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고령화 대응을 잘하는 상위 10개국. 대한민국은 수명이 14위, 의료가 2위지만 행복도는 62위
세계적으로 인구가 고령화되면서 출산율은 떨어지고 수명은 연장되고 있다. 그 결과 각국의 인구 피라미드는 지난 날의 삼각형(산형)에서 직사각형에 가까운 형(단지형)으로 바뀌고 있다.
현재 세계에서 가장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는 나라는 일본이다. 2023년에는 인구의 과반수가 50세 이상이 될 전망이다. 미국에서도 이미 취업자의 44%를 50세 이상이 차지한다.
이러한 인구구조의 큰 변화에 대한 대비가 진행되고 있는 나라는 있는가?
젠더 관련 컨설팅을 하는 20퍼스트가 각국의 고령화에 대한 대응상황을 평가한 최신 장수관리등급(Longevity Management Scorecard)을 발표했다.
이 순위에서는 「수명」 「의료」 「행복도」라고 하는 3개의 지표를 이용해, 각각의 순위를 합산 한 「점수」가 작을수록 고령화에의 대응이 「잘하는」나라로 하고 있다. 이 말의 의미는 상위 국가일수록 늙어가는 데 적합한 장소라는 얘기다.
평균 잔여수명 일반적으로 그 나라 삶의 질을 반영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순위가 높을수록 노령 세대에 대한 경험이 풍부하다고 볼 수 있다.
질 높은 의료는 사람들이 건강하게 나이가 들어가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것이다. 그 때문에, 인구나 노동력의 고령화를 지원하는 의료체제의 충실도가 평가 대상이다.
또 행복지수 순위는 국민의 만족도를 반영하고 있어, 모든 연령층을 통한 삶의 질에 대한 일반적인 지표가 된다.
2022년판의 순위 상위 10개국은 다음과 같다.
괄호 안은 왼쪽부터 「수명」 「의료」 「행복도」의 각 순위, 점수, 65세 이상의 인구비율이다.
1위 스위스(7위, 16위, 3위, 26점, 19%)
2위 호주(12위, 9위, 11위, 32점, 16%)
3위 노르웨이(24위, 12위, 6위, 42점, 18%)
동 프랑스 (18위, 3위, 21위, 42점, ¬20%)
5위 네덜란드(27위, 11위, 5위, 43점, 20%)
동 스페인 (10위, 6위, 27위, 43점, 20%)
7위 핀란드(34위, 10위, 1위, 45점, 22%)
8위 이스라엘(16위, 18위, 12위, 46점, 12%)
9위 덴마크(46위, 5위, 2위, 53점, 20%)
10위 뉴질랜드(26위, 19위, 9위, 54점, 16%)
국내총생산(GDP) 규모 1위인 미국은 수명이 70위, 의료가 30위, 행복도가 19위로 전체로는 26위(119점). GDP 2위인 중국은 수명이 94위, 의료가 40위, 행복도가 84위로 전체로는 49위(218점)로 처져 있다. 총인구에서 차지하는 65세 이상의 비율은 미국은 17%, 중국은 12%다.
일본은 수명과 의료가 각각 4위지만 행복도 56위로 전체 15위(64점)에 머물렀다. 대한민국은 수명이 14위, 의료가 2위지만 역시 행복도가 62위로 낮아 전체로는 21위(78점)다.
GDP 규모 상위 10개국 가운데 이번 순위에서도 톱10 안에 드는 나라는 프랑스(GDP는 세계 7위) 한 나라뿐이다. GDP 6위인 인도는 이 순위 83위까지 밀린다. 인도는 65세 이상 인구비율이 7%로 비교적 젊은 나라에 해당한다.
'시사, 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이폰SE 3(iPhone SE 3) 소문 정리 (0) | 2022.03.09 |
---|---|
지구에서 "6번째 대멸종이 시작됐다" 생물학자가 경고 "이번엔 인간이 원인" (0) | 2022.03.09 |
러시아가 AI합성 우크라이나인을 이용해 SNS상에서 정보전쟁을 전개. AI합성된 가짜 얼굴은 진짜보다 신뢰된다!? (0) | 2022.03.08 |
애플, 아이폰 SE 3(iPhone SE 3) 곧 발표 SE 2는 반값으로 인하될 듯 (0) | 2022.03.08 |
세계 군사력 랭킹 2020 미국, 러시아, 중국 순. 대한민국 6위. 일본은 5위 (0) | 2022.03.08 |
댓글