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여가)시간이 너무 많아도 사람은 불행과 동일한 상태에 빠진다. 여가시간이 많을 때 행복도를 높이기 위한 착안점은?
본문 바로가기
시사, 경영

자유(여가)시간이 너무 많아도 사람은 불행과 동일한 상태에 빠진다. 여가시간이 많을 때 행복도를 높이기 위한 착안점은?

by 소식쟁이2 2023. 11. 16.

자유(여가)시간이 너무 많아도 사람은 불행과 동일한 상태에 빠진다. 여가시간이 많을 때 행복도를 높이기 위한 착안점은?

외식하거나 가정 도우미를 고용하고 '자기시간 갖기'로 사람은 더 행복할 수 있다는 조사 결과가 2017년에 발표됐지만, 자유시간이 너무 많아도 사람의 행복도는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새로운 조사 결과에 따르면, 왜 자유 시간이 너무 많으면 사람은 행복을 느끼기 어려워지는지와 자유시간이 많아도 행복도가 떨어지지 않기 위한 착안점을 제시하는 내용을 정리한 것이다. 

연구팀은 먼저 미국 국민의 일·육아·자원봉사 등에 대한 참여 시간을 측정한 American Time Use Survey(미국 시간이용 조사)의 2012년부터 2013년까지 데이터를 분석했다. 이 조사의 참여자 2만1736명은 '하루 24시간을 어떻게 보냈느냐는 데이터'와 '행복에 관한 설문 응답'을 제출했다. 데이터를 분석했더니 사람의 행복도는 자유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올라갔지만 2시간이 넘으면 변화가 제자리걸음을 하고 5시간이 지나면 하락하기 시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는 것이다. 행복의 증가와 하락 모두 상관성은 '통계적으로 현격하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아울러 연구팀은 1992~2008년 'National Study of the Changing Work force(변화하는 노동력에 관한 전국 조사)' 참가자 1만 3639명의 데이터를 분석했다. 조사에서 피실험자는 '평일 어느 정도의 자유시간이 있습니까?'와 같은 여가시간에 관한 질문을 받고 생활만족도에 관한 질문으로 행복도를 측정하였다. 이 조사에서도 어느 한 점까지는 자유시간의 많고 행복의 정도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지만 그 특정한 점을 넘으면 상관관계가 없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한다. 

위 두 가지 분석을 바탕으로 연구팀은 6000명을 대상으로 두 가지 온라인 실험을 실시하였다. 

첫 번째 실험에서, 피실험자에게는 「6개월에 걸쳐, 1일당 몇 시간의 자유시간을 부여받았는지」를 상상하게 했다. 이때 각각의 피실험자에게는 1일 15분이라는 '적은 자유시간', 1일 3.5시간이라는 '적당한 자유시간', 1일 7시간이라는 '많은 자유시간'이 랜덤으로 배정되어 '즐거움, 행복, 만족을 어느 정도 체험할 수 있는가'에 대하여 보고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적은 자유시간과 많은 자유시간 그룹은 적당한 자유시간 그룹에 비해 행복도가 낮다고 보고했다는 것이다. '적은 자유시간'을 배정받은 사람은 더 스트레스를 받고, '많은 자유시간'을 배정받은 사람은 '생산성이 낮다'고 느끼기 때문에 행복도가 낮아졌다고 한다. 

두 번째 실험에서는 각각의 피실험자에게 '적당한 자유시간(3.5시간)'과 '많은 자유시간(1일 7시간)'을 상상하게 한 후 자유시간을 보내는 방법에 대해 '생산적인 방법(운동·취미·달리기)' 혹은 '비생산적인 방법(TV·인터넷)'이 지정되었다. 그러자 비생산적인 방법으로 시간을 보내는 사람은 자유시간이 많을수록 행복의 정도가 낮아진 반면 생산적인 방법으로 시간을 보내는 사람은 자유시간이 많아도 행복의 느낌이 '적당한 자유시간' 그룹과 같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를 수행한 워튼스쿨 마케팅 교수인 Marissa Sharif는 "하루 전체를 자신의 재량으로 정할 수 있는 자유시간으로 만들면 불행과 비슷한 상태가 될 수 있다. 하고 싶은 일을 위한 시간은 적당히 만들어야 한다. 또 만약 퇴직 후나 휴직 중에 과도한 자유시간이 있는 경우에는 목적을 갖고 시간을 보내면 이익을 얻을 수 있다고, 우리의 연구 결과는 보여 준다"고 말했다. 

*재미있거나 도움이 되셨다면 '구독' 꾹 눌러 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늘 행복하세요.

 


Having too little or too much time is linked to lower subjective well-being.-PsycNET
https://doi.apa.org/doiLanding?doi=10.1037%2Fpspp0000391

Toomuch free time may be almost as bad as too little : Using excess discretionary time on productive activities can help bolster well-being -- Science Daily
https://www.sciencedaily.com/releases/2021/09/210909124451.htm

 

Too much free time may be almost as bad as too little

As an individual's free time increases, so does that person's sense of well-being -- but only up to a point. Too much free time can be also be a bad thing, according to new research.

www.sciencedail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