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와 자신만만한 초보자를 구분하는 5가지
2019년 인류가 처음 조우한 감염병인 코로나19 팬데믹에서는 의료 및 역학 전문가들이 여러 사실을 고려한 뒤 "모른다"고 결론내리는가 하면 전문가도 아닌 코멘테이터가 박식한 얼굴로 잘못된 지식을 설파한 모습을 흔히 볼 수 있었다.
이처럼 다양한 사람이 내놓는 정보를 접할 기회가 늘어나면서 중요한 '전문가들과 전문가가 아닌 자신만만하게 이야기하는 사람을 구분하는 방법'을 진짜 전문가가 설명하는 내용이다.
인간이 자신의 지식과 자신감을 어떻게 표현하는지를 20년 넘게 연구해왔다는 영국 뱅어대 언어학자 솔라 템브링크에 따르면 전문지식을 표현하는 방법은 자신감을 표현하는 방법과 매우 흡사하다는 것이다.
그래서 전문적인 지식을 가지고 있지 않더라도 확신에 찬 말을 하는 것은 비교적 쉽다고 한다.
그래서 템브링크는 루머가 퍼지기 쉬운 세상에서는 진짜 전문지식이 중요해진다며 전문가와 그렇지 않은 사람의 말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것을 다음 다섯 가지로 정리했다.
◆1 그 사람의 경력은 전문적인가?
아카데믹한 세계에서는 그 사람이 얼마나 전문지식을 갖고 있는지는 지금까지의 실적이나 경력 등 객관적인 척도로 파악할 수 있다고 한다. 이러한 전문가와 초보자의 차이는 복잡한 사실 인식과 분류가 제대로 되는지와 기억력의 차이로 나타나게 된다.
물론 코앞에서 이야기하는 사람이 의외의 장소에서 전문적인 지식을 익혔을 가능성도 있지만, 그 사람의 경력과 그 사람이 말하는 전문지식 사이에 연관성이 없는 경우 잘 알지도 못하는 주제에 대해 득의양양양하게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일상생활에서도 그 사람의 배경을 아는 것이 그 사람의 발언을 올바르게 받아들이는 데 도움이 된다고 템블링크는 조언했다.
◆2 그 사람은 잘 듣는가?
사람마다 의사소통 스타일이 있고 적극적으로 말해서 대화를 지배하려는 사람도 있고, 상대방의 이야기를 잘 듣고 충분한 근거가 있을 경우에만 의견이나 견해를 말하는 사람도 있다.
어떤 스타일로 소통하느냐는 전문가에게 중요하며, 예를 들어 의료현장에서는 말하는 것보다 듣는 것을 우선시하는 것이 의사와 간호사의 연계가 향상돼 환자에 대한 질 높은 헬스케어로 이어진다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 템브링크는 '때로는 조용히 귀를 기울이는 것도 중요하다. 이런 사람은 끊임없이 지껄이는 사람보다 더 많은 가치를 가져다 줄 수도 있다'고 말했다
◆3 그 사람은 깊이 파고 들었는가?
템브링크는 극단적으로 말하기는 쉬워요. 전문가는 상세한 정보를 갖고 있어 그것을 제공할 수도 있지만 지식이 얕은 사람은 표면적인 수준에 머물 수밖에 없다며 전문가들은 사물에 대해 심도 있는 이야기를 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천박한 지식만 가진 사람은 종종 상세한 설명 없이 같은 메시지를 반복한다. 여기서 문제가 되는 것은 인간은 같은 것을 반복해서 들으면 머지않아 그것을 믿어 버리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
코로나19 관련 가짜뉴스를 주제로 한 2021년 연구에서도 잘 알려진 정보를 반복한 경우보다는 미지의 정보를 반복하는 경우가 더 사람들은 그 정보를 믿기 쉬운 것으로 확인됐다. 이를 통해 팬데믹에 대한 정확한 정보보다 가짜 정보를 반복하는 것이 훨씬 더 큰 영향을 미친다는 양측의 비대칭성이 나타났다고 연구자들은 말한다.
◆4 그건 단언해도 되는 일인가?
내 눈으로 보지 못한 것이나 과학적인 실험으로 재현할 수 없는 것, 과거와 미래의 일에는 어느 정도의 불확실성이 따른다. 전문가들은 확실성에는 한계가 있다는 것을 충분히 인식하고 있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서~일수도 있다」
또는 「~.........~일 가능성도 있다」이런 말을 사용해서 불확실하다는 것을 표현한다.
이때 '그것은 잘 모르겠다. '와 '나는 잘 모른다.' 사이에 있는 결정적인 차이에 주의가 필요하다고 템브링크는 강조하고 있다. 왜냐하면 전문가들은 어떤 사항에 대해 알고 있는 것은 다 아는 반면 초보자는 입수 가능한 사실을 모를 뿐이기 때문이다.
◆5 유연한 정보 제공인가?
템브링크는 전문가와 초보자의 차이에 대해 '길찾기를 숙지하고 있는 사람과 구글맵 자동 경로 안내'를 예로 들어 설명했다. 어떤 길을 다 아는 사람은 헤매기 쉬운 부분은 자세히 알려주거나 반대로 배우는 사람이 이미 알고 있는 길을 생략할 수 있지만 내비게이션 앱에는 그럴 수 없다.
마찬가지로 진정한 전문가는 자신의 전문분야에 대한 개념이나 전문용어를 유연하고 쉽게 구사하거나 듣는 사람의 요구에 맞게 대응을 바꿀 수 있지만 전문가가 아닌 사람은 그럴 수 없다고 한다.
*재미있거나 도움이 되셨다면 '구독' 꾹 눌러 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늘 행복하세요.
Five ways to tellif someone is an expert, or just confident – from an actual expert
https://theconversation.com/five-ways-to-tell-if-someone-is-an-expert-or-just-confident-from-an-actual-expert-188244
Five ways to tell if someone is an expert, or just confident – from an actual expert
How to use language clues to see through someone’s ‘expert’ facade.
theconversation.com
'시사, 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이를 먹어도 시간의 흐름이 길게 느껴지게 하는 방법 (78) | 2024.03.06 |
---|---|
창의적인 분야에서 매너리즘을 탈피하기 위한 3가지 파격적인 전략 (65) | 2024.03.06 |
'100일마다 1조달러 빚 증가' .... 미국 빚(부채)이 비트코인 상승을 뒷받침한다 (82) | 2024.03.05 |
국제 금융에도 '중국 쇼크'… 개발도상국 부채 위기로 (73) | 2024.03.05 |
잠수함은 어떻게 바닷속에서 통신을 하나? (62) | 2024.03.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