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산부 입덧 원인 특정. 중증화 예방 가능성도 ... 영국 케임브리지대 연구
본문 바로가기
시사, 경영

임산부 입덧 원인 특정. 중증화 예방 가능성도 ... 영국 케임브리지대 연구

by 소식쟁이2 2023. 12. 16.

임산부 입덧 원인 특정. 중증화 예방 가능성도 ... 영국 케임브리지대 연구

입덧은 임신 중인 어머니가 태반을 통해 태아로부터 받는 특정 호르몬과 관련이 있다는 연구논문이 영국 과학지 Nature(네이처)에 실렸다. 오랜 기간 의학적으로 불분명했던 입덧의 원인 규명으로 이어지는 연구 결과로 임신 전 여성에게 호르몬을 투여함으로써 무거운 입덧을 피할 수 있는 가능성이 나왔다.

성장분화인자15(GDF15)로 알려진 이 호르몬은 인간의 체내에서 평생 생산돼 식욕이나 구역질을 느끼는 뇌 부위에 신호를 보내는 단백질로 모체 태반에 많이 들어 있다.

12월 13일 발표된 영국 케임브리지대 주도의 연구에 따르면 입덧의 중증도에는 태아가 만들어내는 GDF15의 양과 어머니가 GDF15의 구역질 작용에 대해 얼마나 민감한지가 직접적으로 관련돼 있다. 모체에서 태아에서 유래된 GDF15 값은 임신기간에 따라 증가하며, GDF15에 대한 모체의 감수성 높이는 임신 전 모체의 GDF15 값에 좌우된다.

GDF15는 모든 인간의 체내에서 생산된다. 그 혈중 농도는 노화, 격렬한 운동, 암, 흡연, 당뇨병 치료제 메트포르민을 포함한 일부 약제 등에 의해 상승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입덧은 임산부의 70~80%가 겪는 매우 흔한 증상이지만 정확한 원인은 불분명해 과거에는 저혈당이나 호르몬 균형의 깨짐이 원인이 아닌가 생각됐다.

케임브리지대 연구팀은 GDF15 장기투여를 통해 입덧이 중증화돼 임신 입덧이 발병할 위험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쥐에 GDF15를 주사해 이 이론을 검증했는데, 주사 전 GDF15를 장기 투여받던 쥐에서는 대조군과 비교해 강한 메스꺼움으로 인한 것으로 보이는 식욕부진 발병 위험이 50% 가까이 낮아졌다.

GDF15에 C211G로 불리는 희귀 유전자 변이가 있으면 임신 전 GDF15 수치가 떨어져 임신 입덧의 발병 위험이 10배 높아진다.

연구팀에 따르면 당뇨병 치료제 메트포르민을 이용해 임신 전 여성의 GDF15 수치를 상승시키는 임상시험이 현재 진행 중이다. 2020년 네이처에 발표된 연구에서는 메트포르민을 2주간 복용한 당뇨병 환자의 GDF15 수치는 약 2.5% 상승했다.

태반 내 GDF15 수치 상승과 임신 입덧을 포함한 입덧 중증화와의 관련은 지난 6월 발표된 논문에서도 나타난 바 있다. 하지만 이번 연구결과는 임신 전 GDF15에 대한 노출을 늘림으로써 입덧을 유의하게 줄일 수 있음을 발견한 첫 논문이다.

의학지 프론티어스 인 메디신에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입덧의 가장 중증화된 병태인 임신 입덧은 임신부의 0.3~10.8%에서 나타난다. 미국임신협회에 따르면 임신악조는 조산이나 저체중아와 관련이 있으며 산모에게 심한 메스꺼움, 구토, 체중감소, 전해질 이상을 일으켜 입원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 입덧 증상은 보통 임신 4~6주에 시작해 9~13주에 절정을 이룬다. 입덧에는 유전도 관련돼 있을 수 있어 쌍둥이 임신이면 증상이 심해지는 경우가 많다.

태반의 GDF15 농도가 높아지는 것은 임신 초기 여성이 최기형성 인자(태아에게 선천적 이상을 일으킬 수 있는 물질이나 요인)를 포함한 음식이나 감염성 미생물을 섭취하는 것을 막기 위한 것으로 케임브리지대 연구팀은 보고 있다.
이 대학의 연구를 주도하는 스티븐 오라일리 교수에 따르면 임신 초기 여성의 90% 이상이 식습관 변화를 겪으며 주로 고기나 알칼리성 음료를 선호하게 된다. 이러한 엄마 몸의 변화는 진화 초기에는 유아와 어머니의 안전을 지키는 데 도움이 되었을지 모르지만, 현대 식생활에서는 목적에 그다지 부합한다고는 할 수 없다.

*재미있거나 도움이 되셨다면 '구독' 꾹 눌러 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늘 행복하세요.

 

https://www.forbes.com/sites/ariannajohnson/2023/12/13/researchers-identify-cause-of-morning-sickness-in-pregnant-women-and-possible-treatments/?sh=1a9c61ad6087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