밀 수출량의 28%를 차지하는데 러시아는 각국의 경제 제재로 우크라이나는 자국의 수출 차단으로 곡물 수출량을 크게 줄였기 때문에 곡물 가격이 급등했다.
게다가 3월에는 밀의 생산량이 세계 제 3위인 인도에 기록적인 무더위가 덮쳐 밀의 수확량이 큰폭으로 감소하고 있으며, 인도에서는 밀의 수출제한이 되고 있다.덧붙여 2022년 5월 시점에서 인도와 같이 식품에 수출 제한을 하고 있는 나라는 26개국이나 된다고 The Economist는 보도했다.
더 이코노미스트는 "동아시아 국가들은 음식을 쌀로 전환할 수 있지만 유럽과 북아프리카 등은 미국의 2배는 빵을 먹고 있어 식사에 극적인 변화가 올 것"이라고 분석하고 있다. 특히 수입의 대부분이 식사에 들어가는 가난한 나라는 큰 영향을 받는다며 채무 부담이 지속 불가능해질 가능성을 지적하고 있다.
전쟁의 피해를 크게 본 우크라이나 키이우에서 농사를 짓는 농부들은 봄 밀에 필요한 비료를 거액의 대출을 받아 두고에 있었는데도 밀을 심지 않은 단계에서 러시아군에 점령당했다고 말하고 있다. 농장은 폭격으로 트랙터와 가축에게 피해를 입었다며 월급도 줄 수 없다. 대출 이자를 내는 게 고작이라고 말했다.
우크라이나에서는 2021년 수확된 곡물 중 수출될 예정이던 2500만 t이 아직 자국내에 남겨져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우크라이나의 미콜라 솔스키 농업부는 전쟁 전 한 달에 500만 t이던 수출량이 4월에는 110만 t이 돼 버렸다고 한다.
많은 나라에서 곡물 부족 상태에 있지만, 농가들은 판매가격이 불안정한 곡물을 심는 것이 아니라 투입비용이 낮은 작물로 전환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고 한다. 예를 들어 미국에서는 많은 농가가 옥수수를 콩으로 생산을 전환하고 있다는 것이다.
The Economist는 "세계 실질소득이 크게 감소하고 있는 지금 기아로 고통받는 나라들에서 많은 부담이 가는 것은 사회적, 정치적으로 현저하게 불균형을 초래하는 것 같다"고 적고 있다.
A world grain shortage putstens of millions at risk | The Economist
https://www.economist.com/briefing/2022/05/19/a-world-grain-shortage-puts-tens-of-millions-at-risk
'시사, 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애플(Apple)·디즈니·아마존(Amazon) 등이 에이펙스 레전드( Legends)의 EA 인수를 검토 중이라는 보도 (0) | 2022.05.25 |
---|---|
1만 년 전에 인류가 남긴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석상이 터키 동부에서 여러 개 발견 (0) | 2022.05.25 |
신이 존재한다'고 수학적으로 논리 전개할 수 있는가? (0) | 2022.05.24 |
'신의 벌'을 믿는 종교는 인구가 급격히 증가한 후에 등장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0) | 2022.05.24 |
종교 분포와 교인 수를 한눈에 알 수 있는 지도 (0) | 2022.05.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